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귓바퀴 앞 쥐젖을 동반한 신생아의 신 기형 검사

        홍명은,유승택,최은정,이창우,박승택*,오연균*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5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renal ultrasonography in neonates with isolated preauricular tags. Methods: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10,997 newborn infants delivered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3 in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Nineteen newborns born with isolated preauricular tags were assessed for renal anomalies by performing renal ultrasonography within one week after birth. The study group was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f 25 healthy neonates without preauricular tag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using renal ultrasonography. Results:Preauricular tags were detected in 19 of 10,997(0.17%) neonates; 57.9% were found on the right side. Renal anomalies in neonates with isolated preauricular tags were detected in four infants (21.1%); this incidence was higher, but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ypes of anomalies were mild hydronephrosis of grade 1(3 cases) and 2(1 case) which were normalized within one year. Conclusion:Routine renal ultrasonography is not recommended for newborn infant with isolated preauricular tags. 목 적 : 건강하게 출생한 신생아에서 단순하게 귓바퀴 앞 쥐젖만을 동반한 경우에 신 기형이 동반되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만 8년 6개월간 원광대학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귓바퀴 앞 쥐젖을 동반하여 신 초음파를 시행하였던 신생아를 대상으로 차트를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염색체 이상, 귀의 이상 그리고 주 선천성 기형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단지 구토만을 주소로 초음파를 시행하였던 신생아를 그 비교 군으로 하였다.

      • KCI등재

        국내 연구자 커뮤니티 구성원의 부실 학술지 인식에 대한 연구

        홍명,심원식 한국정보관리학회 2024 정보관리학회지 Vol.41 No.2

        최근 학술 생태계의 새로운 이슈 중 하나인 부실 학술지를 두고 판별 기준의 모호성에 대한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연구자들에게 부실 학술지의 부실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혼란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연구자들이 부실 학술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떻게 판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연구자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하이브레인넷, 김박사넷,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SAFE)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까지 작성된 관련 게시글과 댓글 총 2,484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주제 분석을 위해 먼저 데이터를 3개의 큰 범주인 학술지, 출판사, 연구자로 구분하였고, 해당 범주에 따라 11가지의 세부 주제 태그로 분류하였다. 이후 세부 주제 태그의 조합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부실학술지 관련 6개의 주요 논쟁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부실 학술지에 대한 연구자들의 혼란과 연구 실적에 대한 논란이다. 둘째, 부실 학술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셋째, 부실 학술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넷째, 학술지 수준에 대한 평가 기준과 국내 학술지 수준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다섯째, OA 확산에 따른 출판 관행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문제 제기이다. 여섯째, 학술 생태계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연구자들의 부실 학술지에 대한 인식을 정성적 측면에서 고려한 연구로서, 국내의 부실 학술지 논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urrent debate in the academic community is on the criteria for predatory journals. Researchers are perplexed about what constitutes a predatory jour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uth Korean researchers discover and evaluate predatory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2,484 statements, comprising posts and comments, from Korean researcher communities, namely the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 Hibrain.net, Phdkim.net, and the Scholarly Ecosystem Against Fake Publication Environment (SAFE). We divided the data into three primary categories—journals, publishers, and researchers—for the topic analysis. For each statement, we assigned 11 in-depth subtopic tags based on these categories. Six main points of contention emerged from the combinations of these sub-topic tags: (1) researchers’ confusion about predatory journals and discussions about research performance; (2)(3) researchers’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predatory journals; (4) researchers’ evaluation criteria for journal quality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Korean journals; (5) changes in publishing brought about by the introduction of open access (OA) and associated issues; and (6) discussions on broader issues within the academic ecosystem.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o examine how South Korean researchers view predatory journals, this study aims to advance basic knowledge of the discourse around them in the communities of domestic researchers.

      • KCI등재

        인터넷 영어동화를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홍명의 ( Myung Eui Hong ),허근 ( Keun Huh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1 현대영어영문학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Internet-based fairy tales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their affective domain. The participants were 3th and 4th graders who enrolled an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implement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show that Internet-based reading instruction: 1) helped improving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2)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affective domain; 3) increased students` interests, self-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ion. Consequently,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Internet-based fairy tales can be an effective way for English reading instruction for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 in EFL environment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develop appropriate and useful reading activities using the Internet-based fairy tal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tudents` reading ability

      • KCI우수등재

        대학도서관 사서의 부실 학술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명 한국문헌정보학회 202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9 No.1

        부실 학술지의 확산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학계의 여러 노력이 있어 왔음에도 여전히 부실 학술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결국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실 학술지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부실 학술지 문제에서 중요한 이해관계자 중 하나인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실 학술지와 관련된 경험을 가진 4년제 대학도서관 사서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Giorgi, A. (1970)의 현상학적 분석과 해석적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들의 부실 학술지와 관련한 경험은 11개의 의미구조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심층적으로는 사서들이 인식하는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이 부실 학술지 서비스 제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한 사서는 더 큰 책임감과 사명감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자기 계발 전략을 사용한 반면, 정체성에 혼란을 느낀 사서들은 업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실용적인 전통 업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실 학술지 문제를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적 가치와 연결 지어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도서관의 미래 서비스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Despite the efforts of the academic community to solve predatory journals, the problem of predatory journals persists.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issue, collabor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in predatory journals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e of the key stakeholders in the predatory journals issue: Academic Librarians.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academic librarians who had experience regarding predatory journals. The narratives were analysed using Giorgi’s (1970) method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interpretive narr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ademic librarians’ experiences regarding predatory journals were organized into 11 categories of meaning structure. In-depth analyses show that the librarians’ perceived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ition of the predatory journal service. Librarians with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predatory journal services based on greater responsibility and mission, and to adopt strategies for self-improvement. In contrast, those who felt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as subject specialist were more likely to provide predatory journal services passively or to focus on pragmatic traditional library wor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 the issue of predatory journals in relation to the professional val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service design in libraries.

      • KCI등재

        대학도서관 사서의 부실 의심 학술지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명,심원식 한국정보관리학회 2024 정보관리학회지 Vol.41 No.3

        OA 출판의 확산과 더불어 학술생태계에 큰 변화가 나타났고 그 중심에 부실 학술지 이슈가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부실 학술지 문제에 대응하고 연구자를 지원하는 학술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실제로 부실 학술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부실 학술지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0일부터 5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78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계량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 국내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부실 학술지와 관련해 다양한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서비스 준비 및 의향 측면에서 잠정적으로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도서관이 부실 학술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과 연구자 간의 협력 강화 및 사서들에 대한 재교육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부실 학술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 최초의 연구로서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향후 대학도서관이 부실 학술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emergence of Open Access (OA) and other changes to the academic publishing ecosystem have made the prevalence of predatory journals a significant concern. Academic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academic environment that protects researchers and takes action against predatory journals. Nonetheless, there isn’t many research that looks into how academic librarians view and handle predatory journals. This study aims to give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overall perceptions of predatory journals among university librarians in South Kore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cademic librarians between April 10 and May 1, 2024, and 78 respondents’ answe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opinions among South Korean academic librarians on predatory journals are not all uniform. Based on their readiness and willingness to supply services, the respondents could be rough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study affirms that training librarians and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libraries and researchers are critical prerequisites for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imed at predatory publications.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hich is the first of its type to explore how academic librarians in South Korea see predatory journals,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for university libraries as they plan and offer services related to predatory journal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 북트레일러 서비스가 이용자 행동반응정도에 미치는 영향

        홍명,이용정,정태선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4

        The study explored the extent of the effect of content book trailer services among the specialized services of the librar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The AIDMA&AISAS model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even reactions of user behavior: Attention, Interest, Search, Desire, Memory, Action, and Share. A total of 287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surveys with users who had experienced book trailer services at 13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ncheon.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 behavioral reactions in all of the content genre, including message, conflict, and character, and in particular, the character genre had the highest effects, followed by conflict and message genres. However,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res of conflict and character in terms of interest, search, and user 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ssessing and confirming the effects of book trailer services of the content genre on the reactions of user behavior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the book trailer services of the form genre, and furth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book trailer services. 본 연구는 최신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의 특화 서비스인 내용적 북트레일러 서비스가 이용자의 독서 관련 행동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IDMA&AISAS 모델을 사용하여 주목(Attention), 관심(Interest), 탐색(Search), 욕구(Desire), 기억(Memory), 행동(Action), 공유(Share)의 7가지 이용자 행동반응을 측정하였다. 인천광역시 소재 13개 공공도서관에서 북트레일러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적 유형인 메시지 활용형, 갈등 활용형, 인물 활용형 모두 이용자 행동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인물 활용형이 가장 높은 영향을, 다음으로 갈등 활용형, 메시지 활용형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 검정 결과 관심과 탐색, 이용자만족도에서는 갈등 활용형과 인물 활용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형적 유형의 북트레일러 서비스의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들과 비교할 때, 내용적 유형의 북트레일러를 통해 이용자 행동반응을 측정하고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북트레일러 서비스에 위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