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족에 대한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유사현실 인식 연구 −<청년경찰>(2017)을 중심으로

        한희정,조인숙,신정아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ovie Midnight Runners(2017) o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ovie, two friends, students at Korea’s National Police University, investigate a trafficking organization and enter the Daelim-dong where they encounter criminals, who are all described as Chosun-jok. Although the movie has received criticism for maligning Chosun-jok (Chinese compatriots staying in Korea) and perpetuating negative images of this population, empirical research into the impact of the movie’s representation of Chosun-jok has been limited. We therefore investigated how the cognitional, affective, and behavioral para-social interaction, and pseudo-reality recognition that Midnight Runners constructs for viewers affected their perceptions of Chosun-jok (Korean Chinese) in reality. We also applied cultivation theory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ticipants’ exposure to this Chosun-jok-related conten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hosun-jok and their attitudes toward Chosun-jok. Our analysis of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6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howed that behavioral para-social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f pseudo-reality affected viewers’ perceptions of increased or decreased crime rates related to Chosun-jok, and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affected perceptions of the need for policies supporting the Chosun-jok. In addition, we found that increased exposure to Chosun-jok-related content increased viewers’ negative perceptions of Chosun-jok.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ven a single movie can strengthen existing prejudices and stereotypes of Chosun-jok. 본 논문은 ‘15세 관람가’ 영화 <청년경찰>(2017)이 고등학생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청년경찰>을 통해 형성된 시청자의 인지·정서·행위적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유사현실 인식이 조선족에 대한 현실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문화계발이론을 적용하여 조선족 관련 콘텐츠 노출량과 조선족과의 대인관계 경험,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청년경찰>을 본 고등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행위적 상호작용이 조선족 관련 범죄의 증감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화를 본 후 주변사람들과 관련 대화를 나누는 등의 숙고적 활동을 통해 영화에서의 부정적 인식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영화 속에서 보여주는 세계와 현실세계가 유사하다고 인식할수록 조선족 관련 범죄가 증가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조선족 관련 콘텐츠에 많이 노출될수록 조선족 관련 범죄가 증가하고 날로 심각해진다고 인식하는 등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졌다. 이러한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조선족을 위한 정책 지원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희정,서현아,오소라,하지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통번역프로그램을 활용한 판매중국어 교육방안 탐색

        한희정,정유선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Due to the interest in and necessity of Chinese education, the demand for Chinese learners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first Chinese immersion school where two languages in English and Chinese are used will be established this year. This shows that the world is aware of the need for learning Chinese.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Chinese will be adopted as a global business language. As for existing Chinese learning, school-record-centered evaluation for college admission education has been progressed as grade-centered learning. As a result, there has always been a lot of controversy due to educational problems because it takes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In the future, futur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should be focused on process-oriented learning of learners rather than result- based learning, and education reflecting the collaborative network should be provided. This educational foundation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ill make our life convenient and enriched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education field is changing rapidly. As various media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ubiquitous-based environmen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particular provide information of the real world through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supporting multi-sensory elements along with virtual reality. The smartphones the learners can directly manipulate are being used as a new educational medium for them to experience directly.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extend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s moun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emerging. While text-based translation technology was possible to support in the past, more convenient and faster translation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voice support,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nslation,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now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technology. It was announced that ‘GenieTalk,’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 will be presen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next year. The translation service for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people and foreigners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flow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s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ranslation programs, there are Google’s ‘Word Lens’, Naver’s ‘Papago’, Systran, Flitto, and ‘Hancom Malang GenieTalk’ co-developed by Hangul and Computers and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As for the case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nglish and Chinese bilingual learning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urrently has been developed in Hong Kong. In domestic research, there is a case stud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Chinese education, targeting bilingual users of Chines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by orienting a new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new paradigm shift of educational paradig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aching-learning plans for Chinese educational field of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dvanced in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Chines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현재 판매업계 분야 현장인 백화점과 면세점에서도 외국인 고객의 편안한 쇼핑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우선 인공지능 통역 기술은 쇼핑 로봇을 사용하여 사용자 고객의 음성을 통해 정보를 얻고, 기본적인 대화를 나누고, 쇼핑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번역 기술은 스마트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쇼핑하는 외국인과 대화를 하고 쇼핑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현장에서 외국인과의 대화에 필요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번역된 번역텍스트의 결과물을 보여 주고 받으면서 의사소통을 한다는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통번역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향후 중국어 교육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현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어 교육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 사례가 많지 않아 중국어 교육 관련한 새로운 교수법과 강사 양성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성이 가장 두드러지는 판매중국어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기술문서 정의문 패턴을 이용한 전문용어사전 자동추출 및 활용방안

        한희정,김태영,두효철,오효정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4

        Technical documents are important research outputs generated b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properly use the technical documen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ummariz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In this paper, to extract core information, we automatically extracted the terminologies and their definition based on definitional sentences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technical documents.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system to build a speci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And further we suggested the personalized services so that users can utilize the terminology dictionary in various ways as an knowledge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users to find up-to-date information faster and easier. In addition, providing a person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to users can maximize the value, usability, and retrieval efficiency of the dictionary. 기술문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생성되는 중요 연구 성과물로,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 요약 및 정보추출과 같은 개선된 정보 처리 방법을 토대로 기술문서 활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문서의 핵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술문서의 구조와 정의문 패턴을 기반으로 전문용어 및 정의문을 자동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전문용어사전을 지식메모리로서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사전에 기반한 개인화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전문용어 및 정의문 자동추출을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게 되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용어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최신정보를 보다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더불어 개인화된 전문용어사전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전문용어사전의 가치와 활용성,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다음사이트 ‘아고라’ 담론을 중심으로

        한희정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3 No.3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mmigrants to Korea since the late 1980s’ has signified the proliferation of globalization and global capitalism. In Korea, most married immigrants are women, as the culture emphasizes patrilineage and the stability of the institution of marriage, particularly in rural areas. Immigrant women have experienced dual ordeals. The Aogra Internet community in Korea has been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ites that has shown the power of communities in cyberspace since 2002, l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issues and deliberative democracy both online and offline. This paper analyzed Koreans’ writings (such as long comments) on immigrant women in the Agora community.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mmigrant women were referred to using terms related to prostitution, with excessive expression of disgust, which is called a “narrative of identity.” Second, anti-multiculturalists called Korean men victim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expressed hatred toward immigrant women, which is called a “narrative of sacrifice.” Third, anti-multiculturalists justified their emotions as just resentment based on ideas of justice, equality, and patriotism, concealing the emotion of disgust, which is called the “narrative of justice, equality.” Fourth, antimulticulturalists played roles to spread the emotion of disgust, by repeatedly referring to international marriage fraud and immigrant workers’ crimes, which is called “narrative of crime.” Fifth, some positive writings on immigrant women were based on empathy(a concept defined in this context by Martha Nussbaum), but they can be analyzed as narratives encouraging cultural integr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orientalism. Therefore, comments on immigrant women in the Agora represent a “catch-22” dilemma. To deal with conflicts arising from disgust a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civic education focusing on humanism is needed in this multicultural era. 본 논문은 이주여성에 관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게시물과 댓글의 내러티브에 담긴 감정의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에 관한 활발한 토론 공간인 ‘다음’(Daum)의 ‘아고라’를 선정했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게시물 작성자들이 보여준 감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여성을 매춘과 연관시키면서 과도한 혐오감을 드러냈다. 둘째, 한국 남성을 희생자로 파악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증오감을 드러냈다. 셋째, 다문화주의에 반대하는 이들은 혐오감정을 감추고, 정의, 평등, 국가주의를 근거로 한 분노감정의 표현이 정당하다는 전략을 사용했다. 넷째, 반다문화주의자들은 국제결혼 사기사건, 외국인 노동자 범죄보도 등의 사례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혐오 감정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 다섯째, 매우 드물지만 이주여성이 만든 음식을 소개하는 사진과 글이 비교적 온정의 감정을 담았지만, 관음주의적 접근이라는 한계를 지녔기에 공감과 동감, 연민의 감정으로 발전되지 못했다. 한편, 이주여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게시물 작성자의 심리적 배경에는 자기혐오가 자리 잡고 있고, 이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아고라 공간에서 2011년 이후 이주여성 관련 글 대부분은 혐오 담론에 해당한다. 요컨대 결혼, 노동, 피난 등으로 인해 주거지의 국제적 이동 현상이 증가하는 디아스포라 시대에 혐오 감정에 따른 갈등과 인권 침해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보편적 인간애로서 휴머니즘 위주의 시민 교육을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한희정,김용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4

        With the advent of uniquitous life, changes of users’ demands make a public library accomplish roles and functions of a complex service center providing information, education and culture service. As a multi-function center, a public library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physical and digital space in ubiquitous environment. Information commons is a basement of physical space in an u-Librar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 and use of physical space will be a critical issue for a public library to perform its role and function as a multiple complicated space. This study derives facilities and component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commons in a public library as a physical space. To perform the goal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est trends and requirements through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components of facility and principles of design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ons as a physical space in a public library.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패션에 나타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디자인 사례연구

        한희정,조배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amples of textile recycling in which the textile production system in the fashion market will play a key role in moving away from the linear structure so far to the circular structure. Most of all, it means that it will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designs suitable for the times by analyzing fashion products that recycle plastic waste that greatly affect environmental pollution. To this end, we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circular economy that would manufacture all products in a way that could be dismantled and then redirect them back to production so that they could be reconstructed into resources and reused industrially. Next, in order to study the case of fiber recycled waste plastic as a fashion product, the process of fiberization of plastic waste was studied, and cases of various companies and designer brands utilizing these fib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novative changes in clothing materials are taking place to overcom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Virgin plastic and to meet consumers' propensity for value consumption. Second, it is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that helps maintain and source sustainable processes from the production system in order to break away from pollution arising from existing plastic production. Third, it is not only about using recycled materials for sustainable design, but also expanding its scope to creative and individual designs tailored to consumption values and design. Finally, it is the efforts of companies and consumers to extend the life cycle of product use for a 100% complete Circular Economy. This requires changes in consumer aware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by companie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xploring ways to develop various sustainable recycling products in the textile fashion market in the future, leading to various design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시장의 섬유 생산 시스템이 지금까지의 선형적 구조에서 벗어나 순환형 구조로 나아감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섬유 재활용의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환경오염에큰 영향을 미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패션 제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에 들어맞는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든 제품을 분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조하고 이를 생산으로 다시 돌려 자원으로 재구성되고 산업적으로 다시 활용될 수 있도록하는 순환 경제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섬유의 사례를 패션 제품으로 연구하기 위해 플라스틱 폐기물의 섬유화 과정을 연구하고, 이러한 섬유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업과 디자이너 브랜드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버진 플라스틱의 사용이 주는 환경오염과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소비자들의 가치 소비 성향에맞춰 의류 재료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두 번째, 기존의 플라스틱을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오염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싱 업체의 환경 문제를 도와 생산 시스템에서부터 지속가능한 프로세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협력 시스템의 구축이다. 세 번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해 단순히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소비 가치와 디자인성에 맞는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디자인으로의 영역 확장이다. 마지막으로 100% 완전한 순환 경제 시스템을 위한 제품 사용 수명주기의 연장에대한 업체들과 소비자의 노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인식 변화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섬유 패션 시장의 다양한 지속가능한 재활용 제품 개발을 위한 방법을 찾기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다양한 디자인 연구로 이어지는 초석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놀이기법 스피치 수업의 의미

        한희정,이의용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보 Vol.21 No.-

        본 연구는 놀이기법 스피치 수업 경험을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삶에서 놀이기법 스 피치 수업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피치 교육 효과 분석과는 다르게 수업현장, 심층인터뷰, 심층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텍스트로 삼아, 연구 참여자 학생들의 삶, 수업경험, 수업으로 달라진 자신의 모습, 수업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들은 대학 이전에 스피치 전문 교육을 받은 적이 전혀 없었으며 가부장적 가정환경이나 학창시절 입시 실패, 스피치 관련 부정적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잃은 경험이 있으며 길거리스피치, 칭찬샤워, 암흑산책 등의 스피치놀이를 통해 자신감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체로 놀이기법 스피치 수업으로 자신감과 긍정적 에너지를 얻고 스피치란 스킬이 아닌 삶의 태도 자체라고 인정하고 놀이기법 수업을 통해 변화, 깨달음, 치유의 경험을 했다. 일부 참여자들은 추후 기술적인 측면이나 연습을 통해 스피치를 더욱 연마하고자 했다. 이 점은 스피치 능력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취업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자기계발적 주체가 되고 싶어 하는 욕구가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스피치교육은 자신감 회복과 더불어 보다 본질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r the impact of a semester-long course that used speech games as a technique on the daily lives of eight students. While other studies have explor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peech courses,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such as daily records of study site and materials from in-depth interview or in-depth survey using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Through these methods, the significance of the course for the students,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speech games, and the impact of the course on their lives were examined. The students had received no professional education on public speaking 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reover, they tended to lose confidence when speaking in public, because they came from patriarchal households, or had negative experiences during public speaking in school. The students stated that they regained their confidence by participating in speech games such as speeches on the campus called “Street Speeches”, getting compliments called “Compliments Shower”, or walking with a blindfold on, etc. Further, the students who were interviewed felt that they had regained confidence and positive energy and realized that speeches is not a skill related speaking, but the attitude itself toward life. Nevertheless, some of the students wished to learn about the more technical aspects of speaking and to get more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their speaking skills. This response is believed to reflect the students’ needs to gain social recognition and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ir career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peech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 on the essential factors of communication to restore students’ confidence as part of the process of continuous adjustment.

      • KCI등재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한희정,조영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4

        This study, which is methodologically autobiographical, is based on a path of life that a elementary schoolteacher has walked through for her 20 years of teaching career. In that, this study delves into how meritbased pay policy first introduced in 1995, more than two decades ago, has the influence on her identity formation as a schoolteacher. Using the autobiographical method, two different ‘Is’ come on this study: I as a schoolteacher who has long tried to fight back against injustice and compulsion of meritbased pay policy and another I as an educational researcher. How has I as a schoolteacher been responding to the policy and what has I been thinking and then acting to resist against the policy for 20 years? To answer the questions, I as a researcher strolls down the memory lane of I as a schoolteacher with the spiral of questioningfindingmeetingrequestioning, which is a variation of the currere.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20 years of my teaching career and the meritbased pay policy can be described with four distinct time periods, and my thoughts and acts have also changed accordingly: 1) IntroductionRejectionCynicism(19992005): “I am a grade C teacher”: 2) DevelopmentResistanceSearch for Alternatives(20062010): “Give me a grade C”: 3) CoercionComplianceTrying Alternatives(20112017): “Our school performance is due to everyone”: 4) FlexibleLetupRetreat(20182019) : “I do not want a grade S”. The findings led this study to conclude that although I as a schoolteacher has been resisting against the policy for 20 years, this autobiographical method comes to realize that my thoughts, words and acts in those days have been also a power within a group of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 교육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된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대하여 반대하고 저항하였던 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의 변화과정을 지난 20년의 교직생애를 통하여 들여다보고, 이를 자서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주저자인 연구자는 연구자로서의 나와 실천적 교사로서의 나라는 두 개의 나로 분화하여 1999년부터 2019년까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역사와 맞물렸던 지난 20년간의 교직생애를 쿠레레를 변주한 「묻다찾다만나다다시 묻다」의 자서전적 방법의 여정으로 탐색한다. 이 연구의 탐색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교원성과상여금을 둘러싼 제도화과정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대응과 나 자신의 대응 추이를 ①도입거부냉소기(1999년~2005년), ②전개저항대안탐색기(2006년~2010년), ③강압순응대안실현기(2011년~2017년), ④유연화소강휴지기(2018년~2019년)로 구획 짓고, 각 구획을 ‘나는 C등급 짜리 교사입니다’; ‘차라리 저에게 C등급을 주세요’; ‘우리 학교의 성과상여금은 모두의 노력이라고’; ‘나는 S등급이고 싶지 않다’는 상징적 언표로 포착한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로서의 오늘의 나’는 자서전적 방법의 접근을 통해 교원성과상여금이 학교현장에서 제도화되는 역사의 과정을 들여다보며 순간순간의 학술적 의미를 탐색하고, ‘실천적 교사로서의 오늘까지의 나’는 지난 20여 년간 기록된 나의 생각과 신념을 대변하였던 말과 실천적 행동들이 저항이자 동시에 권력이었음을 깨닫는다. 결론에서 연구자는 교원성과상여금제도를 통해 드러난 저항과 권력이 동전의 양면과 같을 수 있다는 점을 반성적으로 성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