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성 만월대 디지털기록관 자료 활용을 위한 IT기술 적용 연구

        허의행(Heo Uihaeng)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현재 여러 박물관들은 다양한 유구와 유물, 유적을 모두 망라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콘텐츠를 구축함으로써 여러 계층의 이용자 접근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고려 왕궁이라는 단일시대의 궁궐 유구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일부 사용자만의접근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물론 깊이 있는 연구와 콘텐츠의 제작으로 이어질수 있지만, 아직 그에 대한 구체적 논의와 성과물 제작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 다수의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며, 그러한 방안의 하나로서 최신 IT기술을 이용한 자료의적극적 활용과 제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외 박물관 및 미술관의 홈페이지 내 디지털 자료의 구축과 IT기술을 적용한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기술적방안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록관 내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IT기술의 적용을 통한 3D 콘텐츠물의 제작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콘텐츠 제작은 유구의 3D화를 우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방대한 이미지 자료를 바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일부 구축된 자료의 누락에 따른제작물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3D스캔 자료를 이용하여 3D 유구의 고도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구축된 콘텐츠 자료는 웹VR 및 XR방식 등의 홈페이지 제작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접근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유적 전시관 및 가상 박물관의 모습과 체험 형태의홈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면 만월대 디지털 기록관의 접근과 활용은 높아질 것이다. Currently, all museums provide information on a variety of relics and artifices and create diverse content from them to facilitate their access to various social groups. However, Manwoldae Digital Archive can limit its access to only some users as it treats the relics of the royal palace from one single era of Goryeo. This could lead to in-depth research and content, but no specific discussions have been made and no content has been created in that regard. Accordingly, plans must be created to encourage the general public’s access. One such plan would have to involve the active utilization and production of data that tap into IT. The study examined the cases in which digital data were created and IT was applied to the websites of local and international museums and art museums. The surveys were analyzed to identify a technical solution to apply the same methods to Manwoldae Digital Archive. Furthermore, the study considered the possible creation of 3D content that taps into the data of the archive and IT applications. For content creation, 3D conversion of relics may take first priority and is based on images. The paper also discusses a plan to upgrade 3D relics that use both images and 3D scanned data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the content caused by omissions in some of the created data. The content thus created can be provided from the website in the form of webVR/XR to encourage usage by various social groups. If the website develops from there to be converted to an experiential website by creating a virtual heritage exhibition room and a virtual museum, access to and use of the Manwoldae Digital Archive will be upgraded.

      • KCI등재

        충주 고구려비의 건립 위치에 대한 고고지리학적 접근

        허의행 ( Heo Euihaeng ),장우영 ( Chang Wooyoung ) 한국고대학회 2020 先史와 古代 Vol.- No.63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는 삼국시대 건립 이후, 여러 차례 쓰러지고 세워졌으며, 또한 매몰되고 옮겨지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에서 선돌 혹은 입석이라는 마을 지명으로 남아 있게 되었고, 뒤이은 학술조사, 입석마을 주민의 증언, 사진기록, 설화 등을 통해 건립지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고구려비 주변의 고지형과 역사지리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특정 장소로 비정할 수 없는 건립지점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충주 고구려비 주변의 고지형과 역사입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충주 고구려비가 세워지기 이전부터 자료관이 건립되는 현재까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입석마을과 고구려비에 관한 연구는 비가 길목에 위치하며 특히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지점에 입석마을이 있었기 때문에 비를 건립한 장소로 추정하고 있다. 이 글은 선행연구의 관점을 이어받아 새로운 인문 자연적 요소를 가미하여 충주 고구려비의 건립지를 구체적으로 추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비 주변의 고지형을 파악하고, 교통로와 가시권 등 역사지리 검토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입석마을이 북쪽의 장미산과 사방에서 조망이 가능한 선상지 지형 위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유적이 입지하기 좋은 조건을 가진 선상지는 사람과 물건 등 왕래가 잦고 사방에서 조망이 가능하여 비의 건립지로서 좋은 조건을 가진다. 자료관 서쪽에 위치하는 현재 경작지를 1972년 홍수 이전에 있었던 입석마을 일부로 파악하고 이곳을 충주 고구려비가 건립된 장소로 추정하였다. The Chungju Goguryeo Stele was collapsed and erected several times. It was also buried and moved. In this process, the name Seondol or Ipseok(which means the Stele is standed) remained in the settlement.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estimated to some extent through subsequent academic surveys, testimony of the residents of Ipseok settlement, photographic records and tales.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analysis of paleo morphology and historical geography around the Goguryeo Stele has solved questions about the location of the site that cannot be pointed as any place so f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geoarchaeological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 from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Goguryeo Stele to the present. The research results on Ipseok settlement and Goguryeo Stele is erected as it was located on the transportation routes. There was on the border between Goguryeo and Silla. Taking over the view of prior research, this article specifically estimated the construction location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by adding new humanities and natural factors. There are two main ways to study. First, they analyzed the paleo morphology around the Stele and reviewed historical geography such as transportation routes and visibility rights. As a result, we learned that Ipseok settlement is located somewhere can be seen in the northern part of Jangmi Mountain and any direction. The alluvial fan, which is well-known for its geographical features, is a good place to build Stele due to frequent movement and view from all sides. The current paddy field located west of the Chungju Goguryeo Stele Museum was calculated as the location of Ipseok settlement, which existed before the flood in 1972. It is presumed to have been the site where the Chungju Goguryeo Stele was built. The Alluvial fan, which has good conditions for relics to be located through topographical analysis, has good conditions as a construction site for Stele as it is frequently visited by people and can be viewed from all sides by reviewing humanities and natural factors together. The current arable land located in the west of the museum was identified as the location of Ipseok Village, which existed before the flood in 1972, and is presumed to have been the site where the Chungju Goguryeo Stele was built.

      • KCI등재

        발굴조사 자료의 3차원 기록화 연구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 자료를 대상으로-

        허의행 ( Heo Ui Haeng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60 No.-

        고고학 발굴조사에서 3차원 기록은 현재까지 단순한 방식으로 기록되어 왔는데, 즉 주요 유구, 유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 기록이 대부분 이었다. 현재 그 기록은 유적과 유구, 유물 그리고 옛날과 지금의 지형 모두에 적용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의 처음과 마지막의 조사과정을 3차원 기록화하여 그 유용성과 활용의 다양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3차원으로 기록된 자료는 다양한 분석과 활용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유적과 지형에 대해서 는 입지분석 및 GIS를 통한 공간분석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유구와 유물에 대해서는 수치적 분석 뿐 아니라 형태와 각각의 속성에 대한 여러 비수치적 분석 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이처럼 발굴조사의 3차원 기록 자료는 기존의 2차원으로 제작된 자료보다 활용도 면에서 이점이 매우 크다. 특히 당시 문화와 사회상, 구체적인 유구 유물의 형태 등을 디지털로 복원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및 전시자료로 제공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3차원 기록 자료를 내포한 디지털 전자보고서의 제작을 같이 진행할 수 있다면 연구와 교육, 2차적 활용의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이웃한 여러 나라들에서는 3차원 기록화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우리 학계에서도 고고학 조사와 연구에서 더 이상 보조적 수단으로서 3차원 기록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연구와 활용의 주요한 주제로서 구체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pplication of 3D records in archaeological sites is limited to produce scanned records of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Currently, its use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documenting ancient and modern landscapes as well as sites, features, artifacts in 3D. This paper presents a study case to apply extensive 3D recording techniques to Gwangamri and Dongchonri excavation cases. Its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to archaeological surveys are addressed. 3D recorded data can be utilized further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application methods. It enables to apply a location analysis,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the variables of shape and physical components. 3D recorded data has a greater potential for applying various analyses than 2D data. In particular, it provides a base dataset to reconstruct the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to their original forms as well as the past society’s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in digitized format. Such digital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educational supplementary and display objects. Furthermore, publication of electronic excavation reports including 3D recording data will lead to promote research, education and contents application of excavated data. Development of 3D recording has been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eighbouring countries. It calls to consider application of 3D recording as a main research subject rather than a simple supplementary data in the field of Korean archaeology.

      • KCI등재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灌漑體系와 展開樣相

        허의행 ( Ui Haeng Heo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1 No.-

        청동기시대 논 유적의 급증은 농경방식과 사회경제적 측면의 다양한 연구를 가져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개체계에 대한 접근은 미진하다. 따라서 본고는 호서지역 내 청동기시대 논 유적을 대상으로 관개체계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실시하고, 수리관행적 차원의 사회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관개시설은 논 입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정되지만 아직 배후습지 등의 저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구릉 소곡저에 입지시킨 관개시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개시설은 각 개별 구성요소간 결합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데, 대체로 세 유형의 관개체계가 살펴진다. 용수원에서 수로를 이용하여 곧바로 논으로 관개하는 유형(1유형), 저수지(저류지)에 담수한 후 수로를 이용하여 관개하는 유형(2유형), 洑와 수로를 이용하여 관개하는 유형(3유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 유형들은 시기차를 보이며 단계별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Ⅰ단계는 초보적 관개기술의 등장 시기로 관개 1유형에, Ⅱ단계는 관개체계의 전개와 발전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관개 2·3유형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개체계 성립과 발전은 인구증가에 따른 안정적 식량확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관개체계를 담당하는 주체의 모습과 변화양상도 수리관행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일정 논면을 관리·운용하는 구역은 용수의 공급지점과 관개 논면 범위 등으로 살펴볼 수 있었는데, 대체로 3-4가구가 하나인 세대공동체별 관리와 운용 등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洑와 관련된 관개시설은 관개수 통제를 통해 마을과 사회의 안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상위계층(엘리트) 지도자의 모습을 생각할 수 있었다. Increased number of excavated Bronze Age paddy field sites promoted research on several aspects of socio-economy and agricultural practice of that time. Despite numerous studies, there are unresolved issues in understanding irrigation system. Thus, this article addresses irrigation schemes throughout reviewing excavated paddy fields in Hoseo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ocial aspects reflected on the irrigation system and practice, are discussed. Irrigation facilities, initially determined by topographic locations of paddy fields, have not been discovered in the low-lying land, so far. A narrow base of valley was the earliest favored place to establish artificial irrigated systems and various irrigation system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several facilities.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simplest one by paving a direct way from water resource to the paddy field. The second type is composed of a water pool and irrigation canals to distribute water, once stored in the pool. The third type is one with a constructed reservoir and irrigation canals to supply water. It implies a temporal development from the stage Ⅰ of type 1 simple irrigation system to the stage Ⅱ with advanced irrigation schemes of types 2 and 3. What triggered establishment of such irrigation system and its further development might be the needs to secure stable food procurement corresponding to local demographic increase, In addition, parties controlling irrigation systems and chang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irrigation scheme, Areas where practice of paddy rice and its maintenance took place are zone of water resource and irrigated fields, Each sector appeared to have been managed at the household level by 3-4 families, However, construction of reservoir and related irrigation facilities might indicate the presence of elite group to sustain stability of community through controlling irrigation water.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지형 환경과 입지적 특징 −백제 왕릉 입지와의 비교를 통한 검토−

        허의행(Heo Ui-haeng),이창호(Lee Chang-ho)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송산리 고분군은 왕릉 조성 지역으로서 인근 왕성(공산성)과의 관계로 보아 백제 웅진 시기에 조영된 능원과 능역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이후 송산리 고분군과 주변 지형은 산림 벌목과 경작지 개간, 건물 축조 등으로 인해 지형 훼손이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관련한 고고학적 조사가 미미하여 송산리 고분군이 지닌 왕릉으로서의 입지 특성을 명확히 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거 지형의 모습을 파악하고 여기에 현재의 지리 지형적 환경 연구, 한성과 사비시기 왕릉 입지 지형 자료와 입지 연구성과 등을 검토하여 송산리 고분군의 입지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송산리 고분군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풍수지리적 모습을 갖춘 지형을 우선 선택하였고, 송산의 여러 분지된 지형을 적절하게 공간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백제 각 시기의 왕릉급 고분 입지, 인근의 왕도로서 공산성과 추정 대통사지 지역과의 관계를 종합비교해 보면 그 입지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송산리 고분군은 송산이라는 지형 자체를 묘역 전체로 구성하였고 능원의 성격으로서 능침과 제향, 진입 공간 등의 공간 배치를 지형에 맞추어 조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송산리 고분군은 한성기와 사비기의 왕릉 입지로 변화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형태의 풍수지리적 지형 모습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인근의 왕도와 추정 대통사지 지역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도성 공간의 장소로서 현재의 위치를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연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경관의 장소적 의미가 확립되어 갔을 것이다. The Songsan-ri tomb is considered to be a place whe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the existence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tombs built during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royal tombs of Baekje and surrounding ruins such as the communist castle. However,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rrain surrounding Songsan Rigogun was a constant loss of terrain due to deforestation, cultivation of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Therefore, by analyzing the topographical approach and the current geographic topographical environment and comparing it with the various data left behi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 Tumulus Cluster were materialized. Songsan-ri’s burial mound was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Feng Shui geography influenced by Namjo, and it seems that it utilizes several branched terrains centered around Songsa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s burial mounds become clearer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ruins of the nearby royal roads and Gongju city, especially the estimated Daetongsaji. The arrangement of ridges, scents, and entry spaces as ridges wa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errain. In other words, Songsan Rigobungun selected the current location as a terrain that could encompass both the nearby royal roads and the estimated Daetongsa Temple along with the selection of Feng Shui geographic location,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formed a landscape that is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KCI등재

        3D 지형분석을 통해 본 능허대와 주변의 고지형

        허의행(Heo Uihaeng)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6

        능허대는 백제시대 외국 사신의 출항과 입항이 이루어지던 장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능허대와 그 주변은 대규모 도시 개발로 인해 현재는 원지형을 거의 살필 수 없다. 따라서 선박 장소로서의 능허대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의 해결을 위해 고지형분석 방법을 이용한 능허대와 주변의 지형을 살핌으로써 선박장소로서 능허대의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지형분석은 미시적이고 거시적 관점에서 지형의 3차원 판독을 진행하였으며, 이와 함께3차원 지형 모델링 복원하여 해수면의 변동 분석을 같이 실시함으로써 능허대와 주변 일대의선박장소로서의 적합한 지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방법을 바탕으로 고지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능허대와 그 주변은 구릉지와 야트막한 미고지성 지형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살펴볼수 있었으며, 동쪽의 청량산에서부터 발원한 구유로가 동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능허대의 동쪽 사면에 접한 곳으로는 선박의 정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넓은 집수지성지대와 함께 작은 어선의 입출항이 가능할 수 있는 갯골 등의 흔적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능허대는 배의 정박 장소보다는 주변 경관을 조망하기 좋은 장소로서의 기능이 우선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었고, 오히려 선착장으로서의 지형은 능허대의 동쪽, 고지도에 표시된 한진의 지명이 있는 지형이 유력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물론 능허대와 주변의 지형들은 항만의 자연 입지 조건에 부합하는 모습이 명확하고 물자와 인력이 이동하기에 좋은 자연지형을 갖추고 있어 경제적 조건의 항만 입지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입지조건 파악을 통해 백제및 중국 사신들의 사행 이동로의 지형도 같이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이동의 방향 등도살펴볼 수 있었다. Neungheodae is known to be the location where the port entry and exit of foreign envoys occurred during the Baekjae period. However, the original topography of Neungheodae and its surrounding areas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due to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pinpoint Neungheodae as a docking location. That is why I aim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ferry landing as a docking place by examining the paleotopography of Neungheodae and its surrounding areas using 3D terrain analysis. The 3D terrain analysis is a paleotopography method that deciphers terrain from microscopic and macroscopic perspectives. By conducting a sea level change analysis using the 3D terrain analysis together with the 3D terrain modeling reconstruction, I attempted to identify the terrain at Neungheodae and its surrounding areas that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docks. The results of the terrain analysis based on that methodology showed that Neungheodae and its surrounding areas were composed of hills and low minute hilly terrain (slightly raised ground), and I also found that the old Gokbu river, which originates from Mt. Cheongnyang in the east, flowed from the east to the west. In addition, I also discovered that there was a large receiving basin area where boats could anchor next to the eastern slope of Neungheodae, as well as the traces of tidal channels where small fishing boats could enter and exit the dock.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 proposed that the main function of Neungheodae was prioritized as a location to afford a view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rather than as a location for boats, and that the possibility that the slightly raised ground to the east of Neungheodae, the location noted as Hanjin in old maps, was rather more suitable as a dock. Above all, the topography of the ferry landing and its surrounding areas have natural geographical conditions that clearly made it suitable as a dock, and it has economically advantageous geographical conditions as it has terrain that is naturally suited for the movement of goods and people. By understanding these geographical conditions, I could examine the routes that Baekjae and Chinese envoys took,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ir routes.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허의행(Heo, Uihaeng)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5 No.-

        In a bid to identify what residence looked like, experiments with fires, and leaving naturally unattended and natural abandonment were conducted. Through experiments, the processes of natural abandonment and artificial abandonmen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atterns of soil deposition, which were divided into six types to be further studied. Patterns of deposition differ according to types of villages, and distribution of remains; in the Yeoksam– ri and Honam– ri villages, diverse residential deposition patterns were discovered, while, in Garak– dong– type villages, patterns of natural residential areas prevailed. These deposition patterns are thought to show the patterns of abandonment of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ir relations with the volume of remains existing within the residential areas, 16 types of residential abandonment and decline were identified. Residential abandonment happened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in the case of the Yeoksam– ri and Honam– ri– type villages, considering divers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massive remains, and the number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fires and residences; behind this, there seems to have been diverse causes such as relocation, resettlement and segmentation into various villages. The decline of villages should be studied from various aspects, but not all abandonment of residences is not thought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re were voluntary or involuntary declines, the decline is also estimated to have been caused by an increase in residences and population, which sparked the maximization of utilization of surrounding resources, leading to desolation and depletion of resources. In the meantime, the abandonment of Garak– dong– type villages is estimated to have occurre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single deposition patterns, the existence of small amounts of remains, and distribution of fires and residences; only traces of relocation and movement were discovered, but no traces of resettlement were seen. The decline of villages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abandonment of all residences, perhaps because, rather than the surrounding resources were depleted, communities of villages with weak cohesion were dispersed or were effected. 주거의 폐기모습을 알기 위해 화재와 자연 방치 폐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연 폐기와 인위적 폐기 모습을 토양의 퇴적양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고 이를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의미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다. 주거지 내 토양 퇴적양상은 취락 유형별, 그리고 유적별 분포에서 차이가 확인되는데, 역삼·흔암리유형 취락 주거지에서는 다양한 퇴적양상이 나타나는 반면, 가락동 유형 취락에서는 자연적 퇴적양상 주거지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퇴적양상은 주거 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거 내 잔존한 유물량과의 관계를 통해 16가지 형태의 다양한 주거 폐기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주거의 폐기는 역삼·흔암리유형 취락의 경우 주거지 내부의 다양한 토양 퇴적양상, 유물량의 다수,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자·타의적 폐기 모두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주, 재정착 그리고 분촌화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취락의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자·타의적 원인에 의한 소멸도 있었겠지만, 증가된 주거와 인구에 따른 주변 자원 활용이 극대화되면서 이에 수반한 자원의 황폐화와 고갈이 소멸 원인의 일부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가락동유형 취락의 주거 폐기는 단일한 퇴적양상, 유물의 소량 잔존, 화재 주거지의 수와 분포로 보아 대부분 동시에 폐기된 것으로 파악되며, 이주와 이동의 모습은 있지만 재정주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취락 소멸은 모든 주거의 폐기와 함께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주변 자원의 황폐화보다는 결집력이 약한 취락 집단의 자·타의적 분산 뿐 아니라 외부의 간섭에 의한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동해 송정동 유적의 지형경관과 입지환경

        허의행(Heo, Uihaeng)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송정동유적은 강원도 동해안 철기시대 최대의 취락지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건설과 확장 등으로 인해 취락의 전반에 대한 양상 파악은 아직까지 어려움이 있다. 과거 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의 분포범위는 해안사구 전반으로 파악되며, 여기에 걸쳐 취락을 조성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넓은 면적에 걸쳐 유적이 조성되었지만 입지한 곳의 전반적인 환경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아직 미진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송정동 취락민들이 주변의 평탄한 구릉지대가 아닌 해안사구라는 낮은 지대를 취락 입지로 선택한 원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접근의 방향으로 고지형분석 방법을 적용한 입지의 자연경관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송정동유적은 해안사구에 취락이 입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해안사구의 주변으로는 하천과 바다, 높은 산지에 의해 둘러싸인 모습인데 이러한 지형은 외부에서 취락지역으로 접근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부에서 바라본 취락 입지는 다소 폐쇄된 입지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취락지역 내부에서는 이동과 접근이 용이한 완만한 구릉지대와 평탄한 대지 지형의 존재로 인해 오히려 반대의 입지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입지의 특징은 해안사구에 정착한 송정동 유적의 취락이 발전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의하나로 파악되며 국읍의 성격을 뛰는 정치체로 성장하는데도 기여하였을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송정동 유적의 입지 선택은 중요한 경관적 의미를 갖는다. The site of Songjeong-dong is the largest residential area of the early Iron Age on the East Coast in Gangwon Province. However, urban construction and expansion has make it difficult to illustrate the distribution of the ancient residential housing facilities. Past investig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the features suggest that they were residential buildings that covered the entire coastal dune. A large area has been recognized consisting of the features, but the form of the old topography and site conditions have yet to be delineated. This study aimed to get an idea of the landscape of the site by employing ancient topography research to discuss what led to the selection of the sand dune that broke from the gently sloped hilly area around it as the residential housing sit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ngjeong-dong site featured residential housing facilities all over the wide coastal dune. The coastal dune is encircled by a river, the sea, and the high mountains, thus creating a topographic landscape that excellently obstructs access to the residential area. Thus, the site appears closed due to the obstruction of access from outside, but the residential area enjoys excellent mobility and access to outside areas thanks to the gently sloping hills and the level field. Taking advantage of such favorable conditions, the residents of the historical relic site in Songjeong-dong grew into a polity in a place that looked like a capital of an ancient kingdom. Such consideration must have gone into the selection of the site.

      • KCI등재
      • KCI등재

        사비 도성의 고지형과 공간 활용의 검토

        허의행 ( Heo Ui-haeng ) 한국고대학회 2024 先史와 古代 Vol.- No.74

        부여 사비 도성의 내부는 육성과 충적지형이 조화를 이루며 분포한다. 육성지형은 산지와 구릉지형, 여기서 형성된 낮은 미곡부 지형이 존재하고 충적지형은 동쪽과 남쪽 일대에서 그 분포가 뚜렷하다. 동쪽은 곡저평야로 남쪽은 미고지성 평탄지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지형을 바탕으로 사비 도성은 적절한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사비 도성 내에는 다양한 고지형 흔적과 이를 이용한 도성 관련 시설들이 확인된다. 고지형 흔적으로는 저구릉성 지형과 곡부지형의 형태와 범위가 명확히 확인되는데 유적의 적절한 분포와 이용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미고지의 존재도 확인되는데 이곳으로는 유로흔의 모습도 확인된다. 유로흔은 도성의 외부를 지나는 모습이 뚜렷하여 방어 및 경계의 기능을 담당하는 모습이다. 도성 관련 흔적은 제방상 구조물과 연못지 등이 확인된다. 구조물은 부여 시내 외곽에서 제방의 형태를 갖추듯이 둘러싼 모습이며, 일부는 동나성의 성벽으로 추정되는 흔적도 있다. 연못지는 부여 시내 외곽에서 일정의 범위를 갖추듯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심지 배수 장소 및 궁남지로서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상기한 고지형 흔적을 바탕으로 도성의 주요 공간에 대한 범위를 다시금 살펴볼 수 있는데, 부여 시내의 남쪽 궁남지 일대를 넘어선 충적지형까지를 그 대상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다. 동쪽 지역은 동나성의 산지지형을 기준으로 하며, 북쪽과 서쪽은 자연지형으로서 산지와 구릉, 저구릉성 지형이 이를 대신한다. 반면 남서쪽 군수리 일대와 왕포리 일대는 미고지성 대지의 존재와 이곳으로 추정 제방 구조물의 흔적으로 인해 도성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미고지의 구조물은 도성 공간의 대지를 확보하면서도 금강의 범람을 차단하려는 기능적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주요한 공간적 범위를 갖춘 사비 도성은 총 5개소의 지형 공간으로 구분되는 모습이 있는데, 아마도 이러한 지형을 적절히 활용하여 도시의 구성을 진행하였을 것이며 그러한 흔적으로서 도로의 배치와 개설은 큰 의미를 갖는다. The interior of Buyeo Sabi Capital City has a harmonious distribution of upland and alluvial terrain. The landforms include mountains and hilly terrain, and the low, uneven terrain formed from them, while the alluvial landforms are more pronounced in the east and south, with low-lying plains in the east and low-lying flat terrain in the south. Based on these terrains, Sabi Capital City is organized in an appropriate space. In addition, various traces of highlands and city-related facilities that utilized them can be found within Sabi Capital City. The upland traces clearly identify the shape and extent of low hilly terrain and curved terrain, showing the proper distribution and use of ruins. The presence of unexplored areas is also confirmed, including the appearance of eurocraters. Eurotrails are clearly visible on the outside of the city, indicating that they served a defensive and boundary function. Other traces of the city include structures and ponds that are believed to be traces of the city walls. The structure is a dike-like enclosure on the outskirts of Buyeo City, and some of the traces are believed to be the walls of Dongnara Castle. The ponds are formed in a certain range on the outskirts of Buyeo city, which can be seen as a drainage area for the city center and a gungnamji. Based on these upland traces, the scope of the city's main space can be revisited, extending to the alluvial terrain beyond the Gungnamji area south of downtown Buyeo. The eastern area is based on the mountainous terrain of Dongnaseong, while the north and west are natural terrain, with mountains, hills, and low hilly terrain. On the other hand, the southwestern areas of Gunun-ri and Wangpori-ri can be included in the city range due to the existence of unexplored land and traces of presumed embankment structures. In particular, this unexplored structure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be seen to function to block the flooding of the Geum River while securing land for the city space. Sabi Capital City, which has such a major spatial scope, is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terrain spaces, and probably utilized these terrains appropriately to organize the city, and the layout and opening of roads are significant as such tr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