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행체 탑재 빔 조향 안테나

        함형석,문상만,우종명 충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20 No.1

        This paper presents the Beam steering antenna on aircraft. An proposed and advanced printed type monopole antenna which overcomes drawbacks of conventional monopole antennas. On the front part, it has parasitic elements as a reflector to increase directivity gain in one direction. The Beam Steering antenna proposed in this paper has pin diode attached between two parasitic elements and ground, enabling control of beam directivity by the diode switch. The proposed antenna on aircraf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 directivity antenna with the gain of 1.5dBd and F.B. ratio 8.8dB, which leads us to conclude that the antenna has advantages in improving the gain and F.B. ratio.

      • KCI등재
      • KCI등재

        성언량의 비량귀속 담론 발전 양상 연구 - 『땃뜨와상그라하』(Tattvasaṃgraha) 1488-1524를 통한 고찰

        함형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This paper examines one section of the Tattvasaṃgraha where Śāntarakṣita reaffirms Dignāga’s thesis that linguistic means of gaining information (śābda-pramāṇa) is to be considered as a sub-category of inference (anumāna). In the Śābdavicāra section, by drawing upon Śabara, Kumārila and Dignāga’s relevant texts, Śāntarakṣita tries to prove the infallibility of the Dignāga’s original position. However, in so doing, Śāntarakṣita resorts to a couple of tactics to manipulate those texts to accomplish his goal: Śāntarakṣita 1. replaces key terms in the opponent’s text as he cites it (Śabara), 2. changes the apparent meaning of the text by reinterpreting a loose term and ignoring (or not quoting) the specific portion of the author’s own commentary (Dignāga), and 3. does not answer legitimate counterargument immediately until he fixes/reinterprets the Dignāga’s text to meet the opponent’s standards (Kumārila). In this process of textual manipulation, Śāntarakṣita succeeds in presenting the Dharmakīrti’s position (that the meaning of words is confined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s the long-held traditional stance of the Buddhist epistemological school on the matter. The paper concludes with an appreciation of the fact that, by subsuming “śābda” under “anumāna” and by confining the meaning of a linguistic expression to the intention of speaker (vivakṣā), the Buddhists came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Buddha’s words not by inspecting the validity of words themselves but by showing the special qualities of the Buddha that indicates the truthfulness of speaker. 본 논문에서는 샨따락쉬따(Śāntarakṣita)의 주저 가운데 하나인 『땃뜨와상그라하』(Tattvasaṃgraha)의 「성언량 탐색」(Śābdavicāra)절의 내용을 통해 후대의 인도불교도들이 성언량을 독립된 지식의 원천으로 간주하지 않고 비량의 일종이라고 여기는 진나(Dignāga)의 입장을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켜나가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샤바라(Śabara)와 꾸마릴라(Kumārila) 등의 미맘사학파의 진나 비판을 반박하고 진나의 초기 입장을 변호하는 과정 속에서 샨따락쉬따가 관련 텍스트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분석하여 성언량의 비량 귀속이라는 담론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논쟁 속에서 도출된 불교도의 입장이 어떻게 붓다의 언설을 입증하는 방식을 제한하는지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성언량을 독립된 지식획득의 수단으로 여기지 않는 불교도들에게 해당 담론이 갖는 의의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 Inclusivism: the Enduring Vedic Vision in the Ever-Renewing Cosmos

        함형석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3 불교학 리뷰 Vol.13 No.-

        This paper seeks to define a unifying vision of Hinduism from within the tradition and claims that this vision is inclusivistic. By reviewing scholarly discussions on inclusivism, the singularity/plurality of Hinduism, and the timelessness feature of Sanskrit literature, the paper analyzes how truth claims were made in ancient India and identifies a possible provenance of inclusivism in the role of Brahmins who regularly emulated the Creator god Prajāpati.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Vedic ritualistic culture on the perception of truth and otherness, the “real extension of the Veda,” despite its seeming neglect in the tradition, should be appreciated for providing Indian intellectuals with a paradigmatic framework of knowledge throughout history. 본 논문은 힌두교가 과연 하나의 종교로서 성립가능한가에 대한 학계의 논쟁을 검토하고 힌두교를 하나로 묶는 기준으로 포괄주의(inclusivism)적인 사고방식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폴 해커(Paul Hacker)에 의해 인도 사상의특징적인 경향으로 지목된 포괄주의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서 그것이 단순히 단편적인 현상들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피상적인 요소가 아니라 베다의 우주 창조 신화와 브라만들의 제식에서 기원한 인도 사유를 규정하는 틀거리임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포괄주의적 틀 속에서 인도의 지식 체계가 발전하였음을관련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보임으로서 인도에서 진리가 천명되고 재확인되는과정과 서로 다른 종교 간의 이해 방식을 연구함에 있어 베다의 세계관의 확장인 포괄주의적 태도에 대한 분석이 핵심적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변의 베다 비판과 미맘사학파에 대항한 불교-상캬 연합

        함형석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6 불교학 리뷰 Vol.19 No.-

        본고는 인도의 불교도들이 그들의 오랜 논적 중 하나인 상캬학파와 베다제식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공유하고 있었음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변(Bhāiveka, 500-570 CE)의 <중관심론> 제9 미맘사장에 보이는 베다의 악인저작설과 그에 대한 따르까즈왈라의 주석을 분석하여 그것이 이전의 불교전통에서는 보이지 않는 상캬학파의 베다제식 비판 방식을 차용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청변 이전에도 제바의 <백론> 그리고 바수의 그에 대한 주석에도 상캬학파와의 제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꾸마릴라의 불교와 상캬학파에 대한 인식을 인용하여 베다제식을 옹호하는 이들에게도 불교도와 상캬학파가 베다제식을 비판한다는 이유에서 동일하게 취급받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Buddhists formed an alliance with the Sāṃkhyas when they criticized the practice of Vedic sacrifice. Inspired by the article on Bhāviveka in Xuanzang’s travelogue which reports that Bhāviveka wore the Sāṃkhya garment in the presence of non-Buddhist outsider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analyzes Bhāviveka’s critique of the Veda, particularly the contents of the Madhyamakahṛdayakārikā 9.31, as well as the Tarkajvālā commentary on that verse. In his critique, Bhāviveka lists quotations from the Veda in order to prove its evil authorship. It is evident that many of his quotations correspond with quotations that the Sāṃkhya commentators provided in the second verse of the Sāṃkhyakārikā, which makes an argument for the impurity of Vedic sacrifice. To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Bhāviveka made an alliance with the Sāṃkhyas,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similar precedent case, in which Āryadeva and Vasu ally with the Sāṃkhyas in their critique of Aśvamedha. In addition, Kumārila’s equation of the Sāṃkhyas and Buddhists with each other for rejecting the sacrificial orthopraxy is noted to show that this alliance made across the āstika-nāstika divide had also been observed by their opponents, Vedic Brahmins.

      • KCI등재

        불교와 미맘사 사이에 끼인 상캬의 정체성 - Sāṃkhya-kārikā 제1~2송에 대한 Yuktidīpikā 주석에 등장하는 불교도․미맘사학파와의 논쟁 분석 -

        함형석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7

        The The Yuktīdīpikā is the “most significant commentary” on the Sāṃkhyakārikā which ushered in the classical period of the Sāṃkhya system. The author of the Yuktidīpikā, as he comments on the first two verses of the Sāṃkhyakārikā, introduces two critiques of the Sāṃkhyas by Buddhists and the Mīmāṃsakas, respectively. This paper analyses the stance that the author of the Yuktidīpikā takes between Buddhists and the Mīmāṃsakas. In those two debates, although the author of the Yuktid-īpikā puts forward counter-arguments against the critiques on the surface, interestingly, he acknowledges and accepts the contents of them. In so doing, he presents two forced interpretations of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verse of the Sāṃk-hyakārikā to meet the need of confronting his two opponents. The stance that the author of the Yuktidīpikā takes shows his intention to embrace the trans-mundane characteristic of Buddhists and the social legitimacy governed by the Vedic values and advocated by the Mīmāṃsakas. The two debates introduced in the beginning of the Yuktidīpikā concretely reveal the unique identity of the Sāṃkhyas as the “brahmins critical to Vedic sacrifices.” 『육띠디삐까』(Yuktidīpikā)는 상캬학파의 고전적인 저작인 『상캬까리까』(Sāṃkhyakārikā)에 대한 가장 중요한 주석서이다. 『육띠디삐까』의 저자는 『상캬까리까』 1-2송을 주석하며 이와 관련된 불교도 및 미맘사학파와의 논쟁을 소개하고 있다. 본고는 이 논쟁과 관련하여 『육띠디삐까』의 저자가 불교와 미맘사 사이에서 취하고 있는 태도를 분석하였다. 이 논쟁 속에서 『육띠디삐까』의 저자는 불교도와 미맘사학파의 비판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반론을 펼치고 있지만 흥미롭게도 내용적으로는 그것을 수용하고 있다. 이는 그가 논적들 각각에 대항하며 『상캬까리까』 제 2송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감행하는 것에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육띠디삐까』의 저자의 태도는 불교의 출세간적인 성격과 미맘사학파가 내세우는 인도 사회 속에서의 정통성 양자를 모두 상캬학파의 것으로 수용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육띠디삐까』 서두에 소개된 이 두 논쟁은 이른바 ‘베다 제식에 비판적인 바라문들’로 규정되는 상캬학파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