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단자료 분석을 통한 청소년 미디어 교육 활용 특성 분석 연구

        허균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ing trajectory of using educational media through longitudinal data analysis. We categorize the feature of using educational media as usage for learning, usage for information, and usage for the game. We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ing patterns of usage for learning, usage for information, and usage for the game by LGM(Longitudinal Growth Modeling). We also find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se longitudinal changing trajectories. We used 3,499 samples of KYPS middle school second-grade panel data. We found these results: (a) Both usage for learning and information are statically significant variability in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Both of the changing trajectories have increased. (b) Girls have a higher rate of the change both in the usage of learning and information than boys over time. (c)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vidual variability in initial levels and rate of change in the usage of the game over time. (d) Boys have a higher rate of initial value than girls in the usage of gam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ing trajectories.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장에 따른 미디어 교육 활용 특성 종단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특성을 학습이용, 정보이용, 그리고 게임이용으로 구분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이용, 정보이용, 게임이용의 종단적 변화를탐색하였다. 이후 3가지 미디어 교육적 활용 특성의 종단적 변화에서 성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등2 패널을 활용하여 4년간 반복 추적 조사한 3,49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 학년이 증감함으로써 미디어의 학습이용과 정보이용의 변화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 여학생의 미디어학습이용과 정보이용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 학년이 증가함으로써 미디어의 게임이용은 변화율이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 (d) 미디어 게임이용에서는 초기치에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에는 유의한 차이가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분석

        허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inment valu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rame work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rst and third longitudinal panel data set(1st wave: 2,351, 3rd wave: 2,259) from KCYPS(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beginning at 2010 of middle school grade 1st panel by the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a) Attainment valu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elf-control, self-esteem, and achievement. (b) Bo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c)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were existed significantly between attainment value and achievement. The effect size of self-control was bigger than that of self-esteem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및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패널의 1차 및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중학생들의 성취가치는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업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중학생들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에서 다중 매개적 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크기는 자기통제력이 자아존중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연기흉에서 흉강경 검사와 HRCT를 이용한 폐기포의 Mapping 및 수술적 적응

        허균,이석열,박형주,이철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2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8 No.1

        Spontaneous pneumothorax develops frequently in young, slender men and can be life threatening in a severe case. Treatment modalities consist of conservative treatment, thoracentesis and closed thoracostomy. However, for the radical treatment, bullectomy through open thoracotomy is necessary. Recently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bullectomy has become popular as a principal surgical treatment modality.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bullectomy has advantages over open thoracotomy in many aspects but the recurrence rate is higher than open thoracotomy because blebs can be missed in operation due to a limited operative view. Therefore, accurate diagnosis of bullae using appropriate diagnostic modalities is important before operation. To present, only chest radiography and computerized tomography have been used routinely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degree of bulla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efficacy of diagnostic modalities on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thoracoscopic examination and HRCT with the final operative findings of subsequent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bullectomy. A total of 35 patients with more than 50% pneumothorax who received thoracoscopic examination prior to closed thoracostomy and chest HRCT upon full expansion of the lung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bullae in each modality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se data,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bullectomy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final results were analyzed. Comparisons of the pre and post-operative findings lead to conclusion that chest HRCT was more effective than thoracoscopic examination on preoperative detection of preoperative detection of bulla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연구

        허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 among adolescents. The 5-year longitudinal data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as collected from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The 1st, 3rd, and 5th wave annual data were used for this analysi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results concluded (a) self-esteem continued from middle school 2nd grade to high school 3rd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b) The career barrier continued this period in significant stability. (c) Previous self-esteem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ater career barrier, but (d) the previous career barri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self-esteem. 진로 탐색과 교육을 위한 중요한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동일시점의 변인을 다루고 있어 인과 관계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이론적으로나 통계적으로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 패널 자료 중 1차, 3차, 5차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a)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b) 진로장벽은 이후 시점의 진로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c)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교차 지연된 진로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d) 진로장벽은 이후 시점의 교차 지연된 자아효능감은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요추 디스크 수술 후 심내막염을 동반한 장골 동정맥루의 혈관내 치료 경험

        허균 순천향의학연구소;Soonchunhyang Medical Research Institute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Iliac artery and vein fistula is rare after lumbar disk surgery and usually, open repair through the arterial lumen was performed. We report a case of 41-year-old man whose diagnosis was infective endocarditis with arteriovenous fistula connecting the left common iliac artery and vein. He was performed lumbar diskectomy before 19 years. After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mitral valve replacement, this arteriovenous fistula was repaired with insertion of endovascular stent in the left common iliac artery and external iliac artery, and coil embolization of the left internal iliac artery. We follow up him for 1 year after the procedure and he have no complications.

      • 신경과학과 신학

        허균 강남대학교 2001 우원사상 논총 Vol.10 No.-

        지금 바로 이 순간 우리의 머리 속에 묵묵히 살아있는 뇌라고 하는 객관적이고 실재적인 생체조직을 연구하는 신경과학과, 하나님, 무한, 초월 같은 고도로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는 신학이 도대체 어떠한 관계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시발점과 목표가 다르며, 연구대상과 방법론이 전혀 다른 이 두 학문들은 아마도 '인간'이라는 주제의 교차로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는 것 같다. 이 글은 먼저 현대신경과학을 개괄적으로 요약하고, 신경과학의 인간이해를 신학적관점과 비교 검토하여, 이 두 학문 사이의 건설적인 만남과 대화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