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허희옥 ( Hee Ok Heo ),강의성 ( Eui Sung K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2

        이 연구는 웹 2.0 도구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웹 2.0 기반 학습환경의 속성과 논문 선정 기준을 토대로, 총 60개의 국내외 연구 논문을 선택하여, 연구대상, 연구주제, 활용된 웹 2.0 도구의 유형, 교육이론,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웹 2.0 도구를 활용한 교육연구는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공유와 성찰을 지원하기 위한 협력상황에서 수행되어 왔다. 몇몇 연구들에서 논의된 교육이론은 협력학습. 문제중심학습 등과 같은 구성주의적 관점과 연계되며,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과 통합방법연구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후속연구를 위해서 연구대상의 확대, 협력상황에서의 지식구성 지원, 다양한 교육이론의 적용 둥에 다l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Web 2.0 use in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Sixty represen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a developed framework of Web 2.0 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d an analysis scheme. This scheme is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research targets, research themes, types of Web 2.0 tools, learning theories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the previous studies aimed to share information and reflect thoughts in collaborative contexts through blogs and wikis at universitie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사이버학습환경에서 “교육적 경험”을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모형 설계

        허희옥 ( Hee Ok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및 교수 전략을 탐구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의 면대면 교육 상황과 마찬가지로, 사이버학습환경에서의 경험이 언제나 교육적으로 의미있고, 학습자의 지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사이버교수자는 교실 수업의 교사가 그러하듯이, 사이버학습환경의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사이버교수자의 역할 연구의 하나로, 이 연구는 우선 Dewey의 교육 이론을 토대로, 사이버학습환경에서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의미와 과정을 재검토하였다. 그리고, 교육적 경험의 시작, 전개, 완성의 국면에서 교사의 역할 및 지원 전략을 탐구하였으며,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연구자가 직접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여 실제 대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대체로 적용 결과는 사이버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하였지만, 여전히 실제 적용을 위하여 다양한 구체화 노력이 필요함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하여 학습자 수준의 분석, 변화 과정의 파악, 그리고 그에 적응적인 교수자의 역할 및 지원 전략이 좀더 구체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As not all individuals successfully direct their learning by themselves, and not every experience in learning situation leads them into an educationally desirable change in cyberspace, the teacher must support and lead learners to get genuinely educative experience in cyberspace. This study clarifies the roles of teacher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leading learners into genuinely educational experience in cyberspace. For achieving the goal, this study first discussed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practices in cyberspace, and then explored the meaning and value of "Educative Experience" based on Dewey`s educational thoughts. Secondly the teacher`s roles and teach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for supporting learners to get genuine educative experience. Finally, the expert review and field trial were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role model for teachers in cyber-learning environment. Generally the results showed the comprehensiveness and clarity of the model. However, more concrete guidelines to apply in a real situation should be provided. For further studies,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such as design of teach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of criteria for tracing learner`s history, etc.

      • KCI등재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역량 진단 도구 개발

        허희옥 ( Hee Ok Heo ),임규연 ( Kyu Yon Lim ),김현진 ( Hyeon Jin Kim ),이현우 ( Hyeon Woo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미래교육을 지향하는 스마트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 역량과 지표를 개발하여 진단 문항으로 제작하였다. 진단 문항의 타탕성은 설문조사 방식을 이용한 요인분석 및 보유도-중요도 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요인분석을 위해 스마트교육 중앙 선도교원과 시?도 선도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최종적으로 229명의 선도교원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추출한 교원 역량 초안은 2개 영역, 16개 역량, 74개 행동지표로 정리되었으며, 전문가 협의 및 요인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된 역량 진단도구는 총 2개 영역, 13개 역량, 61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 역량은 기본소양 영역과 실천역량 영역으로 구별되는데, 기본소양은 스마트교육 실천의 기반이 되는 개인적인 속성에 관련되는 것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사회적 능력, 유연성,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윤리의식, 열정의 6개 역량으로 규명되었다. 실천 역량은 스마트교육 실행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교육 업무 및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미래교육의 이해, 내용전문성,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수업 설계 및 개발, 학습 어포던스 조성, 평가 및 성찰, 대외 협력관계 형성의 7개 역량으로 규명되었다. 각 역량 별로 평균 4-5개의 지표가 개발되었고, 이 지표가 진단을 위한 평가 문항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teacher competencies for 21st century classroom innovation and SMART education implement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s, expert panel reviews and interviews, factor analysis from teacher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design and validation of teacher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As a result, by conceptualizing SMART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y, two domains, 13 competencies, and 61 performance indicators were identified as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consist of a foundations domain and a practice domain. The competencies in the foundations domain are personal attributes which is the foundations for SMART education implementation, consisting of six competencies including creative problem-solving, social ability, flexibility, technology literacy, ethics, and passion. The competencies in the practice domain are specific educational tasks and activities intended to implement SMART education, consisting of seven competencies including understanding of the future education, contents expertise, building relationship with learner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building learning affordance, evaluation and reflection, and build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community. Four to five performance indicators for each competency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for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허희옥 ( Hee Ok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이 글은 국내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분야의 성과를 알아보고 미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우선, 교육정보미디어 연구의 성과는 전문학술지의 연구논문과 전국규모 학술대회의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 분야는 명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대부분의 연구가 미디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적성·처치 상호작용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가 대체로 미시적 제한적 관점으로 분석되고 이해되었다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거시적인 연구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현대 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대립적 이원론의 통합과 매체해석학적 관점을 소개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근대철학을 바탕으로 제기되었던 대립적 이원론이 자아와 세계, 주체와 객체, 이론과 실제 등의 분리된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을 이해했다면, 현대 철학은 이러한 이원론의 통합을 주장하면서,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교정미 연구가 거시적 총체적 관점으로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매체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속성을 논의하면서 교정미 연구의 현주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현시적인 안목으로 고민해 볼만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the era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EIM) based on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rom 1995 through 2005. The 90% of EIM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media 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al settings, which means educational media research is considered as a main theme in EIM. More specifically, most educational media research generally adopts microscopic perspectives to analyze and to interpret its findings in EIM, which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media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ubject-matters` features. The main target audience is in k-12 and university levels. It indicates that EIM research takes deep considerations on various research paradigms and target audiences in terms of its aims and new educational demand. For further directions of EIM research, some post-modern conditions on human, knowledge, media are introduced. Cur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start from the denial of such dualism as self-world, subject-object, body-mind, theory-practice etc., and provide the unified perspectives about them. Informations-hermeneutics also indicates various interpretation about media, human, and world in the macroscopic, holistic approach. Moreover, new media such as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ies in EIM. Finally, several consider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s on EIM research are suggest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온라인 팀 프로젝트에서 팀 리더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임규연 ( Kyu Yon Lim ),허희옥 ( Hee Ok Heo ),김영수 ( Young 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 상황에서 팀 리더와 팀원 간의 상호작용 구조 패턴 및 각 팀 리더의 역할을 서술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49명의 대학생이 팀당 7명씩 총 7개의 팀으로 나뉘어 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팀 리더 및 팀 구성은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각 팀 및 팀 리더의 상호작용 구조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팀 리더들이 프로젝트 활동 중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분석하기 위해 메시지 내용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내용 분석의 틀은 Garrison이 제안한 인지적, 사회적, 교수적 요소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로젝트 점수가 높은 팀의 경우 팀 리더뿐 아니라 팀 구성원들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상호작용을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프로젝트 점수가 낮은 팀의 경우 팀 구성원들이 팀 리더가 게시한 글을 읽고 그에 대한 답을 올리는 유형, 즉 팀 리더 중심의 상호작용이 일어났다. 둘째, 프로젝트 점수가 높은 팀의 리더는 팀원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의견을 효과적으로 구성해가는 인지적 지원, 협력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팀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지원하는 사회적 지원, 그리고 전체 일정을 계획하고 그 계획대로 운영해가는 교수적 지원을 고르게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젝트 점수가 낮은 팀의 리더는 인지적 지원 보다는 과제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교수적 지원을 빈번히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line interaction among the team leader and team members in a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forty nine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as seven teams of seven. Team leaders were also randomly assigned by the instructor. In order to analyze overall interaction patterns of each team as well as interaction patterns of team leaders,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and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group cohesiveness and individual prominence. Content of the messages posted by the team leaders from high-performing teams as well as from low-performing teams were also analyzed to illustrate the role played by the team leaders during the project 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1) Low-performing teams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essages posted by the team leaders, while high-performing teams tend to share similar amount of interaction across team members. 2) Team leaders from low-performing teams posted messages mostly related to teaching presence, for example, monitoring schedules, whereas team leaders from high-performing teams posted messages related to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