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공주의와 그 적들

        선우(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일련의 사회적 정치적 현안들을 통해, 현 보수 정권은 ‘총체적’ 무능과 부도덕성, 오만과 독선, 부정의와 퇴행적 민주주의의 실체적 본성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절반’(?)은 그야말로 철옹성처럼 단단히 결집하여 현 집권 세력을 한 결 같이 지지 옹호하고 있다. 이처럼 비합리적인 ‘모순적인’ 사태가 야기된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논자는 다음의 사실을 ‘주된 원인’의 하나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곧 시대착오적 유물로 전락해 가고 있다고 봤던 반공주의라는 ‘사상적 망령’이 현 보수 집권 세력에 의해 다시금 정교하게 변용되어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의 ‘실체적 진실’이 바로 그것이다. 현 보수 정권은, 과거 독재 체제의 ‘정당화 논리’로 기능했던 반공주의를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게끔 변용하여, 한층 더 왜곡되고 강화된 ‘전투적 이념 대결 구도’를 구축하여, 현정권에 부정적인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소위 ‘적대적 이념 세력’으로 규정하여 배제해 버리면서, 오직 현 정권을 지지하는 구성원들만을 공고히 규합 통합하는 소위 ‘배제적 국민 대통합’ 전략의 기본 원리로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한에서, 명색이 ‘민주화된’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는 일종의 변형된 ‘정권 정당화’ 논리로서 새롭게(?)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a series of social political pending issues and problems, the current conservative regime of Korea has been revealing its overall incompetence, immorality, arrogance, self-righteousness, and its true colors of the regressive democracy. But in spite of such a true state, the nearly "half(?)"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upport ardently Park regime as ever in a mass like an impenetrable fortress. Maybe various factors and causes have brought out such an irrational contradictory situation.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suggest a inference as given below as a main cause. That is to say, the "Korean reality" that the present governing power is making a bad use of anticommunism which seemed an anachronistic relics politically by transforming exquisitely it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at is what I call the main cause of such the state of affairs. In short, by transforming the anticommunism which has played a role the justification logics for the dictatorship government in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nstructing the militant ideological confrontation which is distorted and fortified, the present ruling clique utilize it politically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clusive-integrative two nation strategy. And it is contrived as a sort of method of ruling which on the one hand, excludes the Korean members who have the negative and critical attitude to Park regime by dint of defining them as the hostile ideological forces, on the other hand, gathers and consolidates the Korean members who will back up and advocate ardently Park regime. In that sense, in the so called ‘democratized’ Korean society of today, the anticommunism is performing its role and function now as a sort transformed justification logics of the present regime.

      • KCI등재

        佛敎 和合僧의 실현에 대한 一考 -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중심으로

        신성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승가의 생활은 안거제도가 시행되면서 급속하게 변화한다. 안거는 정주생활과 아울러 공동생활을 하 는 계기가 되었다. 공동생활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 대중의 화합이 깨어진다면 승 가는 존속될 수 없다. 불교승가를 명확히 특징짓는 단어는 화합승이다. 따라서 승가의 모든 생활은 화합을 지향하여야 한다. 승가의 대중은 현전승가에서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여야 한다.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는 것은 사방승물을 공평하게 배분하여 사용하고, 승가에 보시되는 물품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의식주 생활의 화합은 현전승가의 모든 대중들이 보시 물에 대하여 욕심을 내지 않고, 분배해 주는 것을 만족스럽게 받아서 간소한 생활을 추구할 때 이루어 진다. 승가는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재가자가 보시하는 물품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승가는 재 가자가 사용목적을 지정하여 보시하는 비용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방승가에 보시하는 물품들 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현전승가에 분배할 목적으로 구한 물품을 개인에게 돌리는 등의 어떠한 행위도 금지하였다. 이것은 승가의 전 대중들이 공평하게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으로 승 가의 공동생활에 저해가 되므로 금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가는 의식주의 분배와 사용에 공정성을 위해 서 知事比丘를 선출하였다. 승가의 대중은 지사비구의 물품 분배에 다소 불만이 있을지라도 표출할 수 없고, 물품 관리의 전권을 위임받은 소임자의 분배에 만족해야 한다. 이로써 승가는 의식주의 공동생 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었고, 화합이 성립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승가화합은 승가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생활로 하는데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붓다는 승가의 공동생활을 저해하는 악행을 금지하는 규칙을 율로서 제정하였다. 이러한 내 용은 바라제목차(pātimokkha)를 통해 상세히 볼 수 있다. The life of Buddhist priesthood has been deeply changed as a system of settle-down was established, which has also paved the way for communal life along with staying in a certain place rather than going around. Communal life is based on the premise of public's harmony; once it is broken, the Buddhist priesthood cannot be continued. One of the key words to characterize the Buddhist priesthood is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erefore, harmony should be the path for every perspective of the Buddhist priesthood life. Public of the Buddhist priesthood should live a communal life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sammukhībhūta- saṃgha, which means an equal distribution and usage of commodities and temple offering. Moreover,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can be fulfilled as every public in sammukhībhūta-saṃgha is not greedy for temple offering, satisfied with what was distributed to achieve simple life. While living a simple life, receiving and using temple offering from home-staying Buddhist was permitted in the Buddhist Samgha. In addition, it was prohibited for the Buddhist priesthood to use expenses of temple offering for other purposes by assigning purpose of usage from a home- staying Buddhist. Also, the Buddhist priesthood has warned that giving individuals temple offering for cātuddisa-saṃgha, and purchasing commodities and giving them individuals with a purpose of distribution as it impedes communal life by depriving public of the right for distribution and usage. To attain justice in distribution and usag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uddhist nuns was selected who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ommodities. Even though there may be somewhat dissatisfa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odities, public should not express it, while they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by the manager. In this way, communal life can be sustainable without difficulties and ultimately it can achieve a harmony. To sum up, the harmony of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life of its members. As such, the Buddha made rules to prohibit misdeeds hindering communal life of the Buddhist priesthood, which also could be explored through pātimokkha.

      • KCI등재

        요대(遼代) 선연(鮮演)에 수용된 법장(法藏)의 화엄사상

        박은영(지)(Park, Eun-Young (Ven. Ji-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중세 동아시아의 화엄사상은 법장에 의해 대성되고, 징관에 의해 혁신을 거듭한다. 당대(唐代)에 확립된 화엄교학은 이후 북송(北宋)에서는 법장의 화엄학이 중시되었던 반면에, 같은 시기에 요대(遼代)에서는 특히 징관의 화엄학이 중점적으로 연구된다. 따라서 요대에는 법장이 큰 연관이 없는 것 같지만 사실은 요대 화엄학 저술인 선연의 『담현결택기』6권속에서 법장의 사상은 충실히 수용되고 있다. 징관의 『대소』와 『연의초』가 법장을 종지로 받들어 지어진 것이고, 『결택기』가 그것의 주석서인 점에서 볼 때, 『결택기』에는 그 자체로 법장의 사상이 녹아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결택기』에 인용된 문헌 중에는 법장의 저술인 『교의분제장』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또 다른 저술인 『지귀』, 『탐현기』, 『기신론의기』도 직접 · 간접적으로 인용되었으며, 선연은 매우 빈번하게 ‘현수의 뜻’을 회통하고 있다. 내용적으로는 『현담』 본문의 제1장 「교장소섭(藏敎所攝)」과 제2장 「의리분제(義理分齊)」부분에서 많이 인용되었는데, 특히 일승과 삼승의 불일불이(不一不異), 동교일승 ․ 별교일승, 5교교판과 십현문 등 화엄일승원교의 의리를 밝히는 데 있어 주요쟁점들을 선연이 법장의 사상을 통해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본 논고에서는 『결택기』에 인용된 법장의 저술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서 선연이 법장의 사상에서 무엇을 강조하고 있고, 석성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서 선연에게 수용된 법장의 화엄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요대 화엄사상속에서 법장 화엄사상의 위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Chinese Buddhism and especially Huayan thought flourished in the Liao dynasty 遼(916-1125) and was based on Chinese translations of Buddhist literature made during the Tang dynasty 唐 (618-907). Huayan Jing Tǎnxuan Juezĕ Ji, written by Xianyǎn 鮮演(1040-1118), was one of the later annotations to the Xuant-1 玄談 from the 20 volumes of Dafang’guangfo Huayan Jing Shu 大方廣佛華嚴經疏 and the 40 volumes of Suishuyanyi Chao 隨疏演義鈔, which was widely known as a distinctive commentary on the 80 volumes of the Avataṃsaka sutra written by Qingliang Chengguan 淸涼 澄觀 (738-839). Juezĕ Ji was annotated for Xuantan 玄談 in a very clear and accurate tone, as the way in which Xianyǎn’s opinions were absorbed in the writing of Chengguan did not include notes or as water permeating into any objects. We are able to see that Juezĕ Ji was annotated in Xianyǎn’s own unique way, which made Chengguan’s writings clear and obvious. Additionally, Juezĕ Ji frequently quoted classic literature, Fa-Tsang 法藏 (643-712) wrote and the number of quotes ranged from twos to score every fascicl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same way as Xianyǎn was absorbed in Chengguan’s writing, the essence of the Huayan thought of Fa-Tsang was accepted by Xianyǎn from the Liao period in Juezĕ Ji.

      • KCI등재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에 대한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의 결과

        김세훈,공현식,이세연,이민호,김지형,백구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4

        Purpose: A number of procedures were introduced to stabilize the 1st metacarpal bone after resection of the trapezium in the thumb carpometacarpal joint (CMCJ) arthroplasty. However, some surgical procedures may inevitably damage normal structures, such as harvesting tendons or drilling of a bone for tendon passage.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is relatively less invasive and easier to perform than the previously described surg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therapeutic efficiency of the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2 patients who underwent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thumb CMCJ arthritis.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satisfaction about surgical outcomes,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and the Trapezial Space Ra-tios were measured. Satisfaction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very dissatisfied” (0) to “very satisfied” (10).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3 months. Pain VA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7.0 to 2.9 (p<0.05). And mean satisfaction scale was 6.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SH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surgery (p=0.06). The mean trapezial space ratio was calculated to be 0.45 before surgery, 0.33 immediately after surgery, 0.23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is a satisfactory surgical procedure. And compared with other procedur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the trapezial space. It may be useful in advanced thumb CMCJ arthritis. 목적: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thumb carpometacarpal joint arthritis)에 대한 관절성형술로 대다각골을 제거한 후 중수골을 안정시키는 여러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은 덜 침습적이면서 술식이 쉬운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 환자에서 이 술식을 이용하여 수술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으로 진단받고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시각통증척도, 수술만족도, DASH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를 조사하였고, 단순방사선 검사에서 대다각골 공간 비율을 계측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3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통증 점수는 7.0에서 2.9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호전을 보였고 (p<0.05), 수술만족도는 평균 6.9였다. 그러나 수술 전후 DASH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6). 평균 대다각골 공간 비율은 수술 전 0.45, 수술 직후 0.33, 마지막 추시 시 0.23이었다. 결론: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은 수술 결과가 만족스럽고, 다른 술식과 비교하여 중수골 침강에 의한 대다각골 공간의 감소도 큰 차이가 없어 진행된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 환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最勝太子別壇供養儀軌』 연구(1)*

        강대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0 No.-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는 북방 비사문천의 삼남 최승태자와 관련된공양법을 적은 의궤이다. 2010년 일본 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이 의궤는 1133년 필사된 것으로, 신라 현초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기록이 의궤의 오서에 기록되고 있다. 총 1,570여 자로 이루어진 이 의궤는 만다라 중앙의 10천왕, 제2원의 22왕, 최외원의 5장군 등을 배치한후 화신의 모습을 나타낸 최승태자의 인상착의 및 소지하고 있는 법구등을 통해 그의 위신력을 보여준다. 이어서 만다라 작단이 거행되는데, 높이 1척 너비 4주의 만다라를 건립하고 갖가지 장엄단을 갖춘 후 삼밀수행을 행한다. 의궤 부분의 마지막에는 중생의 현실적인 식재 및증익을 도모한 최승태자 공양의 공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른바 오서 에서 ‘보수사 현초가 이 의궤를 지었다.’라고 혹자가 전하는 내용과 함께 알 수 없는 저자에 의해 1133년에 이 의궤가 필사되었음을 밝히고있다. 본고에서는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의 내용 분석보다는 원전의판독에 중점을 두었으며, 형식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不空譯, 『北 方毘沙門多聞寶藏天王神妙陀羅尼別行儀軌』(T1250)를 비교하였다. 비록 이 의궤의 중요성이 가볍지는 않지만, 우선적으로 이 의궤의 찬술자 및 필사자에 대한 객관성 확보와 더불어 원문의 온전한 판독을 통한 완벽한 해석 등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구지역 일반인들의 언어치료 이미지 인식 조사 연구: 스피치 교육과 관련하여

        현정임,최양규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Speech therapy is widely regarded as a prospective job in Korea. However,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speech therapy by the general public and it is often confused with speech education. To dat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speech therapy in the general population has been limited to teachers and adolescent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education and speech therap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rveyed how people perceive speech therapy and how it relates to speech. Methods: We distributed 250 questionnaires to Daegu employees who is working in Daegu and surrounding people of friends. The final number of respondents was 201 and 196 copies were used as the analytical data except 5 copies which can not be used as data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sults: A total of 61.2% of respondents had heard about language therapy. The majority of people (68.4%)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at do you think language therapy does?" with "Helps people who stutter.". In the question about who is suitable as the speech educator, the speech therapist was the highest with 76.5% and 91.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speech education conducted by speech therapis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peech therapists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so that they could be more proficient in speech training.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eople in Korea think that speech therapy and speech are similar. However, the positive opinion of the speech therapist on speech educ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speech therapy. 목적: 언어치료는 국내에서 꾸준히 전망 받는 직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일반인들의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으며 스피치 교육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일반인의 언어치료 인식에 관련된 연구는 교사, 청소년에 국한되어 이루어졌으며 스피치 교육과 언어치료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언어치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스피치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대구지역 직장인 및 지인들의 주변인들에게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최종 응답자수는 201명이었으며 무성의하게 응답하여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5부를 제외한 19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언어치료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는 어떤 대상자에게 행해진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말을 더듬는 사람(68.4%)이라고 응답하였다. 스피치 교육자로 적합한 사람에 관한 질문에서는 언어치료사가 76.5%로 가장 높았으며 언어치료사가 행하는 스피치 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수가 91.8%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으므로 더 전문성 있게 스피치 훈련이 가능할 것 같다고 하였다. 결론: 국내 일반인들이 언어치료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않고, 언어치료와 스피치를 유사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언어치료사의 스피치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어 언어치료 영역의 확장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신라승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실담아자(悉曇字)에 대한 삼종비석사상(三種비釋思想)

        강대 ( Dae Hyun K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는 『대일경』 제7권, 공양차제법에 대해서 8세기경 신라의 승려 불가사의가 주석한 책이다. 이 『소』의 찬술자 불가사의는 신라의 의림, 현초는 물론 『대일경의석』을 지은 일행(一行) 등과 함께 선무외(善無畏)삼장의 같은 문하이기도 하다. 이 『소』에서는 모든 자(字)의 모[母, 근본]로서 비로자나여래의 종자심진언(種子心眞言)인 자를 나타내어 진언수행의 성취로서 ‘실담자’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담자’가 진언행자와 대일여래의 삼밀가지(三密加持), 즉 입아아입(入我我入)의 완성자(完成字)인 것이다. 또한 이 책의 말미에는 불가사의만의 독특한 자에 대한 해석법으로서 3종의 비석(비釋)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비밀석(비密釋), 비밀중비석(비密中비釋), 비비중비석(비비中비釋)이다. 여기에 모든 경전 등의 기본적 해석법인 천략석(淺略釋)을 포함하면 4종비석이 된다. 특히 이러한 4종비석은, 선무외와 일행의 제경문(諸經文)을 포함한 모든 진언의 천략석과 심비석과는 달리, 자 본불생(本不生) 등의 이치는 물론 자의 설주(說主)에 대한 설정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의 설주 및 자 본불생 등의 심비적 진실의에 관해서는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의 저본(底本)인 선무외의 『대일경』은 물론 일행이 기록한 『대일경소』, 그리고 『대일경의석』에서 조차도 등장하지 않는 신라승인 불가사의만의 독특한 철학적·심비적(深비的)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후일 일본밀교에서 이러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의 핵심사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9세기말경 일본 태밀(台密)의 대성자인 안연(安然)은 일본 진언종의 모든 경문을 포함한 밀교경궤(密敎經軌)와 진언 해석의 근본사상으로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을 매우 중시하게 된다. 또한 일본밀교의 특성상 실담자모(悉曇字母, Siddha-matrka)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데, 이 과정에서 불가사의의 4종비석은 그 해석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신라승 불가사의가 정립한 4종비석은 진언수행의 성취를 나타내는 실담자의 가장 밀교적인 양상을 특징짓고 있다고 할 것이다. The book, the Commentary code of training for Mantra Practice on Mahavairocana-sutra『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It corresponds to the Mahavairocana-sutra『大日經』 vol. Ⅶ], is a comment on Silla monk Bulgasayi不可思議 about the code of training for mantra practice at 8th century. The author of this book, Bulgasayi, and Yilim義林 and Hyuncho玄超, Explanation of the Meanings of the Mahavairocana-abhisambodhi-tantra『大日經義釋』 as well as wrote Yixing一行 is also, along with Subhakarasimha善無畏``s disciples. He predicts the letter siddham as a accomplishment of mantra practice by the mantra of heart``s seed of Mahavairocana at the root of all the letters in this book. So this the letter siddham is seed word of Mahavairocana and achieved word as the interpenetration of the Buddha and the individual. The last part of the book, he suggests his own unique analysis three ways to be mysterious as the analysis method of the letter siddham , that is ``a secretly explain비密釋``, ``a spiritual explain among explain secret비密中비釋``, ``a profound spiritual explain among explain secret秘秘中秘釋``. Especially the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with set the lord of explain the letter is truly one of the performing esoteric theory in contrast with Subhakarasimha and Yixing``s two kinds of explain as a transmission of the teaching from master to disciple secretly. Therefore, set theory of the lord of explain the letter and it originally unproduced, it is a unique definition of philosophical and profound theory set by the Silla monk Bulgasayi. Furthermore, his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is in charge of a key role to the process of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in Japan esoteric Buddhism finally, the end of the 9th century, it is generalized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by Annen安然, as the man of attainment of greatness Tendai as esoteric school天台密敎, through combined the Subhakarasimha and Yixing``s two kinds of explain and Bulgasayi``s three kinds of spiritual explain.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has been unfolds a basis idea of explaining mantras including all of the sutras and regulations and scriptures in Japan Shingon Buddhism日本眞言宗. Thus, the four kinds of spiritual explain set by the Silla monk Bulgasayi, it is the most esoteric aspects that will show the letter siddham as a accomplishment of mantra practic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의 경쟁성 및 결정요인 분석

        (玄承鉉),윤성식(尹聖植) 한국지방자치학회 2011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3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competitiveness and its determinants of contracting-out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First, as a result of HHI (Herfindhal-Hirschmann index), 119 local governments have possibility of competitiveness while 36 local governments tend to have monopoly. Based on this, rural areas are 3.09 HHI, urban areas is 1.01 HHI. It shows that the monopolies tend to be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determinants of contracting-out in social welfare services is that a place where has a lot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high social welfare budgets tends to avoid contracting-ou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re worried about the loss of control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ir rights. Not only those but also it is related with social welfare budgets. For those reasons, we can imply the difficulty of decision contracting-out. But, there is difficulty to make theoretical generalization with this study. Because it is used a single statistical yearbook of local governments' data and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of bureaucratic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