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경남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4 No.-
우리의 눈은 시각적 정보를 단선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세계를 연속적이고 안정된 전체로서 경험한다. 우리의 시각적 경험은 풍부하면서 틈새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즉 망막을 통하여 들어오는 시각적 정보는 틈새가 있는 허술한 부분을 숱하게 드러내는데도, 우리의 시각적 경험에 그러한 틈새란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 지각과 관련한 우리의 신경 조직은 시각적 정보가 없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우거나 완성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별 무리가 없어 보이는 이러한 생각은 심각한 철학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생각은 시각적 경험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한 신경적 조직이 특정한 장소에 있고, 이러한 신경적 조직이 구성하는 표상과 우리의 시각 경험 사이에는 동형성이 있다는 주장을 담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바로 이러한 생각을 비판하고자 한다. 시각 경험과 관련하여 신경적 표상을 지각 주체와 대상간의 매개물로서 제시하는 모든 이론은 감각 자료 이론과 같이 단지 이론가의 허구를 드러내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우리는 시각적 이미지나 신경적 표상과 같은 매개체 없이 대상을 직접 지각한다. 지각 주체와 세계를 이어주는 신경적이 거나 현상적인 수준의 표상이란 없다. 또한 지각 현상은 단순히 두뇌가 이루는 패턴일 수 없으며,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인간 주체의 활동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홍경남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비판적 사고를 키우기 위해서는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스스로 밟고 체험해봐야 한다. 결론적인 지식을 낳는 과정에 대한 앎이 없다면 그런 지식이 도대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단지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에 불가하기에 문제 상황이 바뀌면 활용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린다. 그런 지식과 다른 믿음이나 지식이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관한 실질적인 앎은 다만 과정에 기초한 학습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논리(그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형식과 비형식을 아우르는 탐구 일반의 논리)는 바로 이해, 분석, 평가 과정 일반에 대해 오랫동안 축적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탐사의 산물이다. 그래서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려면 교양기초 과정으로서 논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논증은 가장 중요하게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사용되는 곳이다. 우리는 바로 이 논증 학습을 통해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추론 및 입증 활동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서 벌어지는 실천적인 추론 및 설득 활동을 이해할 수 있다. 논증을 유형(연역/귀납)별로 미리 나누고 해당 유형에 속하는 분석/평가 도구를 적용시켜나가는 방식은 실제 논증을 다루는 데 적절치 않은 것 같다. 해당 논증을 그것이 주어지는 맥락과 상황(논자의 의도나 목적, 배경 지식 등) 속에서 자연스럽게 파악하고 드러나는 논증 유형(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는)에 맞는 분석/평가 기준을 적용해나가는 방식이 적절한 것일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는 논리 규칙의 기원과 사용 및 그런 규칙의 적용에서 맥락이 갖는 중요성에 관해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이해가 올바른 방향의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개발하고 촉진하는 유인 역할을 할 수 있다. In order for us to enhance the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it should be required to endure or conduct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alysing and evaluating various ideas and arguments. Because in case we do not know anything about the process of making ideas or arguing, we never discern what the ideas or arguments as products might have meanings for someone or even for us. As the product-based knowledges are only fractional, they become useless when the given problematic situation is altered. The substantial knowledges concerning how some ideas or arguments relate to others while crossing over various disciplines or problem areas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ocess-based learning. Logic in its most general sense concerns the long-tim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nquiries about the structures of understanding, analysis and evaluation themselves. Accordingly, it is most effective to establish the logic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so as to teach the required critical thinking skills. Argumentation is just where th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is most importantly used. Students can understand, through the argumentation-oriented learning, the practical reasoning and persuasion activities made in various studies and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reasoning and proofs therein. With the argumentation-oriented learning, the procedures may be ordered such that the target arguments to be evaluated are pre-determinately bisected into two different (deductive/inductive) types, and then, the analysis/evaluation instruments allegedly belonging to the respective types are applied thereto. However, such procedures turn out to be not pedagogically efficient in dealing with the real arguments. It may be proper to identify, analyse and evaluate the target arguments in situ, each depending upon the particular context and situation thereunder. Of course, the context-dependently identified arguments will be naturally falling into some argument types possibly complicated and diversified, followed by the argument analysis and evaluation adapted thereto. In this way, the students more fully understand the origin and usage of the principles or rules of logic and the importance of contexts in the applications thereof, and this understanding well serves them to develop and facilitate the right-directed logico-critical thinking.
홍경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concept of science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eneral or liberal education. Science, in its extensive usage, permeates all of the academic regions to insure their objectivity and liberate the participants therein. As general or liberal education also covers all of the academics in an overall aspect, while also aiming for the liberation of people, the spirit of science penetrates to the heart of such an education. But it seems that the usage of science is narrowly restricted only to the results of professional scientific technology, and not in a broader sense. The inclusive feature of science is embodied not in its content, but in its method or attitude. Science finds its proper province by giving only a hypothetical status to all of the theoretical knowledge, till this knowledge is confirmed through experience or experiments. Furthermore, new possibilities arise allowing for learners to explore, rather than safely remaining confined in the given facts. The Deweyan image of science intelligibly reveals in a most humble and intimate manner that science is a means of giving meaning to the so-called facts, while at the same time letting its practitioners inquire into new possibilities that transcend those fac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Deweyan science image may be accommodated into the general or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re that it might function well as an educational avenue for liberals, as well as for those in other fields of study. 교양교육에서 과학 개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학은 그 폭넓은 활용에서 모든 학문 분야에 침투하며, 학문의 객관성을 보증하고 그 학문에 임하는 자의 정신을 해방시킨다. 교양교육 역시도 일반교육으로서는 모든 학문 분야를 포괄하고 자유교육으로서는 인간 해방이라는 목표를 지니고 있기에, 과학은교양교육의 심장부에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실제 교양교육에서 과학은 그 폭넓은의미보다는 자연과학이나 공학 분야에 제한되는 좁은 의미에서 전문적인 과학기술의 결과물을 가리키게끔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이 갖는 포괄적인 의미는 내용이 아니라 방법이나 태도에서 발견된다. 경험이나 실험을 통한사실 확인이 이뤄지기 전에는 모든 이론적 지식에 가설적 지위만을 부여하는 방식, 기존에 주어진사실보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고 모색하는 태도가 바로 그런 과학의 본령에 해당하는 것이다. 듀이의 과학 이미지는 과학이 사실에 의미를 부여하는 도구가 됨과 동시에 사실에 기초하면서도 그것을넘어서 새로운 가능성들 내지는 목표들을 찾게 해주는 인간 활동임을 가장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일상적삶과 맞닿는 소박한 방식으로 드러낸다. 이런 듀이적인 과학 이미지를 교양교육에 도입할 때, 교양교육은일반인을 위한 일반교육과 자유인을 위한 자유교육으로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홍경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3
The term ‘reflex arc’ is used in psycho-physiological theory such that the sensory-motor mechanism has a shape of an arc from the sensory nervous system to the motor nervous system via the brain and spinal cord. As experimental psychology has emerged and developed, such a reflex arc mechanism has come to be seen as an extremely basic explanation model of explaining the sensory-motor process. Thorndike had positively theorized the reflex arc model by applying it to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while Dewey objected thereto. The reflex arc theory of Thorndike was largely accepted by educators during the middle and later periods of twentieth century, but Dewey’s objections thereto did not exert any touchable practical effect. Here, pro and con positions to the reflex arc model will be presente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citing Thorndike and Dewey, respectively. Deep consideration will be given to what implications such reflex arc-related pro and con positions have as to education as such, while the way and the results of building the education as science on the model of reflex arc being tested and evaluated. The genuine science of education turns out to conform in purpose to that of liberal education as such, so that in-situ educators of liberal education serve important roles in realizing such a science, and act as a specialist-practition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improper implications of the reflex arc model to education could be dissolved or removed by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holistic transactions between the teacher-learners as well as between the peers. 심리생리학 이론에서 ‘반사궁’은 감각 신경계에서 척수나 두뇌를 경유하여 운동 신경계에 이르는 감각-운동의 기제가 궁이나 호의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험 심리학이 생겨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반사궁 기제는 감각-운동의 과정이나 구조를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설명모형으로 기능하였다. 손다이크는 반사궁 모형을 적극적으로 교육심리학 분야에 적용하여 이론화시켰고, 듀이는 그런 반사궁 이론에 대해 크게 반대했다. 20세기 중후반에 걸쳐 손다이크의 반사궁 이론은 교육계에 상당하게 수용되어 큰 흐름을 형성했지만, 반사궁에 반대하는 듀이의 주장은 실제 별다른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여기서는 특히 교육 분야에서 반사궁 모형에 대한 찬반의 입장을 각기 손다이크와 듀이를 인용하여 제시하고, 그 찬반의 입장이 교육 일반과 관련하여 중요한 함의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사궁 방식의 과학적 심리학에 기초하여 교육을 과학으로 정초하는 방식과 그 결과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제기한다. 반사궁에 대해 유기적 협응을 추구하는 방식이 교양교육 일반의 목표와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그 목표 실현에서 현장 교육자가 연출하는 주요한 역할에 주목한다. 교양 교육자를 특히 전문가이자 실천가인 전문 실천가로서 규정하고, 동료와 교수-학습자 간의 총체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이해를 통해서 ‘반사궁 이론이 교육에 대해서 갖는 부적절한 함의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논증한다
대학 인성 교육과 도덕윤리 교육 ― 대학의 역할에 대한 반성
홍경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The mo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e made to heighten the students’ self respect based on self-imposed or self-regulated reflection. For this purpose, it is required to educate not by instructing rules or values to the students, but helping them to create their own values. This makes it possible to sustain essential human values in highly volatile future societies. In this respect, the character education which fosters passivity of the students so as to produce adaptive persons is not suitable for the university-leveled morality. The Deweyan dramatic rehearsal exhibits a typical pedagogic mode of moral imagination as a source of value creation under the classroom environments. The drama component refers to the contextual aspect of morality, and the rehearsal is adopted in that the possible results of decisions or actions could be repeatedly tested without suffering their practical damages or losses. With the dramatic rehearsal in classrooms, students might be richly aware of complex relations and effects of various beliefs, decisions, choices and actions. The education of sympathy being another face of moral imagination may be made by way of using literary works, as proposed by Martha Nussbaum. The literature embodies many ways of living so that readers could indirectly undergo the experiential worlds of others. Any works capable of experiencing other lives or cultures may be utilized for the sympathetic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maginative reflective morality could be cultivated only in the soil of autonomous self-liberating minds. 대학 도덕윤리 교육은 자율적 반성에 근거한 자기존중을 일궈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규칙이나 가치를 전수하는 방식이 아니라 가치 창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는 변화가 극심한 미래사회에서 고유한 인간 가치를 지켜나가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인 요건이다. 그래서 수동성을 조장하고 순응적인 인간을 양산할 수 있는 인성교육은 대학 교육으로 적합하지 않다. 듀이의 극적 시연은 학교에서 이뤄질 수 있는 가치 창출의 근원으로서 도덕적 상상력 교육의 전형을 보여준다. 극적인 이유는 도덕윤리의 맥락적인 성격 때문에 그러하고, 시연인 이유는 가능한 결과의 시험을 실제적인 피해 없이 되풀이하여 시도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그러하다. 교실에서 이런 극적 시연을 통하여 믿음, 결단, 선택, 행위들 간의 가능한 연관과 효과를 풍부하게 의식하게 된다.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서 특히 중요한 공감 교육은 예컨대 누스바움이 제안하는 문학 작품을 재료로 하여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문학 작품은 수많은 삶의 방식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이 경험해보지 못한 타인의 경험 세계를 탐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굳이 문학작품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자신과는 다른 삶이나 문화를 경험하게 해줄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떤 것이든 공감 교육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모색 능력과 공감 능력은 도덕윤리 분야에서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도덕윤리라고 하는 것 자체가 기존의 관계를 평가하고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성찰적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성찰적 작업은 오로지 ‘자율적 정신’의 토양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유 교육이다.
홍경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A metaphor harmful to argumentation, “argument is war,” is widely distributed, and used. As is like with the war, the argumentation addressing various kinds of arguments is accompanied with many harmful attitudes because it is assumed to be quarrels among adversarial opponents. Particularly, quarrels for winning the debate reveal adversariality comparable to that of real battles or wars. An attempt is made in this paper to recognize the harmful effect of the adversarial attitude with the argumentative discourse, and find a way of mitigating it. However, it is also noted that such an adversarial property does not inevitably lead to the bad or the harmful. It follows from testing the merits and the demerits of arguments taken as wars to arguments as cooperative agreements that the argumentative adversariality can be so minimized as to make the argumentation vivid and alive. That is, it does not just suffer losses, but gives benefits. 논증 일반에 대해서 유해할 수 있는 은유가 편재해 있다. ‘논증은 전쟁’이라는 은유가 그것이다. 전쟁이 그렇듯이 논증은 적의를 가진 이들이 싸움을 벌이는 것으로서 수많은 유해한 태도들을 동반한다. 특히 토론에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벌이는 싸움은 실제 전쟁에 비견되는 적의를 드러낸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 논증 과정에 대해서 지적되는 이런 적대성의 측면이 유해한 것임을 인정하고 그런 성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그렇지만 또한 이와 더불어 그런 적대성은 다만 유해하기만 한 것은 아님을 드러낸다. 논증을 적대적인 논쟁으로 바라보는 시각부터 논증을 협의로 바라보는 시각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점의 공과를 시험하여 이렇게 결론짓는다. 논증 과정에 자리한 적대성은 그 과정을 생생한 것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정도로 최소화될 수 있고, 그런 최소 적대성은 유해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득을 줄 수 있다.
도덕적 행위 양식으로서 듀이적인 극적 시연의 기능에 관한 연구
홍경남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5 No.-
The deweyan dramatic rehearsal is examined by clarifying and detecting its meaning, its features, and its significance in thinking. Dewey refers to the practical thinking for making moral choices or decisions as a ‘moral deliberation,’ which indicates not the inner episode within a niche of the human mind, such as ‘introspection,’ but a way of conduct. This is because the deliberating persons may change the world by making choices, while affected by the deliberated contents or objects and transformed in themselves. Dewey calls such a moral deliberation the ‘dramatic rehearsal’ in that the possible courses of conduct be imaginatively experienced, and thus, dramatically rehearsed. The activity of thinking amounting to the practical conduct may render great service to finding the educational problems of critical thinking, and solving them. It will be tested how the deweyan dramatic rehearsal be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al learning, theoretical development, and life management. 듀이적 극적 시연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과정의 특이점을 고찰하며, 사고 일반에서 그것이 갖는 의의를 검토할 것이다. 듀이는 도덕적인 선택이나 결단에 이르는 실천적인 사고 일반을 ‘도덕적 숙고’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런 숙고가 다만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내성’과 같은 내적 사고가 아니라 일종의 행위(행위 양식)라고 본다. 왜냐하면 그것이 선택으로 이어져 세계를 변화시킬 수도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사고의 대상이나 내용이 사고하는 자 본인에게 실제적인 영향을 끼쳐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이런 도덕적 숙고를 가능한 행위 경로들을 상상으로 미리 걸어본다는 의미에서 ‘극적 시연’이라고 칭한다. 이렇게 세계만이 아니라 자신에게도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그 모두를 변모시킬 수 있는 행위에 준하는 의미의 사고에 초점을 맞추는 일은 기존의 사고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 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듀이적 극적 시연이 교육적, 학문 이론적, 실천적 삶의 문제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 탐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