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할 수 없는 동적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비중앙화 그룹키 관리 기법

        허준범(Junbeom Hur),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6 No.4

        비중앙화(decentralized) 그룹키 관리 알고리즘은 그룹 멤버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지역적인 곳으로 한정시킴으로서 안전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구조의 확장성(scalability)과 안정성 (reli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중앙화 그룹키 관리 기법들에서는 멀티캐스트 과정에서 중간의 중계 노드들이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평문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그룹 통신의 비밀성이 보장되지 않거나, 하위 그룹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외부의 중앙화된 그룹키 분배 센터가 필요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그룹키 관리 방식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대리 암호(proxy encryption)를 이용하여 그룹키를 분산화(distributed) 방식으로 합법적인 그룹 멤버에게만 분배한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비밀성을 보장하는 안전한 통신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중앙화된 그룹키 분배 센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그룹키 관리 기법은 중앙화된 네트워크 관리자가 없이 네트워크의 구조가 빈번히 변화하는 신뢰할 수 없는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안전한 그룹통신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Decentralized group key management mechanisms offer beneficial solutions to enhance the scalability and reliability of a secure multicast framework by confining the impact of a membership change in a local area. However, many of the previous decentralized solutions reveal the plaintext to the intermediate relaying proxies, or require the key distribution center to coordinate secure group communications between subgroup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centralized group key management scheme that features a mechanism allowing a service provider to deliver the group key to valid members in a distributed manner using the proxy cryptography. In the proposed scheme, the key distribution center is eliminated while data confidentiality of the transmitted message is provided during the message delivery process. The proposed scheme can support a secure group communication in dynamic network environments where there is no trusted central controller for the whole network and the network topology changes frequently.

      • KCI등재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 암호화를 위한 자가 키 복구 기법

        허준범(Junbeom Hur),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6 No.6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확장성 있는 접근 제어는 효율적인 권한 부여에 필수적인 요구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접근 제어는 합법적인 사용자들에게만 비밀키를 안전하게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트 환경에서는 채널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비밀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키 전달 메시지가 사라지거나, 사용자의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법적인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다수의 세션동안 키 전달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자신의 이전키와 현재 세션에 전송되는 힌트 메시지를 이용해서 현재 세션의 그룹키를 복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그룹키 자가복구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분석 결과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신뢰성 있는 키 분배 기법에 비해 확장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더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은 사용자로부터 서버로의 역방향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한수신시스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One of the principal impediments to the achievement of a scalable access control for a large number of subscribers in a public broadcast is to distribute key update messages reliably to all stateless receivers. However, in a public broadcast, the rekeying messages can be dropped or compromised during the transmission over an insecure broadcast channel, or transmitted to the receivers while it was off-lin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ovel group key management scheme that features a mechanism that allows the legitimate receivers to recover the current group key even if they lose key update messages for long-term sessions using short hint messages and member computation.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has advantages of the scalable and efficient rekeying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liable group key distribution schemes. The proposed key management scheme targets a conditional access system in a media broadcast where there is no feedback channel from receivers to the broadcasting station.

      • KCI등재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아이디 기반 프록시 암호화를 이용한 안전한 다대다 멀티캐스트 기법

        허준범(Junbeom Hur),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7 No.1

        무선 메쉬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룹통신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중계 메쉬 노드, 서로 다른 도메인의 그룹 간 통신에 대한 접근 제어, 그리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중앙화된 관리서버의 부재 등의 문제로 인해 관리가 어려워진다. 그룹의 멤버 뿐 아니라 위상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대다(many-to-many) 멀티캐스트는 각 그룹 관리자가 자신의 그룹 멤버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며 그룹간 통신을 제어하는 다수의 하위 그룹으로 이루어진 비중앙화된 구조에 기반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위상을 고려한 비중앙화된 그룹키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에서 각 멀티캐스트 송신자는 아이디 기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분산화된 방법으로 각 그룹키를 그룹 멤버에게 전달하게 된다. 아이디 기반 암호화 기법은 그룹 멤버 뿐 아니라 메쉬 노드의 동적인 변화에도 효율적인 키관리를 가능케 하기 때문에 다대다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키 갱신에 필요한 통신 회수 및 저장해야 할 키의 크기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중앙화된 네트워크 관리자가 없고,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그들의 그룹 통신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대규모의 동적인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다 대다 그룹통신 환경에 가장 적합하다. Group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esh network is complicated due to dynamic intermediate mesh points, access control for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administrative domains, and the absence of a centralized network controller. Especially, many-to-many multicasting in a dynamic mesh network can be modeled by a decentralized framework where several subgroup managers control their members independently and coordinate the inter-subgroup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topology-matching decentralized group key management scheme that allows service providers to update and deliver their group keys to valid members even if the members are located in other network domains. The group keys of multicast services are delivered in a distributed manner using the identity-based encryption scheme. Identity-based encryption facilitates the dynamic changes of the intermediate relaying nodes as well as the group members efficiently. The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scheme has the advantages of low rekeying cost and storage overhead for a member and a data relaying node in many-to-many multicast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is best suited to the settings of a large-scale dynamic mesh network where there is no central network controller and lots of service providers control the access to their group communications independently.

      • KCI등재

        Trust-Based Filtering of False Data in Wireless Sensor Networks

        허준범(Junbeom Hur),이윤호(Younho Lee),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5 No.1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자연재해 탐지 시스템, 의료 시스템, 그리고 군사적 응용분야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환경 및 자원 제약적인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기법을 그대로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은 제한된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에 거짓 데이타가 유입되는 경우 서비스 거부 뿐만 아니라 센서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암호학적 인증 및 키 관리 방법 등을 통한 보안 기법은 센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노드탈취 공격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서 이러한 거짓 데이타 판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평판기반 기법과 달리 각 센서 노드의 위치에 따른 센싱 결과에 대해 일관성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신뢰도를 평가하고, 거짓 데이타를 주입하는 내부 공격에 대한 보안기법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신뢰도 평가 기반의 데이타 통합 기법은 기존의 중앙값보다 견고한 데이타 통합 결과를 보여준다.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expected to play a vital role in the upcoming age of ubiquitous computing such as home environmental, industrial, and military applications. Compared with the vivid utilization of the sensor networks, however, security and privacy issues of the sensor networks are still in their infancy because unique challenges of the sensor networks make it difficult to adopt conventional security policies. Especially, node compromise is a critical threat because a compromised node can drain out the finite amount of energy resources in battery-powered sensor networks by launching various insider attacks such as a false data injection. Even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mechanisms and key management schemes cannot suggest solutions for the real root of the insider attack from a compromised no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rust-based secure aggregation scheme which identifies trustworthiness of sensor nodes and filters out false data of compromised nodes to make resilient sensor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suggests a defensible approach against the insider attack beyond conventional cryptographic solutions. The analysis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ggregation scheme using trust evaluation is more resilient alternative to median.

      • 패턴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기술 연구 동향 및 비교

        신형준,허준범,Shin, Hyungjune,Hur, Junbeo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情報保護學會誌 Vol.25 No.3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정보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기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널리 쓰이는 인증기법인 패스워드 인증기법은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때문에 추측공격(Guessing Attack)과 사전공격(Dictionary Attack)에 취약하다. 또한 터치 스크린 기반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경우, 가상 키보드의 불편함으로 인해 편리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패스워드 인증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여러 가지 패턴 기반 사용자 인증기법들의 연구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해당 인증 기법들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 KCI등재

        브로드캐스팅 통신 환경 하에서의 비상태 수신자를 위한 대역폭 효율성을 고려한 탈퇴 기법

        김평(Pyung Kim),허준범(Junbeom Hur),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7 No.5

        Complete Subtree(CS)[1] 기법은 브로드캐스트암호화기법 중 비상태성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커버(Subset-Cover) 접근방법으로 그룹의 키의 배포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브로드캐스트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단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비상태성 수신자를 가지는 환경에서는 키 관련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저장 오버헤드와 통신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통신 오버헤드를 위해 새로운 탈퇴 기법인 Merged Complete Subtree(MCS) 기법을 제안한다. MCS기법에서는 CS기법에서 키암호화 키(Key Encryption Key)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분집합의 구성을 단순 트리구조가 아닌 합집합 기반의 복합 구조를 취한다. 이 수정 사항은 늘어난 전체 부분집합과 그에 해당되는 키 암호화 키로 인해 보다 많은 저장 오버헤드를 필요로 하지만 CS기법에서 헤더(header)를 구성하기 위한 두 부분집합을 하나의 합집합 형태로 표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CS기법의 통신 오버헤드를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제안된 기법은 전체 잠재적 사용자에 대한 탈퇴한 사용자의 비율이 커졌을 때 큰 이득을 가지며 공모를 통한 공격에 대하여 완벽한 저항성을 가진다. Complete Subtree scheme(CS) is a well known broadcast encryption scheme to perform group rekeying in a stateless manner. However, statelessness comes at a cost in terms of storage and message overhead in transmitting key material. We propose a Merged Complete Subtree scheme (MCS) to reduce the communication overhead. It is more practical to make broadcast encryption schemes in network environments with limited bandwidth resources. We define all possible subset unions for ever two subsets of CS as new subsets having own key. The modification causes more storage overhead.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make the size of a header, including key materials, half using subset unions of MCS, because the size of a header depends on the number of used subsets. Our evaluation therefore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mmunication overhead of CS, reducing by half the rekey communication cost. The proposed scheme has the advantage of rekey communication cost when the number of revoked users is significant percentag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The proposed scheme is fully collusion resistant.

      • SGX를 활용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보존 데이터 검색 효율성에 대한 고찰

        구동영 ( Dongyoung Koo ),허준범 ( Junbeom Hur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저장 공간을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저렴한 유지관리 비용 등 여러 장점에 힘입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시스템은 데이터 소유자에 의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민감한 데이터의 노출에 의한 피해 또한 다수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호화 등을 통한 프라이버시 보존을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가 보존된 상태에서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함에 있어, 대수적 난제에 근거를 둔 접근 제어 기능을 내포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검색 가능한 암호화 (searchable encryption) 기법과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하드웨어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검색의 효율성 및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하드웨어 기반 기법의 활용을 통한 성능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고 잠재적 보안 위협을 검토한다.

      • KCI등재

        비 캐시 하드웨어 이벤트를 이용한 캐시 부채널 공격 실시간 탐지

        김호동(Hodong Kim),허준범(Junbeom Hur)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6

        캐시 부채널 공격은 CPU의 공유 캐시 자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민감한 정보를 획득해내는 공격 유형이다. 최근 모바일 시스템에서 클라우드까지 다양한 환경에 공격이 가해짐에 따라 많은 탐지 전략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캐시 부채널 공격들은 많은 수의 캐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의 탐지 기법은 대부분 캐시 이벤트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반하여 설계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제안된 공격은 공격 중에 캐시 이벤트를 적게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PRIME+ABORT 공격은 캐시에 접근하여 액세스 시간을 측정하는 대신 Intel TSX를 활용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캐시 이벤트 기반 탐지 기법은 해당 공격을 탐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PRIME+ABORT 공격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여 캐시 이벤트 이외에 공격 탐지에 활용 가능한 유용한 하드웨어 이벤트를 밝힌다. 이를 기반으로, PRIME+ABORT 공격 탐지 기법인 PRIME+ABORT Detector를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탐지기법이 0.3%의 성능 오버헤드로 99.5%의 탐지 성공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Cache side-channel attack is a class of attacks to retrieve sensitive information from a system by exploiting shared cache resources in CPUs. As the attacks are delivered to wide range of environments from mobile systems to cloud systems recently, many detection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Since the conventional cache side-channel attacks are likely to incur tremendous number of cache events, most of the previous detection mechanisms were designed to carefully monitor mostly cache events. However, recently proposed attacks tend to incur less cache events during the attack. PRIME+ABORT attack, for example, leverages the Intel TSX instead of accessing cache to measure access tim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attack detection mechanisms based on cache events may hardly detect the attack. In this paper, we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IME+ABORT attack to identify the other useful hardware events for detection rather than cache events. Based on our finding, we present a novel mechanism called PRIME+ABORT Detector to detect the PRIME+ABORT attack and demonstrate that the detection mechanism can achieve 99.5% success rates with 0.3% performance overhead.

      • KCI등재

        클러스터화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량을 고려한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키 관리 기법

        신승재(Seungjae Shin),허준범(Junbeom Hur),이한진(Hanjin Lee),윤현수(Hyunsoo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6 No.5

        In the near future, various multicast based services will be provided over clustered wireless networks. To provide multicast services in secure manner, multicast messages are encrypted by using group key which is shared by group members. Therefore, various group key management schemes have been introduced until now. Among them, tree based approa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aradigms in group key management. Traditional tree based approaches effectively reduce rekeying message transmissions of the key distribution center. However, they do not consider the network bandwidth used for transmitting the rekeying messages. In this paper, we firstly present formulas that describe bandwidth consumption of tree based group key management scheme. Based on our formulations, we propose a bandwidth efficient key tree management scheme for clustered wireless networks where membership changes occur frequentl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effectively reduces the bandwidth consumption used for rekeying compared to existing key tree schemes.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앞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캐스트 기반 서비스가 클러스터화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안성을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경우 암호화에 사용하는 그룹키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그룹키 관리 기법들이 계속해서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그룹키 관리 기법 중 하나인 트리 기반 그룹키 관리 기법은 키 분배 센터가 전송해야 하는 키 갱신 메시지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인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키 갱신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실제로 소모되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정확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그룹 멤버쉽이 동적으로 변하는 클러스터화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리 기반 그룹키 관리 기법을 사용했을 때 키 갱신을 위한 대역폭 소모량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은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매우 우수한 대역폭 절감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