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허선영(Hur Sun-yo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이번 연구는 고려전기에 해당하는 분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용기의 종류와 세부편년을 설정하고 그 변화의 의미와 고려전기 분묘의 유물 부장양상을 통해 청동용기의 사용계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결과, 고려시대 전기 분묘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의 기종은 대부발, 발, 접시, 완등으로 일상생활기명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동반유물은 도기와 자기가 대부분이며 이외 청동숟가락과 장신구인 가랑비녀, 과대 등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진안 수천리 5호에서는 기존에 완으로 분류되던 유물이 불교용구 중 하나인 경자일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청동용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기종과 형식의 분류를 진행하였고 이후, 함께 동반되는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시기구분과 편년을 설정하였는데, 1기는 918년~11세기 초로, 청동용기는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을 받은 기형이 주로 출토되었고 동반유물 중 가장 많은 수량으로 확인된 도기는 4면편명이 다수이고 그 외 편구병, 주름무늬병도 확인되었다. 청동숟가락은 부여 부소산과 황해도 평산에서 출토된 숟가락과 유사성을 보였다. 2기는 11세기 초~11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며 청동용기는 리벳을 이용한 그릇의 제작이 두드러지고 1기에 비해 다양한 기종과 기형이 등장하게 된다. 동반되는 유물은 청자와 숟가락이 다수를 구성하는데 특히, 청자는 내저원각식 해무리굽과 광구병을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을 통해 1기는 고려라는 새로운 왕조가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그릇과 관련된 문화는 여전히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실질적’ 청동용기의 상한 연대를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에서 고려가 건국되는 10세기로 편년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1세기를 기점으로 고려왕조의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청동용기의 변화는 수공업의 발전을 의미하는데 그 변화의 배경은 국내의 제도 정비, 특히 장야서 등의 설치와 큰 관련이 있으며, 또한, 금속공예가 발달하였던 요와의 교류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몇몇 사료를 통해 고려 전기에 동기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전기에 나타나는 청동용기의 매납 현황과 분포양상, 제작의 연건 등을 살펴보았을 때 청동용기는 일부 계층이 향유하던 물품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inds and chronology of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nd clarify user classes of bronze container by examining the meaning of a change and burial of remains in tombs. This study found that most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household containers such as Daebubal, Bal, plate and Wan. Accompanied remains are mostly earthenware and porcelain and include bronze spoon and Garangbinyeo which is accessories and Gwadae. Remains which were classified as Wan unearthed in No. 5 Sucheonri, Jinan are likely to be Gyeongja, one of Buddhist utensils.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ypes and for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container and set term and chronology by comparing accompanied remains. First term ranges from 918 to early 11<SUP>th</SUP> century. When it comes to first term, bronze containers affected by unified Silla were mostly unearthed and earthenware which account for greates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was Samyeonpyeonmyeong followed by Pyeongubyeong and Jureummunibyeong. Bronze spoon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similar to that unearthed in Busosan, Buyeo and Pyeongsan, Hwanghaedo. Second term ranges from early 11th century to late 11<SUP>th</SUP> century. As far as bronze container is concerned, bronze container using rivet is remarkable and compared with first term, more various kinds and forms appear. Celadon and spoon account for a grea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and especially for celadon Naejeowongaksikhaemurigup and Gwangkubyeong dominate. When it comes to first term, even though new dynasty called Goryeo was established, container related culture is stilled under influence of unified Silla. This means that upper limit period of ‘actual’ bronze container can be estimated at the end of 9<SUP>th</SUP> century, the last period of unified Shilla through 10<SUP>th</SUP> century when Goryeo Dynasty was founded and new culture of Goryeo Dynasty began to be established from 11<SUP>th</SUP> century. Such change in bronze container means development in handcraft manufactur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improvement in domestic system especially installation of Jangyaseo and so on and cultural exchange with Liao Dynasty that metal work develop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ome studies suggest that copper container was mostly used during early Goryeo Dynasty but it seems that bronze containers were used by some classes considering burial status, distribution and production condition of bronze container.

      • KCI등재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허선영 ( Sun Young Heo ),문태헌 ( Tae Heon Mo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scope and method of study was established by theoretic investigation of case study related to crime. Second, as crime cannot be prevented by police power only, CPSCP(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developed so that all citizen can cooperatively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 data on the place where people feel fear in the region was collected by directly indicating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in the space by utilizing CPSCP. Fourth,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are redundantly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2 places.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al desig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space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nd to eliminate the fear of crime. The CPSCP developed by this study which will be advanced to U-crime preven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making citizen`s own neighborhood a smart safety city autonomously.

      • KCI등재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허선영(Sun-Young Heo),장후은(Hoo-Eun Jang),이종호(Jong-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주요한 대학지원 사업의 하나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의 각종 창업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의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고, 창업동아리 지원, 창업 자금 지원 및 창업 공간 지원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의 형성 및 매출액 등과 같은 정량적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정부 재정지원 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대학 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요인으로는 부처별 창업 지원사업 간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사업 추진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결과 사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처별 창업 지원 사업의 유사 · 중복성을 탈피하고, 대학 내 사업 추진 체계를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대학 내 창업지원 조직이 사업별로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써 사업 간 및 조직 간 연계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대학 내 창업 지원 사업의 파급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요망된다. The prolonged economic slowdown has forced many youths to opt for starting a business instead of seeking employment. Universities have shown their interest in startup training by opening startup courses and encouraging relevant student communities, while at the same time helping their students land a job. Along with this,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hrough creative economy and youth startup initiatives, but the resulting quantitative growth has not been supported by a commensurate level of qualitative growth and this has created problems on the supplier side, such as by producing redundant functions and roles in multiple projects and inefficient investment. This study, which aims at proposing a direction towards more active support and thus helping the government achieve qualitative accomplishments that can match its effort in terms of quantitative growt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startup support of universities in Korea by examining the data regarding training programs and projects, and highlights the issues stemming from startup organizations in colleges. It also suggests solutions for improving in-college startup training and establishing an interlinked system among the relevant bodies in and out of college, with the hope that the results and alternativ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more active student startup support activities.

      • KCI등재

        흉노 용성 출토 한대 ‘11자문자와당’의 의의

        허선영(HEO SUN YOUNG)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와당의 등장은 고건축의 목조건축이라는 한계점을 뛰어넘어 실용성을 위한 최고의 발명품이었다. 와당연구는 시대가 변하면서 실용적 측면 외에도 기교의 예술성을 포함하여 당대 세계관을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고 있다. 50년대부터 대대적인 발굴 작업이 진행되면서 많은 양의 와당이 출토되었다. 문자와당의 전성기는 한대시기로 1자부터 12자에 이르기까지 와당에 문자를 배치하였다. 그런데 그동안 중원에서 출토된 적이 없었던 ‘11자 문자와당’이 2020년 7월에 출토가 된 것이다. 현재까지 약식보고서만 등장할 뿐 정식보고서가 나오지 않아 연구에는 한계가 있지만, 발표된 기사를 중심으로 ‘11자문자와당’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1자문자와당’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음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天子單于’ 용어 등장, 둘째, ‘千萬歲’용어의 축약, 셋째, 명문의 배치는 기타지역에서 출토된 문자와당과 다르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필자의 연구논문에서 언급된 ‘11자문자와당’의 그동안 중원에서는 출토된 적 없었던 문자와당에 대한 연구이다. 몽골지역 출토 ‘11자문자와당’은 중원에서 사용된 문자와당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 즉, 흉노가 사용한 ‘11자문자와당’은 중원의 와당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흉노는 자신들만의 문화와 세계관이 있었으며, 이것이 어쩌면 흉노가 한왕조와 대립할 수 있었던, 북방의 힘을 키웠던 문화와 세계관이 있었을 지도 모른다. 좀 더 구체적인 연구는 정식보고서와 함께 동반 출토된 유물자료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11자문자와당’의 3가지 특징을 통해 흉노가 사용한 ‘11자문자와당’의 편년을 비정하는데 중요한 방증자료가 될 것이다. Wadang is very important research material since it includes a view of world and technical artistry other than having practical aspects as times changed. Since the 1950’s, many Wadang have been excavated as extensive discovery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adang in Han Dynasty arranged from 1 letter character to 12 letter character on Wadang. Nevertheless, “11 Letter Character Wadang” which never discovered was excavated July, 2020. Up to present, although it limits to publish formal research report since only simple research report are available. Research on “11 Letter Character Wadang” is processed, based on news articles. As a result of “11 Letter Character Wadang” research,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erm of ‘Cheon Ja Seon Woo“appeared, secondly term of ’Cheon Man Se” abbreviated, thirdly Myeong Moon’s placement is different from the ones excavated in other regions.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fact that “11 Letter Character Wadang” was never appeared in my previous dissertation and also to clarify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from Wadang used in Joong Won. In order word, “11 Letter Character Wadang” used by Hyung Noh is different from Joong Won’s Wadang. Hyung Noh, conflicted against Han Dynasty, Northern Region’s culture and a view of world would have been to Hyung Noh for themselves. and also it needs more detailed research and report related to excavated antiquity material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11 Letter Character Wadang” and also it would be important evidence to compare recording chronologically.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우울 전이 : 종단적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허선영(Heo, Sun-Yo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울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의 우울의 전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종단 분석을 위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를 부부 자료로 재구성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이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기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우울 수준은 자기회귀효과를 통제하더라도 배우자의 우울 수준에 종단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에의 개입에 있어서 부부관계가 중요한 개입 지점이라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부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울이 전이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노년기 우울을 개선시키기 위해 부부 및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 함을 논의하고, 실천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yadic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married elderly couples’ depression. The analytic model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The present study uses data from four annual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5, 2016, 2017, and 2018) for analyses. The final sample of this study comprises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employed to identify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couples’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depression level of one spouse had a significant long-term effect on depression of the other spouse. Specifically, husbands’ higher level of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ives’ higher level of depression one year later, while controlling for autoregressive effect of their depression level of previous year, and vice versa.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for contagion of depression in interpersonal context.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need for interventions in depression using individual and couple-centered approaches.

      • KCI등재

        대학-지역 상생을 위한 캠퍼스 주변지역 문화거리의 이용 특성 및 활성화 방안 -경남 진주시 볼래로 문화거리를 사례로-

        허선영 ( Sun-young Heo ),이종호 ( Jong-ho Lee ),장후은 ( Hoo-eun Jang ),김겸섭 ( Kyoum-sup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4

        최근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위해 캠퍼스 주변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학-지자체-지역주민 간의 연계·협력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타운 활성화를 위한 사회·공간적 거점 공간으로서 캠퍼스 주변지역 가로공간에 주목한다. 연구를 위한 사례지역으로는 중소도시이면서 거점국립대학이 소재한 진주시의 경상대학교 주변지역 활성화 사업지구인 볼래로 문화거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가로 공간의 이용행태 및 가로공간 특성별 만족도 조사,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이용계층별로 이용행태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용자 계층 및 이용 행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문화거리 공간조성, 테마설정, 행사 주제 선정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결과, 보행 및 접근편의성 측면에서는 만족도는 높지만, 거리 특색 및 홍보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공간의 특성분석을 위한 주요 요인은 상징성, 심미성, 교류성, 편의성, 문화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기준별로 볼래로 문화거리를 진단한 결과 교류성은 높은 데 반해 상징성, 문화성, 편의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징성 및 심미성 측면에서 이용자의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다양한 테마를 선정하기보다는 상징성을 가지는 대표 테마를 선정하여 주변 경관을 고려한 상징적인 조형물 설치, 공간구성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류성 측면에서 편의 증진과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문화거리 이용목적을 대상으로 한 포토존 동선 조정, 행사공간과 같은 이동 동선 분리가 필요하다. 편의성 측면에서 외부유입 유도를 위한 문화거리 이용자만의 주차공간 확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성 측면에서 축제와 이벤트는 전국적으로 유사한 경우가 많으므로 지역을 대표할 만한 자원을 발굴하고 조사하여 볼래로 문화거리만의 특성이 부여되어 차별화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Recently,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cooperation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the surrounding regions where the campus is located for win-win develop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et space around the campus as a social and spatial base space for revitalizing the university campus town. As a case area for the study, the area aroun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Jinju City, which was recently established in a local small and medium city, was targeted. For the analysis, satisfaction survey by practical usage behavior and street spac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reet, and expert FGI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usage behavior survey, the usage patterns were different for each usage class, which means that the cultural street space creation, theme setting, event theme selection, etc. should be made based on the usage group setting and usage patter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with this, satisfaction was high in terms of walking and access convenience, while satisfaction was evaluated low in terms of street characteristics and publicity. In relat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classified into symbolism, aesthetics, interchangeability, convenience, and culturality. As a result of diagnosing volraero cultural street by classification criteria, exchangeability was evaluated high, whereas symbolism, culturality, and convenience were evaluated lower than similar cases, and aesthetics were evaluated as norma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each of the five criteria are as follows. In terms of symbolism and aesthetic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representative theme rather than a variety of themes through a detailed survey of users, and to install symbolic sculptures that consider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o construct a space. In terms of exchangeabilit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movement of photo zones for the purpose of using Cultural Street and separate movements such as event spaces in order to enhance convenience and increase satisfaction. In terms of convenience, parking spaces only for cultural street users should be secured to induce external inflow. Lastly, in term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festivals and events are often similar across the country, so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research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region so that they can be differentiated with unique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 특성

        허선영(Hur, Sun young),김영욱(Kim, Young wook)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을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능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검사에 사용 된 대립어는 척도반의어, 정감반의어, 역동어, 역의어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3세∼4세 다문화가정 아동 18명, 일반가정 아동 18명으로 하였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 만 3세 8명, 만 4세 10명씩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에서 정상발달을 보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검사문항은 척도반의어 6쌍, 정감반의어 3쌍, 역의어 3쌍, 역동어 3쌍씩으로 총 15쌍, 30점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는 그림으로 된 도구를 제작하여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표현 검사 후 이해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어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정감반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척도 반의어, 정감 반의어, 역의어, 역동어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대립어 표현은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 중 정감반의어와 역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립어 이해와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해와 표현 모두에서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나 특히 표현에서 그 차이는 더욱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어휘관련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error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36 children:18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chronological age(CA) 3;0∼4;11 and 18 normal children that live in Gyeonggi-do. For the accurate research, Study children:3;0∼3;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8 people and 3;0∼3;11 normal children 8 people, 4;0∼4;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10 people and 4;0∼4;11 normal children 10 people. This study has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and converses. Summarizing all these resul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ocabulary acquisition is necessary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environment. There should be made variety of maps with different languages through the characteric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important role of comprehension in vocabulary learning.

      • KCI등재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허선영(Heo, Sun-Young),장후은(Jang, Hoo-Eun),이종호(Lee, Jo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LINC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 number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s been sharply increased for the last five years. It is viewed tha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ve played a prime role for promot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threat that about 70 per cents of total expense needed for maintain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are dependent upon finances of the LINC projec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will be disappeared, if a university or college fails to be selected in the LINC project or the government decides to suspend the LINC project.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and policy alternatives o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this paper conducts a literatur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persons concer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legal, finan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