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억과정에 관여하는 신경화학물질들의 역할

        현성용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1999 社會科學硏究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전달물질과 내분비 호르몬 등 신경화학물질들이 기억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들을 개괄해 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도파민, 노어에피네프린의 경우 효능제들은 일반적으로 기억을 향상시키며, 길항제들은 기억결함을 일으킨다. 그러나 세로토닌과 GABA의 경우에는 효능제들이 기억결함효과를, 길항제들이 기억향상효과를 일으킨다. 흥분성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의 경우 NMDA 수용기 효능제가 기억을 증진시키며, 길항제는 기억결함을 일으킨다. 호르몬들의 경우 에피네프린, 코티코스테론, 바소프레신은 기억을 향상시키지만 ACTH는 기억결함을 일으키며 oxytocin은 주입된 뇌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일으킨다. 이러한 주 효과들 외에도 각 신경화학물질들은 다른 물질들과 상호작용하여 기억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즉 아세틸콜린은 도파민, 세로토닌, GABA 등과 상호작용하며, 도파민과 NMDA 수용기에 작용하는 약물들 간에도 상호작용한다는 증거들이 있다. 그러나 신경전달물질의 경우 수용기가 여러 종류의 하위 유형들로 나누어질 수 있고, 각 수용기의 유형에 따라 그 기능에 차이가 나는 경우들이 있는데, 아직까지 그러한 수용기의 유형에 따른 각각의 기능 또는 수용기들 간의 상호작용패턴 등에 관해서는 일치된 결과들이 부족하다. 또한 다양한 신경화학물질들이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기억과정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분석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기억의 신경화학적 연구들은 단일 약물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약물들을 함께 사용하여 약물들 간 또는 수용기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실험과제의 특성을 명확히 분석하여 약물 처치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억과정에 관여하는가를 규명해야할 것이다.

      • 우울증에 대한 동물 모형으로서 CMS 처치가 흰쥐의 수동회피학습에 미치는 효과 : An Animal Model Depression

        현성용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1999 社會科學硏究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 스트레스(CMS : Chronical Mild Stress)모형을 이용하여 동물에게 우울증을 야기 시킨 후 CMS처치가 동물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끄러운 소리나 번쩍이는 빛, 먹이나 물의 제한, 거주 환경 악화 등의 경미한 스트레스를 4주 동안의 CMS처치 후 수동회피학습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CMS 처치를 받은 쥐들은 평상시 선호하던 자당 용액을 점차로 더 적게 섭취하였으며, 체중 또한 자당 섭취량과 높은 상관을 보이며 점차 줄어들었다. 이러한 정적 강화물에 대한 선호도의 감소와 체중 감소는 우울증의 지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CMS 처치 4주후에 수동적 회피조건화를 실시한 결과 아무런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쥐들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쥐들은 학습 시행에서 습득율이 더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서 접하는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와 유사한 CMS 처치가 우울증에 대한 동물 모형으로서 적절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중격손상이 흰쥐의 능동 회피학습에 미치는 효과

        현성용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1985 行動科學硏究 Vol.7 No.1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the one-way avoidance deficit of the septa) rat is due to the intertrial handling. Twenty-eight albino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pta) lesioned group or operated control group. All subjects were handled for 10 days after surgery, and they were given to an emotionality test, a four point rating scale technique by Brady & Nauta (1953), at the 11th and 12th postoperative day. After the emotionality test, subjects were trained to a criterion of 9/10 avoidance responses in a oneway active avoidance task. In the results, septa) rats were not different from control in emotionality, and they acquired oneway avoidance responses more poorly. It suggests that the deficit of septa) rats in one-way avoidance task was not due to the intertrial handling.

      • 측핵 Dopamine계가 장소선호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현성용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4 No.1

        본 연구는 측핵의 dopamine성 입력이 먹이와 같은 자연적 강화자의 강화효과를 매개하는 신경화학적 실체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 1에서는 측핵의 dopamine성 신경종말을 6-OHDA로 손상시켰으며, 실험 2와 실험 3에서는 dopamine성 수용기를 차단하는 약물인 haloperidol을 측핵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행동적으로 강화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건화된 장소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측핵의 dopamine성 신경종말이 파괴되거나 또는 측핵의 dopamine성 수용기가 차단되면 조건화된 장소선호에 결함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처치들이 동물이 섭취한 먹이의 양이나 왕복상자에서의 이동회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핵의 dopamine성 입력이 차단된 동물에게서 나타난 조건화된 장소선호의 결함이 동기적인 요인이나 운동결함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강화자의 강화적 속성이 차단되었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3의 haloperidol+haloperidol 집단에서도 조건화된 장소선호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결과가 상태의존적 학습 때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실험 3의 식염수+haloperidol 집단에서도 조건화된 장소선호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측핵의 dopamine성 전도가 조건강화자의 강화효과를 매개하는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뇌 자기자극이나 보상적 약물들의 강화적 효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써, 측핵으로 들어오는 피개선조로 dopamine이 강화자의 강화적 속성을 매개하는 신경화학적 실체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dopaminergic input to the nucleus accumbens in the reinforcing effects of natural rewards using the place preference paradigm. In experiment 1, 22 male albino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One group had received 6-hydroxydopamine(6-OHDA) lesions of the nucleus accumbens. The other two groups were used as sham operated or no food control group, 6-OHDA lesion group did not show the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and it was similar to no foo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number of crossing.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see whether dopaminergic receptors in the nucleus accumbens were involved in the food reinforcing process. Haloperidol(0.5㎕, 1.0㎕) was injected just before being placed in the non-preferred compartment with food, and saline was injected just before being placed in the preferred compartment with no food. Only saline was injected to two control groups, one group was received food in the non-preferred compartment and the other group was received no food in either compartment. Results revealed that haloperidol groups and no food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number of crossing. Experiment 3 was conducted to test state dependent explanation of the result of experiment 2, and also to examine whether tegmentostriatal dopamine influences to the response with conditioned reinforcer even when primary reinforcer is not presented. Thir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ither saline or haloperidol(0.5㎕) was injected with into the nucleus accumbens during the conditioning phase. Before the test phase,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wo. Either saline or haloperidol(0.5㎕) was injected again to sub-groups just before being tested. Results revealed that only those rats that were injected with saline during conditioning and test phase significantly changed their preference to the compartment associated with food. None of the other three groups(saline+saline, haloperidol+haloperidol, haloperidol+saline treated) changed their pre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ficit in haloperidol treated rats was not due to the state dependent learning, and that haloperidol blocked the response to the conditioned reinforcer. Taken toge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tegmentostriatal dopamine takes part in the reinforcement process of natural reward.

      • 중추 도파민계와 측핵의 기능

        현성용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1 社會福祉硏究 Vol.19 No.-

        The central dopaminergic (DA) system consists of nigrostriatal pathway, mesolimbic pathway, and mesocortical pathway. It is well known that the nigrostrital DA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tor control. And many researchers have been related mesolimbic and mesocortical DA system with psychopathology, motivated behavior, and attentional process.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mesolimbic DA projection form the ventral tegmental area (VTA) involved in the gate control of the nucleus accumbens. Anatomically the nucleus accumbance receives projections from various limbic structures and DA projection from the VTA, and its efferent projects the basal ganglia. Electrical or chemical treatments of the nucleus accumbens influenced various behavior, including locomotor and exploratory behavior, motivated behavior, self-stimulation, psychopathology, and learning. Thus some investigators had came to think of the nucleus accumbens as a neural interface between limbic forebrain structure and the basal ganglia. This view had led suggestions about the possible functional role of the nucleus accumbens in translating motivational-emotional determinants of behavior into action. Some aspects of this view was supported by electrophysiological or chemical resul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behavioral studies of the role of neural projections from limbic structures to the nucleus accumbens. And it also remains for future experiments to determine whether descending limbic modulatory influences on the VTA contribute to the nucleus accumbens gating mechanism.

      • KCI등재

        경량 단말기를 사용하는 HACCP 자동화 시스템의 통신 미들웨어 설계

        현성용(Sung-Young Hyun),차경애(Kyung-Ae Cha),홍원기(Won-Kee H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논문에서는 중앙관리 서버와 부착형 경량 단말기를 사용하는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자동화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HACCP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미들웨어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서 HACCP 관리 규정을 토대로 경량 단말기에 최적화될 수 있는 HACCP 데이터를 위한 통신 메시지 규약을 설계한다. 또한 경량 단말기와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 및 데이터 통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미들웨어를 구현한다. 통신 미들웨어는 단말기의 경량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갱신하며, 서버의 HACCP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또한 단말기와 서버의 일관적인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고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하여 실질적으로 HACCP 자동화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HACCP 데이터 관리를 위한 통신 메시지 규약과 통신 미들웨어의 기능을 검증함으로써, 경량 단말기를 지원할 수 있는 HACCP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요소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munication middleware for development of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utomation system, which is composed of lightweight devices and a server, to support effective HACCP data management. To provide the proper HACCP data to lightweight devices, we design the communication message protocol based on HACCP management regulation model. Moreover, we develop the communication middleware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processing of communication protocols for HACCP data, analyzing of messages between devices and a server, and providing database managements tools. In addition, it takes a role to guarantee sharing consistent data among the devices and server, through the active updates for information on devices. Actually, the proposed communication middleware can be a part of critical system to develop a HACCP automation system with lightweight devices, because it implements the HACCP communication protocols making lightweight devices execute every HACCP task.

      • KCI등재

        외적 보상, 내․외재동기,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영숙,현성용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개인의 동기유형과 과제유형에 따라 문제 해결에 대한 외적보상의 효과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실험참여자는 대학생 127명이었다. 실험참여자들을 내재동기집단과 외재동기집단으로 구분한 후 다시 무보상조건과 보상조건에 무선 배치하였다. 과제유형은 단계적 문제와 통찰문제이었다. 보상, 동기유형,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삼원변량분석 결과, 보상과 과제유형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과 동기유형 간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상과 동기유형 간 단순 주효과분석 결과,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두 집단 모두 무보상조건보다 보상조건에서 과제의 정답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보상조건에서는 외재동기집단이 내재동기집단보다 문제 해결과제의 정답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조건에서는 동기유형에 따른 정답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적보상이 문제 해결에 정적영향을 주며, 외적보상에 의한 동기화는 내재동기집단보다 외재동기집단이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보상이 문제 해결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시키는가를 알아본 결과, 문제 해결시간은 보상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whether problem solving was affected by extrinsic reward and 2) to examine whether types of motivation and task moder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reward and problem solving. In experiment, 127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types (i.e., intrinsic vs. extrinsic). Then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additional two groups depending on extrinsic reward (i.e., reward group vs. non-reward group). Participants in each condition solved the 4 incremental and 4 insight tasks, and numbers of correct response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xtrinsic reward facilitated performance regardless of task type. Also, participants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who were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when extrinsic reward was not given for their task performance. Motivating effect of the reward might be stronger in the extrinsic motivation group than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ime of problem solving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re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