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성호,Hu, Sung-H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60세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경향성을 측정하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 디지털 자신감, 디지털 자기통제감, 디지털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차설계 모형과 이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접근성이 높은 집단이 전반적인 디지털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활동성이 높은 집단이 디지털 자기통제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이 디지털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자신감과 디지털 자기통제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층의 디지털 격차에 대한 극복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divide on the digital daily life of the elderly. Adaptation tendencies for digital divide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groups for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And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digital confidence, digital self-control, and digita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e research model used a cross over design model and a dual medi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 group with high adaptive accessibility to the digital divi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digital daily life. Second, a group with high adaptive literacy to the digital divi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gital self-control. Third, digital communication skill has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confidence and digital self-control play a mediating rol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strategies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 KCI등재

        자기통제 차원과 조직통제 차원이 정보보안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성호,황인호,Hu, Sung-ho,Hwang, In-h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 차원의 통제 소재 차원과 조직통제 차원의 경직성 문화 차원이 정보보안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는 통제 소재와 경직성 문화의 교차방안으로 구조화되었고, 정보보안 태도는 정보보안 실제 태도, 준수행동 태도, 정보보안 효능감의 세 가지 변수들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통제 소재 차원이 정보보안 태도에 끼치는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즉, 정보보안 실제 태도, 준수행동 태도, 정보보안 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내적통제 조건의 영향이 외적통제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실증되었다. 두 번째로 경직성 문화 차원이 정보보안 태도에 끼치는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즉, 준수행동 태도, 정보보안 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경직된 문화 조건의 영향이 느슨한 문화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실증되었다. 아울러, 논의점은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정보보안에 요구되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학술적, 제도적 지향성을 설명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organization-control o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The research method is composed of a cross-design of locus of control and tightness culture.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e assessment are information security actual attitude, compliace behavioral attitude, and information security efficacy. As a result, the locus of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security actual attitude, information security efficacy, information security efficacy, and it was found that influence of the internal-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external-based condition. The tightness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pliace behavioral attitude, information security efficacy, and it was found that influence of the tight culture-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loose culture-based condition. In addition, the discussion contatins the implications of information security direction that reflect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정보 보안 제재성과 위협 인식, 분위기 인식이 준수 행동 의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망 관점과 목표 지향 관점을 중심으로

        허성호(Sung Ho Hu),황인호(In-Ho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보안 제재성, 위협 인식, 분위기 인식이 준수 행동 의도성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전망 관점과 목표 지향 관점의 교차설계로 구조화되었고, 정보 보안 과정은 정보 보안 제재성, 위협인식, 분위기 인식, 준수 행동 의도성의 네 가지 변수로 측정되었다. 연구 진행은 전망 관점과 목표 지향 관점을 측정 후, 네 가지 변인을 측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전망 관점은 분위기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득 조건의 영향력이 손해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지향 관점은 정보 보안 제재성, 위협 인식, 준수 행동 의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장 조건의 영향력이 안정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망 관점과 목표 지향 관점은 준수 행동 의도성에 대하여 상호작용 효과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출한 연구 모형은 측정변인으로 구조화된 복합 매개모형으로 탐색되었다. 아울러, 논의점은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정보 보안에 적합한 시사점을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an information security policy sanction, a perceived threat, and the percepti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climate on a complianc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earch method was structured with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for the prospect and goal orientation.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ar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sanction, perceived threat,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climate, and compliance behavioral intention. Progress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measuring the prospect and goal orientation, and then measuring the four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sp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climate, an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gain-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loss-based condition.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sanction, the perceived threat, and the compliance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stability-based condition. Both prospect and goal orientation had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compliance behavioral intention. The exploration model was verified as a mediation model. In addition, the discussion includes the appropriate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허성호(Hu Sung-Ho),정태연(Jung Tae-Y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YPS: 2003년-2008년)에서 얻은 중학교 2학년 때부터 대학교 1학년 때까지의 6년 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심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전체 표집인원 3,449명 중에서 6년 동안 빠짐없이 자료를 제공한 1,395명(남: 589, 여: 806)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집단의 발달적 단계를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중에 일손돕기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모든 봉사활동에서 발달단계별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자원봉사활동의 유무집단에 따른 차이는 발달단계별로 조금씩 달랐다. 중학생 시기의 경우 직업성숙도나 진로성숙도와 같은 변인에서는 자원봉사의 유무집단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 관계 및 정서적인 면에 해당하는 부모애착과 친구애착, 그리고 자아관과 관련된 자기신뢰는 자원봉사를 통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고등학생 때는 거의 모든 면에서 자원봉사가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자원봉사가 직로성숙도나 직업성숙도의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자아관과 관련되는 모든 변인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의 감소와 삶의 만족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시기의 경우, 자원봉사가 삶의 만족도를 크게 개선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직업성숙도와 진로성숙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모형에서 관계성과 자아관이 일상생활을 거쳐 진로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발달적 시기 및 자원봉사의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lunteering on adolescent develop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longitudinal data (2003-2008) from the Korea Youth Panel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 set of 1,395 data (males: 589, females: 806) were selected from the KYPS data pool and analyzed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high school students group, and college students group).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elping was ranked foremost in the list of volunteer activities for all groups concerned. Second, volunteering was seen as improving attachment, friendship, self-tru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most variables measur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professional maturity, career maturity, self-esteem, self-stigma, attachment, life-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Third, relationships (attachment, friendship, emotional-control) and self-image(self-esteem, self-trust, self-stigma) exercised an influence on career awareness (professional maturity, career maturity) directly and via lifestyle(deviation, life-satisfact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s played by volunteering in adolescent development.

      • KCI등재

        집단따돌림이 피해청소년의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허성호(Hu Sung-Ho),박준성(Park Jun-Seoung),정태연(Jung Tae-Y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YPS: 2004년-2007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집단따돌림이 청소년의 자아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청소년(N = 292)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N = 230)의 4년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집단따돌림의 빈도에 따라 청소년들을 4개 집단(지속, 간헐, 일회, 무경험)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한 결과, 무경험 집단이 나머지 세 집단에 비해 자아에 대해 덜 부정적이었고 자아존중감도 더 높았으며, 나머지 세집단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집단따돌림을 당하지 않은 시기에 비해 당한 시기의 자아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모두 부정적으로 변했다. 게다가, 175명(남: 71명, 여: 10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집단따돌림 경험 전후에 따른 자아 관련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집단따돌림 이후에 자아에 대한 태도가 모두 부정적으로 변했으며 자아존중감도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가 발달적 및 교육적 측면에서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hanges in self-image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exposed to bullying. For the current study, the longitudinal data (2004-2007) from the Korea Youth Panel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Firstly, a total of 522 data sets (292 from persons who experienced bullying and 230 with no experience of bullying) was selected from the KYPS data pool and analyzed in patterns of self-image and self-esteem. Four groups were form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experience of bullying (constant, intermittent, once, non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were less negative in terms of their self-image and self-esteem than any other group and the other three groups were virtually equal. Second, using a total of 175 data points,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bullying experiences in terms of the self-related measures. This demonstrated that bullying exerted detrimental effects on self-image and self-esteem.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 KCI등재

        범인식별 과정에서의 정확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개인차 및 상황변인 분석

        허성호(Hu Sung Ho),김지영(Kim Ji Young),김기범(Kim Ki Bum)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범인)식별과정에서 절차에 관한 변인 및 식별과 관련된 개인차 변인이 식별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차 변인으로 자의식, 사회적 불안과 피암시성을 측정하였고, 식별상황에 대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식별과정과 관련된 시스템 변인으로는 식별 지시(편견, 비편견)와 라인업(동시적, 순차적)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편향된 지시 조건에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피암시성이 높은 집단의 정확률이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불안이 높은 사람들에게 편향된 지시를 했을 때, 정확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별 후 확신감이 높은 집단이 정확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심리학 분야에서의 기억과 목격자 증언에 대한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법 및 범죄 관련 분야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system variables on identification accuracy. We measured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suggestibility, evaluation of stress under identification situation as individual differences and manipulated biased/unbiased instruction and simultaneous/sequential lineup presentations as system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experienced much stress under biased instruction. The more who were suggestible at instruction, the lower at identification accuracy. In addition, when the subjects who were high on social anxiety received biased instruction, they were low on identification accurac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subjects who were confident after identification were more likely to be higher on identification accuracy.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 및 미준수 원인에 대한 연구

        황인호,허성호,Hwang, In-Ho,Hu, Sung-Ho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의 환경적 요인을 제시하고, 개인의 보안 준수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찾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을 적용하는 조직의 구성원들이며, 설문 조사를 통하여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과정에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통해 연구모델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측정변수는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 시스템, 정보보안 기술적 지원, 업무장애, 비가시성, 조직몰입, 준수의도로 구성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는 보안 준수요인인 정책, 시스템, 기술적 지원과 미준수 요인인 업무 장애가 각각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준수의도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모델의 검증 결과를 토대로 조직의 정보보안 준수 수준 향상을 위한 구성원들의 보안 준수 전략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at affect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and reveals the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s th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mployees of organizations that apply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and technologies, and effective samples were obtained through surveys.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 study model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asurement variables consisted of security policy, security system, technical support, work impediment, security non-visibility, compliance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security compliance factors such as policy, system, technical support, and non-compliance factors, work impediment, respectively, had an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ing to compliance intenti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research model suggests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security compliance strategy for employees to improve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의 채용자격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려화(Ryo-Whoa Lee),허성호(Sung-Ho Hu)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qualifications recognized by enterprises and job seeke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11 factors. As the analysis method, a big data analysis approach was applied to mix and use keyword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As a result, several things were verified. First, while large enterprises emphasized academic ability, small enterprises emphasized major. Secon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nterprises emphasized academic ability and career, and job seekers emphasized external activities, majors, and education. Third, in the service industry, enterprises emphasized academic ability and career, and job seekers emphasized majors, certificate, and education.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employment qualific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erprise and the type of indust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gnition mismatch of employment qualifications was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활용 능력과 디지털 시민 태도 성향, 디지털 존중감이 디지털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율성과 경직성을 중심으로

        김영민(Young-Min Kim),허성호(Sung-Ho Hu),이려화(Ryo-Whoa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otivation and culture on digital citizenship. The research design is composed of a cross-sectional design of autonomy and tightness.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e investigation are digital literacy, digital civic attitude, and digital respect. As a result, the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literacy, digital civic attitude, digital respect, digital civic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influence of the high-autonomy-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low-autonomy-based condition. The tight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civic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influence of the high-tightness-based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low-tightness-based condition. In addition, the discussion contain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that reflect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메타버스 콘텐츠의 지속적사용의도성 개선 전략에 관한 연구

        이려화(Ryo-Whoa Lee),허성호(Sung-Ho Hu)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eptivity and content communicability on content immersion and verify the mediation model of content immersion on sustainable usage intention. The research method used a factorial design method of the MO-ABC model structure that receptivity and content communicability, and confirmed the influence of content immersion on the intention to sustainable usage intention by mediating metaverse expansion intention and communication present. The mediation analysis was designed based on the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theory. As a resul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iveness of receptivity and content communicability on content immersion was confirmed.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n content immersion wa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effect of content immersion on sustainable usage intention through metaverse expansion intention and communication pres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is, the academic and practical direction appropriate for user-centered metaverse policy was addressed as a matter of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