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임무관제를 위한 국내외 관제안테나 사이트용 위성망 통신 설계 연구

        현대환,이명신,박세철,양형모,정대원,Hyeon, Dae-Hwan,Lee, Myeong-Sin,Park, Se-Cheol,Yang, Hyeong-Mo,Jeong, Dae-Won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된 아리랑위성 3호가 정상 궤도 진입을 성공하여 앞으로 4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2006년 7월 발사되어 3년간의 설계수명에 대한 임무 완수와 2차 연장 임무를 수행중인 아리랑위성 2호와 함께 임무관제국에서는 아리랑위성 2호와 3호를 보유하게 되었다. 향후발사 예정인 아리랑위성 5호와 3A 등을 포함할 경우 위성 증가에 따르는 관제 명령 수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국내외 관제 안테나 사이트를 추가로 구축 글로벌 지상관제안테나 망이 요구됨에 따라, 지리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기후가 혹독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한 국내외 관제안테나 사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아리랑위성시리즈를 위한 국내외 안테나사이트 구축 시 임무관제국과 관제 안테나 사이트 간에는 위성과의 교신 시 안정적인 통신링크 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인 여건으로 일반적인 지상 네트워크 통신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에 고려 가능한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설계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Noise reduction for mesh smoothing of 3D mesh data

        현대환,황보택근 한국콘텐츠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5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h smoothing method for mesh models with noise. The proposed method enables not only the removal of noise from the vertexes but the preservation and smoothing of shape recognized as edges and corners. The magnitude ratio of 2D area and 3D volume in mesh data is adopted for the smoothing of noise. Comparing with previous smoothing methods, this method does not need many iteration of the smoothing process and could preserve the shape of original model.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in 3D mesh smoothing.

      • KCI등재

        3차원 메쉬의 면적 정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잡음 제거

        현대환,최종수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4 No.2

        This paper proposes method to get exquisite third dimension data removing included noise by error that occur in third dimension reconstruction through camera auto-calibration. Though reconstructing third dimension data by previous noise removing method, mesh that area is wide is happened problem by noise. Because mesh's area is important, the proposed algorithm need preprocessing that remove unnecessary triangle meshes of acquired third dimension data. The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using the area information of 3-dimensional meshes, separates a peek noise and a Gauss noise by its characteristics and removes the noise effectively. We giv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roposed preprocessing filter and compare with the mesh smoothing procedures. We demonstrate that our effective preprocessing filter outperform the mesh smoothing procedures in terms of accuracy and resistance to over-smoothing.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자동 교정을 통한 3차원 재구성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로 인해 포함되는 잡음을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교한 3차원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잡음 평활화 과정은 잡음 때문에 면적이 큰 메쉬는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데 문제점이 존재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메쉬의 면적이 중요하기 때문에 취득된 3차원 데이터는 불필요한 삼각형 메쉬들을 사전에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차원 메쉬의 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피크 잡음과 가우스 잡음을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한다. 본 알고리즘의 성능은 재구성 데이터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기존의 메쉬 평활화 방법보다 더 정교한 3차원 데이터를 얻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2차 다항식을 이용한 3차원 물체의 형상 표현

        현대환,이선호,김태은,최종수 한국통신학회 200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6 No.9

        본 논문은 2차 다항식을 이용하여 3차원 물체의 표면 특징을 추출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수정된 스캔 라인 기법을 이용하여 에지 맵을 얻는다. 에지 맵으로부터 3차원 물체의 각 면들을 분리하기 위해 레이블링 연산을 하고 각 면에서 중심점과 모서리 점들을 추출한다. 그 다음에, 평면 방정식으로부터 각 면이 평면인지 곡면인지를 판단한다. 3차원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 각 면의 평면 또는 곡면의 계수 및 특징들을 추출한다. 합성영상과 실측영상을 통해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알아보았고, 또한 제안된 기법으로 3차원 물체를 재구성하였다.

      • KCI등재

        다중센서 융합 및 다수모델 필터 개념을 적용한 강인한 기동물체 추적

        현대환(Daehwan Hyun),윤희병(Heebyung Yoon)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9 지능정보연구 Vol.15 No.1

        A location tracking sensor such as GPS, INS, Radar, and optical equipments is used in tracking Maneuvering Targets with a multi-sensor, and such systems are used to track, detect, and control UAV, guided missile, and spaceship.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racking Maneuvering Targets are on fusing multiple Radars, or adding a supplementary sensor to INS and GPS. However, A study is required to change the degree of application in fusions since the system property and error property are different from sensors. In this paper, we perform the error analysis of the sensor properties by adding a ground radar to GPS and INS for improving the tracking performance by multi-sensor fusion, and suggest the tracking algorithm that improves the precision and stability by changing the sensor probability of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error. For evaluation, we extract the altitude values in a simulation for the trajectory of UAV and apply the suggested algorithm to carry out the 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we change the weight of the evaluated valu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rror between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to improve the preci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have a strong tracking which is not affected by external purposed environmental change and disturbance.

      • KCI등재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後期 方形住居址의 展開

        玄大煥 한국청동기학회 2010 한국청동기학보 Vol.7 No.-

        호서지역은 한국 고고학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발생지로 고고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현재까지 송국리형주거지와 전기의 대형 취락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에 반해 후기의 송국리 형주거지가 아닌 노지가 설치되어 있는 방형주거지는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많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방형주거지가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함께 호서지역의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고를 작성하였다. 우선 방형주거지의 분포지역을 서해안지역, 아산만지역, 금강 상류지역, 금강 중·하류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주거지의 분류와 출토유물, 절대연대 등을 토대로 3개의 단계를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방형주거지는 전기 후반에 출현하여 후기에 지속적으로 분포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방형주거지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송국리유형과의 관계를 통해 호서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방형주거지와 송국리형주거지의 중복관계를 통해 병존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륙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전개양상, 주거 자체에 있어서 원형과 방형이라는 근본적인 형태적 차이를 기반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문화흐름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획일적인 문화상 전개가 아닌 송국리유형과 방형주거지 간의 교류를 통한 문화적 병존과 전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for the suspected origin of Songgukri type, many archaeological projects have focused onthe central part south Korea. As opposed to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works were dedicat-ed to the studies on large settlements in the Early Bronze Age (hereafter EBA) and Songgukritype houses, the sqaure shaped house found in the central South Korea region, have not drawnthe attentions so far. Knowing that the square house ha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theformation of Songgukri type, but also the Late Bronze Age (hereafter LBA) culture, it becomenecessary to build up the chronology and conduct a typological analysis on the square shapedhouses in advanc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square shaped house is subdivided into West coastalregion, Asan bay region, Upper part of the River Gum region and Middle·Lower part of theRiver Gum region. Considering the typological analyses of artifacts, distribution of types, and absolute date of site,it is lik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Stage I, the square shaped house appeared around 900 BC, Stage Ⅱis equivalent to the typeas called pre-Songgukri type, and it can not be traced back to earlier than 900 BC. Stage Ⅲ, it co-existed with Songgukri type dating 700 BC.Apart from building the temporal chronology, it appear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ateBronze Age culture by comparing it to Songgukri type in the study of the square house. Judging from overlapped location of houses of both types, a constant spread towards inland,and a profound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round shape and the square shape. it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exterior influence theory appears more plausible. It leads to the indication that not an uni-lineal temporal change, but the interaction betweenthe square shaped house community and the Songgukri type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to be a more crucial factor to understand the co-existence and spread of two different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