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시 지역에너지전환의 현황과 방향 모색 : 공동체 에너지를 중심으로

        홍덕화,홍지은 충북연구원 2021 지역정책연구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 local energy transition experiment is launched in Cheongju and explore the way to accelerate the transition experimen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local energy transition projects in Cheongju to study their perception of the local energy transition, their action plans, and their long-term vi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Cheongju, which lacks the capacity of the local civil society and the willingness of the local government, uses niche experiments in other regions as the cognitive basis for the energy transition. In this process, creating niches, building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and making a long-term vision are emerging as key initiatives. In addition, the catch-up strategy justifies niche experiments that depend on external resources and raises expect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sector and local civil society. As niche making is beginning, the conflict inherent in the resource-dependent transition experiment has not yet emerged. In the futur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energy and the public sector could be the basis for the compressed local energy transi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learning by failure and conflictual cooperation. 이 연구는 청주 지역을 사례로 공동체 에너지에 초점을 맞춰 지역에너지전환이 확산되는 양상을 살 펴보고 전환 실험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청주 지역에서 지역에너지전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이들을 심층면접하여 현재 상황에 대한 진단과 지역에너지전환 추진 전략, 중 장기적 구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 지역사회의 전환 역량이 부족한 곳에서는 외부 의 전환 실험을 학습·모방하여 지역에너지전환을 추진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 에너지를 기 반으로 한 상징적 사례 만들기와 거점 공간 만들기, 전환 모델 구축이 핵심적인 추진 전략으로 부상 하고 있다. 또한 전환 실험을 확산할 역량이 부족한 상황은 자원 의존적 전환 실험을 정당화하며 공 공협력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전환 실험이 본격화되지 않은 탓에 자원 의존적 전환 실험에 내 재한 갈등은 아직 불거지지 않고 있다. 향후 공동체 에너지와 공공협력이 단축적 전환 실험의 토대 가 되기 위해서는 실패를 통한 학습과 갈등적 협력의 가능성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기후위기와 ‘한계’ 너머의 사회학 : 탈성장과 탈인간중심주의의 쟁점들

        홍덕화 비판사회학회 2022 경제와 사회 Vol.- No.136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etical issues faced by the sociology of the climate crisis in terms of the limits to growth, post-anthropocentrism, and transition politics. The limits to growth are a starting point for analyzing ecological crises, but the way of understanding limits differs from theory to theory. Green capitalism or ecological modernization are optimistic about the possibility of decoupling, avoiding the problems raised by the limits to growth. On the other hand, degrowth extends the limits from biophysical limits to social limits and self-limitations. In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owth and capit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accumulation crisis, emerge as new issues. Although the limits of anthropocentrism seem clear, post-anthropocentrism starts from a criticism of dualism and returns to the limits of monism.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that constrains and transforms each other has not been smoothly resolved between substance monism and methodological dualism. Also, in terms of transition politics, degrowth, ecosocialism, and new materialism face different challenges. A systematic analysis of repro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apitalist degrowth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the problems faced by sociology of the climate 이 글은 기후위기 시대 사회학이 마주한 이론적 쟁점을 성장의 한계와 탈인간중심주의, 전환 정치의 측면에서 재조명한다. 성장의 한계는 생태위기를 분석하는 출발점이지만 한계를 이해하는 방식은 제각각이다. 녹색자본주의의 길을 찾는 이들은 탈동조화의가능성을 낙관하며 성장의 한계를 우회한다. 반면 탈성장은 성장의 한계를 생물리적 한계를 넘어 사회적 한계, 자기 절제로 확장한다. 이 과정에서 탈성장과 자본주의의 관계가 새로운 쟁점으로 대두되고, 생태위기가 자본주의의 역사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야 하는 과제가 제기된다. 인간중심주의의 한계는 명확해 보이지만, 탈인간중심주의는 이원론 비판에서 출발해 일원론의 한계로 돌아온다. 연결된 실체로서 서로를 제약하면서 변형시키는 자연과 사회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포착하는 것은 일원론 지향 또는이원론 인정 사이에서 매끄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전환 정치의 측면에서 탈성장론과 생태사회주의, 신유물론은 각기 다른 난점에 부딪쳐 있다. 포스트 자본주의적 탈성장의 시각에서 재생산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재조명하는 것이 기후위기의 사회학이 마주한 문제를 풀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이상과 현실: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중심으로

        홍덕화 한국환경사회학회 201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2 No.1

        This paper analyzes the possibilities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ecological welfare commons in the case of Hansalim Seoul’s community care. As a commons against social-ecological crisis, the localized Salim movement in Hansalim Seoul is noteworthy as an articulation of ecological transition and socialization of care. Community care as a part of the localized Salim movement suggests the possibilities of good care by pursuing comprehensive care beyond functional(or physical) care and trying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care work. In addition, Hansalim Seoul’s community care is experimenting with the combination of care service and ecological trans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care. Of course, the scale of welfare commons in Hansalim Seoul is limited and it is not enough to fundamentally solve the undervaluation and feminization of care work. However, the tension between welfare commons and universal welfare is alleviated by pursuing open welfare commons. In the localized Salim movement, commoning focuses on experimenting with the articulation of ecological transition and socialization of care and on spreading alternatives based on its experiments. If such commoning is spread and public support is strengthened, the ecological welfare commons will be able to develope as an alternative that combines ecological welfare and good care. 본 논문은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사례로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가능성과 현실적 제약을 분석한다. 사회생태적 위기에 대항하는 커먼즈로서 한살림서울의 지역살림운동은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의 결합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지역살림운동의 일환으로서 지역돌봄은 기능적 돌봄을 넘어선 포괄적 돌봄을 추구하고 돌봄 노동 조건의 개선을 시도하는 등 좋은 돌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한살림서울의 지역돌봄은 돌봄에 대한 포괄적 정의를 바탕으로 돌봄과 생태적 전환의 결합을 실험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돌봄의 규모는 제한적이고, 돌봄 노동의 저평가·여성화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만 개방적인 지역돌봄을 추구하기 때문에 복지 커먼즈와 보편적 복지 사이의 긴장은 표출되지 않고 있다. 지역살림운동에서 복지 커먼즈는 국가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의 결합을 실험하고 대안을 확산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다. 이와 같은 커먼즈 실험이 확산되고 공적 지원이 강화된다면 생태적 복지 커먼즈는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를 결합시킨 대안적인 위기 대응 방안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