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ocultural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Grades

        Hur, Su-Won(허수원),Park, Chong-Won(박종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7

        In identifying contributing variables to a language learning success or failure, too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gnitive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while sociocultural factors are considered as peripheral or latent. Even to the socioculturalists, a predominantly language-oriented approach may have neglected the importance of human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interlocutors in terms of how it ultimately triggers or hinders interactional processes in classroom participation. As an initial stage of investigation, 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xtend and reconceptualize the roles of sociocultural variabl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how these affect current language learning contexts. 11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aking three different types of language classes, that is, grammar, listen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me variability exists in participants’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language classes taken. Participants from grammar and writing-oriented classes nominated university and home factors, respectively, as highly influential variables, whereas participants from a listening comprehension-oriented class viewed individual, home, and university factors as being equally important. When the types of language classes are not considered, participants ranked university factors as the most contributing variables, followed by home and individual factors. The implications for language classroom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this realm a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교수 간격이 역동적 문자 교정지도에 주는 영향 연구

        허수원(Hur, Suwon),박종원(Park, Chongwon) 새한영어영문학회 2018 새한영어영문학 Vol.6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icacy of DWCF extending the scope of assessment as local, global, and mechanic errors. 69 beginning writers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207 writing samp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WCF is strongly affected by the instructional hour intervals either one week or one day. Instructional hour intervals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short and long period of task time favoring for summer session. Students from short instructional hour intervals show dramatic development in the areas of global, local, and mechanic errors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To validate the findings of these results, relevant works which support or re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educational implication.

      • 다문화가정 자녀 동요교육의 필요성과 동요의 효과 분석

        허수원(Su-Won Hur),오현주(Hyun-Ju Oh)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1 젠더와 사회 Vol.32 No.-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와 아동의 한국어 언어능력 증진과 문화 이해 및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 동요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동요가 유아와 아동의 언어능력 증진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문해력 개발의 기초로서 두뇌의 발달과 더불어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점증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화 부적응 예방을 위한 하나의 조기 접근 방법으로 동요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유치원 동요교육의 현실과 다문화가 정 아동의 한국어 음운 및 통사적 활용의 오류를 살펴보고 모범적인 한국 동요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자녀 동요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 더불어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확립의 첫 단추는 결국 한국어 수행 능력으로 귀착됨을 인식하고 한국 정착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동요가 일석이조의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and necessity of Korean nursery rhymes to promote Korean language ability, 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nursery rhymes not only help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and children, but also help develop brain as well as emotional stability as a basis for literacy development, The role and effect of nursery rhyme education will be reviewed as an early approach to prevent socialization mal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ality of kindergarten nursery rhymes education and errors in Korean phonological and syntactic us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reviewed and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in children s song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exemplary Korean nursery rhymes education. In addition, the first step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s to recognize that they ultimately lead to Korean language performance skills and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nursery rhymes can have the effect of one stone and two birds as one of the main elements of Korean settle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KCI등재후보

        언어 능숙도와 성별이 교정지도 방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종원(Park, Chong-won),허수원(Hur, Su-w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연구자는 문자교정지도(WCF: Written Corrective Feedback)에 성별(gender)과 언어 능숙도(proficiency)가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차언어에서 정확성의 개념은 언어적 영역, 글의 조직체계, 그리고 내용 영역까지 확대되며, 총 3개 영역의 2 1개 항목이 문자교정지도의 가장 중요한 초점이 되었다. 추가로 이전의 WCF 연구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의견문(opinion paragraph) 또한 연구의 주된 내용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기로 하겠다. 본 연구에는 226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고 1,130 편의 작문 표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WCF의 영향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성별과 언어 능숙도는 상호간에 영향을 미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욱이 성별의 차이가 WCF의 결과에 유일무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이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학습지들의 각기 다른 언어숙달 수준은 초급과 중급 수준의 학생들에게서 뚜렷하게 유리한 차이를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 언어숙달 수준이 고급인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사전테스트(pre-test)와 사후테스트(post-test)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WCF 에 관한 연구의 비교 불가한 특성을 연구자가 받아들이고 WCF 연구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진일보된 연구에 착수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작문 수엽의 시간 제약을 고려해 볼 때, 어떤 항목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지 그리고 다양한 수준의 학습지를 지도해야 하는 현장의 교사에게 줄 수 있는 교육학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s of gender and proficiency with respect to written corrective feedback (WCF). The notion of accuracy was extended from linguistic to organization and contents, and the 21 items were the primary focus of the feedback. In addition, opinion paragraphs, which rarely received attention in previous WCF studies, were included. 22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1,130 writing samp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gender and proficiency do not interact with each other in determining the effects of WCE Moreover, the differences in gender do not exclusively affect the results of WCF. However, the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assigned in this study show distinctive results favoring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 students. Among advanced level students, on the other hand, no difference between the pre-and post-test was reported. Rather than jumping to any hasty conclusion, however, the researchers acknowledge the incomparable nature of WCF studies an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that would make comparisons possible among WCF studies be undertake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those who are dealing with diverse levels of learners when deciding what particular teaching content should constitute a priority in a limite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