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잔대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함영안(Young-An Ham),최현진(Hyun-Jin Choi),정미자(Mi-Ja Chung),승시(Seung-Shi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3

        잔대 뿌리의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각각 3.4±0.3, 9.4±0.1, 1.6±0.1, 3.7±0.2와 81.9±0.5%이었다. 무기질 중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3.5±9.1 ㎎/g이었고, 지방산에서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다. 잔대 뿌리에 함유된 비타민 E와 C는 각각 1.1±0.1과 5.2±0.5 ㎎/100 g이었다. 잔대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50값이 265.4, 117.1, 103.7, 104.4, 108.9, 484.1 ㎍로 나타났다. The levels of mineral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sugar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Adenophora triphylla (AT) root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AT root were 3.4±0.3, 9.4±0.1, 1.6±0.1, 3.7±0.2, and 81.9±0.5, respectively. Among the minerals present in root, potassium content was the highest.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103.5±9.1 ㎎/g.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in AT root. The vitamin E and C levels in AT root were 1.1±0.1 and 5.2±0.5 ㎎/100 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the AT root has been determined by the scavenging of the stable radical DPPH;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loroform fraction was the most active, as the amount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fter 30 min (RC50) was 103.7 ㎍, followed by 70% ethanol extract (265.4 ㎍), hexane fraction (104.4 ㎍), ethyl acetate fraction (104.4 ㎍), butanol fraction (108.9 ㎍) and aqueous fraction (484.1 ㎍).

      • KCI등재

        잔대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함영안(Young-An Ham),최현진(Hyun-Jin Choi),김수현(Soo-Hyun Kim),정미자(Mi-Ja Chung),승시(Seung-Shi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잔대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잔대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SRB assay와 종양 억제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Ames test결과,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S. Typhimurium TA98를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하였을 때 66.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TA100에서 MNNG와 4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했을 때는 83.3%와 75.1%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잔대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3B),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위암세포(AGS), 인간 폐암세포(A549)와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L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79.9%(HeLa), 74.9%(Hep3B), 66.0%(MCF-7), 71.0%(AGS)와 74.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에서는 3~36%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잔대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최고농도 50 ㎎/㎏에서 37.2%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모든 처리군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utagenic,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AT). AT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mutagenic, cytotoxicity and antitumor effects of AT extracts were measured by using Ames test, SRB method, and the tumor growth inhibition test. AT extracts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in the Ames test; however, 70% ethanol extracts and its fractions had strong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mutation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nd 4-nitroquinoline-1-oxide (4NQO).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T (200 ㎍/plate) showed approximately 66.5% inhibit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gainst TA98 strain, whereas 83.3% and 75.1% inhibitions were observed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MNNG and 4NQO against TA100 strain. In anticancer effects, the cytotoxicity of AT extract and its fractions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cervical adenocarcinoma (HeLa),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CF-7), human gastric carcinoma (AGS), human lung carcinoma (A549) and transformed primary human embryo kidney (293) wer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1 ㎎/mL AT ethyl acetate faction had the highest cytotoxicity of 79.9%, 74.9%, 66.0%, 71.0% and 74.3% against HeLa, Hep3B, MCF-7, AGS and A549 cells,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showed only 3~36% cytotoxicity for a normal human kidney cell line (293). In vivo anti-cancer effect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 was tested using Balb/c mice transplanted sarcoma-180 cells. Adenophora triphylla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f 37.2% at the 50 ㎎/㎏ concentration.

      • KCI등재

        홍경천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쥐에 미치는 영향

        최형택,최승필,김수현,함영안,이득식,승시,Choi Hyung-Taek,Cui Cheng-Bi,Kim Soo-Hyun,Ham Young-An,Lee Deuk-Sik,Ham Seung-Shi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2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Rhodiola sachalinensis root ethanol extract (RS), on the body weight, organ weight, plasma glucose and plasma lipid in diabetic rats caused by streptozotocin (STZ). The body weight decreased more slowly in the RS group than in the diabetic, and the food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diabetic groups. The food efficiency was very low in all diabetic groups,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S groups than diabetic control (p<0.05). In comparing the weight of organ, the weight of liver and kidney were increased in all diabetic groups than in the control, and decreased slightly in RS groups. The weight of heart and spleen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est groups. The glucose in serum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S groups fed the RS for 4 weeks,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p<0.05).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atherogenic index (AI) in se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control, compared to the normal (p<0.05), and decreased $16.7\%,\;18.3\%\;and\;45.0\%$, respectively, in the RS fed $300\;\cal{mg/kg}$ of RS.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slightly more in the $RS-300\;\cal{mg/kg}$, compared to diabetic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S treatment has protective effect in diabetes.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 및 혈청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로 간 독성유발한 실험쥐에게 경구투여한 후 정상식이군, 양성대조군, 에탄올 투여군,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200 mg/kg BW) 및 고농도(400 mg/kg BW) 투여군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청과 간 조직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간 기능의 주요 지표인 AST, ALT 및 GGT 효소 활성측정 결과 정상식이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군에서 각 효소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DH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군 간 유의성은 없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의 경우 ALT 및 GGT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AST 및 LDH 활성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 및 과산화지질 함량을 알아보고자 SOD 활성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SOD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을 단독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MDA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 염색결과 알코올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미세공포와 풍선모양세포변성이 중심정맥 주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인진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정상군와 유사한 정상 간 조직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rat의 간 기능개선 및 혈청의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A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In this experiment,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ethanol+UDCA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200 mg/kg of BW) and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γ)-glutamyl transferas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ethanol-treated group (P<0.05). The triglyceride level of the ethanol-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0.05). On the other hand, the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Also, malondialdehyd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group (P<0.05). Histologically,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mild degenerative change around central venule. The AA treated group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in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treated group (H&E, ×20).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 may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hepatic damage by ethanol.

      • KCI등재

        메밀 국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유광하(Kwang Ha Yoo),김수현(Soo Hyun Kim),함영안(Young An Ham),유수정(Soo Jung Yoo),오현택(Hyun Taek Oh),승시(Seung Shi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ech noodles (FEMN) extracts using Ames test and cytotoxicity, respectively. FEMN made buckwheat wet noodles (BWN), buckwheat extruded noodles (BEN) and buckwheat dehydrated noodles (BDN) by 60% buckwheat flour and 70% buckwheat flour. The inhibitory effects of FEMN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in A549, Hep3B, MCF?7, AGS and HeLa were investigated by SRB assay. The cytotoxic effects of FEMN against the cell lines with human lung carcinoma (A549), human gastric carcinoma (AGS),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human cervical adenocarcinoma (HeLa) and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CF?7) were inhibited with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treatment of 1.0 mg/mL FEMN of 60% BEN extracts showed strong cytotoxicities of 74.7%, 75.3% and 70.5% against AGS, A549 and HeLa, respectively. The inhibition rate of 70% BWN of FEMN extracts in the S. Typhimurium TA100 strain showed 41% against the mutagenesis induced by MNNG. The inhibition rate of 70% BEN of FEMN extracts in the S. Typhimurium TA98 strain showed 45% against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드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곰취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에탄올 동물모델에서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의 경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청 중 GGT(γ-glutamyl 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100, 200, 400 mg/kg BW) 및 발효물(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GG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곰취 열수 추출물(200, 400 mg/kg BW) 및 발효물(100, 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LT 및 LDH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곰취 열수 추출물(400 mg/kg BW) 및 발효물(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물 투여군(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을 투여한 모든 농도에서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간문맥에 염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방증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취 열수추출 발효물의 투여가 혈청 GGT, AST, ALT 및 LDH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 조직 내 SOD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Ethanol-treated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eight groups: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 and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ethanol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F-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treated (200 and 400 mg/kg BW)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al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all group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as enhanced in the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P<0.05).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in liver tissues decreased in the ethanol+LAF-treated groups (P<0.05). All treated groups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LAF may improve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by ethanol.

      • KCI등재

        D-Galactosamine 투여 랫트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산채류 중 널리 섭취되고 있는 곰취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고자 DGalN 동물모델을 통해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간 무게는 곰취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청 중 GGT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과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발효물 투여군의 경우 GGT, AST, ALT 및 LDH의 효소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40% 이상 감소하였다(P<0.05).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DL-콜레스테롤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비율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동맥경화지수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발효물의 경우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간 조직 내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DA 함량은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MDA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 병리학적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사멸사 지수, 문맥엽 염증 지수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기능 효소의 활성 억제, 혈청지질 대사 개선, 간 조직 내 SOD 활성증가 및 과산화지질을 감소시켜 D-GalN으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D-galactosamine (D-GalN) in rats. In this experimen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which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normal group, D-GalN-treated group (control), D-GalN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and D-GalN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serum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atherogenic index val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and thei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by total cholesterol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whereas their malondialdehy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revealed apoptotic cells and mild portal inflammation in liver tiss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AF may improv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