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널리스트의 성폭력 경험과 무보도 현상: 광주전남기자협회 회원 대상 성폭력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희정,정의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1

        In response to Korea’s “MeToo Movement” in 2018, the Gwangju-Jeonnam Journalists Association conducted a survey on sexual violence in June 2018, including 332 reporters from the Association. In the survey, 85% of female respondents and 50% of mal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had been exposed to sexual violence. However,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on journalists’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in Korea were not reported in any media beyond a paper by the Gwangju-Jeonnam Journalists Association. Eight reporters were interviewed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s to explore this phenomenon. We found no general gatekeeping process—including internal and/or external pressures or self-censorship—underlying the non-reporting of the sexual violence survey resul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of the male-domina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xplained more specifically as “learned helplessness”, “frame of ‘sexual problems= shame’”, “internalization of masculine hierarchical culture”, and “covering up phenomena to avoid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of masculine organizational culture are slowly internalized by reporters as part of the process of learning the virtues of and conditions for being a reporter. Seemingly, this eventually develops into a tendency to naturalize organizations’ gender discrimination, which then strengthens the male-dominated organizational culture by faithfully fulfilling its role as a bystander even in cases where it is not an active perpetrator. 2018년은 미투 운동으로 한국사회의 젠더 권력 지형에 혁명적 변화를 보인 한 해였다. 이에 힘입어, 광주전남기자협회는 2018년 6월 광주전남기자협회 소속 기자 332명을 대상으로 ‘성폭력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실태조사 결과, 광주전남기자협회 여기자는 전체의 85%가, 남기자는 절반가량이 성폭력에 노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번 한국 최초의 저널리스트 성폭력실태조사 결과는 실태조사의 주체인 광주전남기자협회보 이외에 어떠한 언론에도 보도되지 않았다. 이러한 무보도 현상이 왜 발생했는지를 알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의 기자 8명을 인터뷰해 그 결과를 분석했다. 이번 저널리스트 성폭력실태조사의 무보도의 배경에는 조직 내·외부의 압력은 없었지만, 보도할 생각조차 하지 못할 정도의 자기검열이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세부적으로 ‘학습된 위축감’, ‘“성문제=수치”의 프레임’, ‘남성적 위계 문화의 내면화’, ‘갈등을 피하려는 커버링 현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남성 중심적 조직문화의 유형들은 기자가 되는 순간부터 기자되기의 덕목을 익히기 위한 교육방식으로 기자들에게 내면화되기 시작한다. 또한 지방언론사의 여기자들은 한국여기자협회에도 가입할 자격을 박탈당한 상태여서 지역 언론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소외에 놓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이는 남성 중심적 차별문화를 당연시 여기는 경향성을 띠게 만들고 성폭력현실에 대한 방관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게 하여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를 공고히 하게 한다. 결국 저널리즘 윤리에 포함되는 성평등을 실천해야 하는 저널리스트에게 문제적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신문의 동성애 담론 분석: 2017년 대선 기간을 중심으로

        한희정 한국여성연구소 2019 페미니즘 연구 Vol.19 No.1

        This study analyzes media discourse on homosexuality in two conservative newspapers, The Chosunilbo and The DongA Ilbo, and two progressive newspapers, The Kyunghyang Sinmun and The Hankyoreh. The relevant discourse reveals prevalent homophobia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gender diversity and approaches to homosexuality as a pro-con issue in the two conservative newspapers, while the two progressive newspapers approach homosexuality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and political agendas, and emphasize the human rights of sexual minorities. The Chosunilbo was specifically focused on criticizing the presidential candidate Moon Jae-In, rather than on the issue of homosexuality itself. Moreover, it framed its news stories in terms of conflicts between candidate Moon Jae-In and the progressive candidate Sim Sang-Jung. The Dong-A Ilbo also framed homosexuality as “a problem that causes social conflicts” in its coverage of sexual harassment between homosexuals in military camps. This study emphasizes that although homosexuality is simply one of many sexual orientations and is not about winning or losing a dispute, conservative media discourse characterizes homosexuality as a dispute in a battlefield. Ultimately this discourse excludes other non- heteronormative sexes/genders/sexualities, defining heterosexuals as normal and homosexuals as abnormal. On the other hand, The Kyunghyang Sinmun and The Hankyoreh proposed the abolition of homophobic agendas and laws in Korea by emphasizing the human rights of sexual minorities. If the reports of The Kyunghyang Sinmun and The Hankyoreh are interpreted as 'tolerance' discourses for sexual minorities in Korea, hopefully it is more likely that the formation of counterdiscourses based on the language of justice and power in terms of inequality and injustice. 이 논문은 2017년 대통령선거 기간 중 보도된 신문 텍스트의 동성애 담론의 효과를 주디스 버틀러의 섹슈얼리티 개념과 미셸 푸코의 담론/주체화 개념을 적용하여 해석했다. 2017년 대선 4차 TV토론방송은 한국사회의 동성애 인식이 어떻게 담론화되는지를 보여준 우연한 사건이었다. 당시 정치 이벤트는 그동안 한국에서 대선 의제로서 금기시되어온 동성애 문제가 금기와 효과를 포괄한 권력, 즉 적극 발언될 담론이나 제한될 담론까지도 포괄하는 지식권력으로 현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토론방송 직후 4대 일간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동성애 관련 보도를 입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동성애 혐오와 다양한 젠더에 대한 몰이해로 일관했다. 『조선일보』는 동성애 이슈 자체보다, 당시 각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후보에 대한 폄훼’에 집중했다. 또한 성소수자 이슈에 대해 차이를 보이던 문재인 후보와 심상정 후보의 정치적 갈등을 더욱 부각시켰다. 상대적으로 보도량이 많았던 『동아일보』는 동성애를 ‘갈등적 문제’로 규정하고 군대내 동성 간의 성추행 사건을 군대내 동성애자들이 일으킨 범범 행위로 부각시켰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보도는 동성애 자체를 찬/반이 가능한 논쟁거리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이성애만이 정상이고 동성애는 비정상, 반사회적이라는 담론을 강화시켰고 이는 이성애 외의 성/젠더/섹슈얼리티는 철저하게 배제하는 담론 효과를 낳게 된다. 반면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성소수자 인권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의제 및 법안의 상정·폐지까지 이끌어가려는 노력을 보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통번역프로그램을 활용한 판매중국어 교육방안 탐색

        한희정,정유선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Due to the interest in and necessity of Chinese education, the demand for Chinese learners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first Chinese immersion school where two languages in English and Chinese are used will be established this year. This shows that the world is aware of the need for learning Chinese.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Chinese will be adopted as a global business language. As for existing Chinese learning, school-record-centered evaluation for college admission education has been progressed as grade-centered learning. As a result, there has always been a lot of controversy due to educational problems because it takes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In the future, futur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should be focused on process-oriented learning of learners rather than result- based learning, and education reflecting the collaborative network should be provided. This educational foundation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ill make our life convenient and enriched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education field is changing rapidly. As various media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ubiquitous-based environmen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particular provide information of the real world through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supporting multi-sensory elements along with virtual reality. The smartphones the learners can directly manipulate are being used as a new educational medium for them to experience directly.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extend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s moun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emerging. While text-based translation technology was possible to support in the past, more convenient and faster translation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voice support,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nslation,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now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technology. It was announced that ‘GenieTalk,’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 will be presen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next year. The translation service for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people and foreigners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flow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s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ranslation programs, there are Google’s ‘Word Lens’, Naver’s ‘Papago’, Systran, Flitto, and ‘Hancom Malang GenieTalk’ co-developed by Hangul and Computers and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As for the case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nglish and Chinese bilingual learning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urrently has been developed in Hong Kong. In domestic research, there is a case stud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Chinese education, targeting bilingual users of Chines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by orienting a new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new paradigm shift of educational paradig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aching-learning plans for Chinese educational field of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dvanced in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Chines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현재 판매업계 분야 현장인 백화점과 면세점에서도 외국인 고객의 편안한 쇼핑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우선 인공지능 통역 기술은 쇼핑 로봇을 사용하여 사용자 고객의 음성을 통해 정보를 얻고, 기본적인 대화를 나누고, 쇼핑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번역 기술은 스마트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쇼핑하는 외국인과 대화를 하고 쇼핑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현장에서 외국인과의 대화에 필요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번역된 번역텍스트의 결과물을 보여 주고 받으면서 의사소통을 한다는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통번역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향후 중국어 교육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현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어 교육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 사례가 많지 않아 중국어 교육 관련한 새로운 교수법과 강사 양성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성이 가장 두드러지는 판매중국어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한희정,조영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4

        This study, which is methodologically autobiographical, is based on a path of life that a elementary schoolteacher has walked through for her 20 years of teaching career. In that, this study delves into how meritbased pay policy first introduced in 1995, more than two decades ago, has the influence on her identity formation as a schoolteacher. Using the autobiographical method, two different ‘Is’ come on this study: I as a schoolteacher who has long tried to fight back against injustice and compulsion of meritbased pay policy and another I as an educational researcher. How has I as a schoolteacher been responding to the policy and what has I been thinking and then acting to resist against the policy for 20 years? To answer the questions, I as a researcher strolls down the memory lane of I as a schoolteacher with the spiral of questioningfindingmeetingrequestioning, which is a variation of the currere.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20 years of my teaching career and the meritbased pay policy can be described with four distinct time periods, and my thoughts and acts have also changed accordingly: 1) IntroductionRejectionCynicism(19992005): “I am a grade C teacher”: 2) DevelopmentResistanceSearch for Alternatives(20062010): “Give me a grade C”: 3) CoercionComplianceTrying Alternatives(20112017): “Our school performance is due to everyone”: 4) FlexibleLetupRetreat(20182019) : “I do not want a grade S”. The findings led this study to conclude that although I as a schoolteacher has been resisting against the policy for 20 years, this autobiographical method comes to realize that my thoughts, words and acts in those days have been also a power within a group of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 교육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된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대하여 반대하고 저항하였던 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의 변화과정을 지난 20년의 교직생애를 통하여 들여다보고, 이를 자서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주저자인 연구자는 연구자로서의 나와 실천적 교사로서의 나라는 두 개의 나로 분화하여 1999년부터 2019년까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역사와 맞물렸던 지난 20년간의 교직생애를 쿠레레를 변주한 「묻다찾다만나다다시 묻다」의 자서전적 방법의 여정으로 탐색한다. 이 연구의 탐색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교원성과상여금을 둘러싼 제도화과정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대응과 나 자신의 대응 추이를 ①도입거부냉소기(1999년~2005년), ②전개저항대안탐색기(2006년~2010년), ③강압순응대안실현기(2011년~2017년), ④유연화소강휴지기(2018년~2019년)로 구획 짓고, 각 구획을 ‘나는 C등급 짜리 교사입니다’; ‘차라리 저에게 C등급을 주세요’; ‘우리 학교의 성과상여금은 모두의 노력이라고’; ‘나는 S등급이고 싶지 않다’는 상징적 언표로 포착한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로서의 오늘의 나’는 자서전적 방법의 접근을 통해 교원성과상여금이 학교현장에서 제도화되는 역사의 과정을 들여다보며 순간순간의 학술적 의미를 탐색하고, ‘실천적 교사로서의 오늘까지의 나’는 지난 20여 년간 기록된 나의 생각과 신념을 대변하였던 말과 실천적 행동들이 저항이자 동시에 권력이었음을 깨닫는다. 결론에서 연구자는 교원성과상여금제도를 통해 드러난 저항과 권력이 동전의 양면과 같을 수 있다는 점을 반성적으로 성찰한다.

      • KCI등재

        조선족에 대한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유사현실 인식 연구 −<청년경찰>(2017)을 중심으로

        한희정,조인숙,신정아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ovie Midnight Runners(2017) o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ovie, two friends, students at Korea’s National Police University, investigate a trafficking organization and enter the Daelim-dong where they encounter criminals, who are all described as Chosun-jok. Although the movie has received criticism for maligning Chosun-jok (Chinese compatriots staying in Korea) and perpetuating negative images of this population, empirical research into the impact of the movie’s representation of Chosun-jok has been limited. We therefore investigated how the cognitional, affective, and behavioral para-social interaction, and pseudo-reality recognition that Midnight Runners constructs for viewers affected their perceptions of Chosun-jok (Korean Chinese) in reality. We also applied cultivation theory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ticipants’ exposure to this Chosun-jok-related conten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hosun-jok and their attitudes toward Chosun-jok. Our analysis of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6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howed that behavioral para-social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f pseudo-reality affected viewers’ perceptions of increased or decreased crime rates related to Chosun-jok, and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affected perceptions of the need for policies supporting the Chosun-jok. In addition, we found that increased exposure to Chosun-jok-related content increased viewers’ negative perceptions of Chosun-jok.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ven a single movie can strengthen existing prejudices and stereotypes of Chosun-jok. 본 논문은 ‘15세 관람가’ 영화 <청년경찰>(2017)이 고등학생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청년경찰>을 통해 형성된 시청자의 인지·정서·행위적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유사현실 인식이 조선족에 대한 현실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문화계발이론을 적용하여 조선족 관련 콘텐츠 노출량과 조선족과의 대인관계 경험,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청년경찰>을 본 고등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행위적 상호작용이 조선족 관련 범죄의 증감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화를 본 후 주변사람들과 관련 대화를 나누는 등의 숙고적 활동을 통해 영화에서의 부정적 인식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영화 속에서 보여주는 세계와 현실세계가 유사하다고 인식할수록 조선족 관련 범죄가 증가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조선족 관련 콘텐츠에 많이 노출될수록 조선족 관련 범죄가 증가하고 날로 심각해진다고 인식하는 등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졌다. 이러한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조선족을 위한 정책 지원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서발턴으로서 조선족 여성의 재현 :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Missing, 2016)

        한희정,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1

        본 논문은 서사 분석을 통해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에서 조선족 여성 및 모성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영화에서 주체적인 워킹맘의 모습을 보여 주는 지선과 결혼이주 여성으로서 복수심으로 어린 딸을 죽음에 이르도록 방치한 남편 을 청부살해하고, 지선의 가정을 파괴하려고 한 한매는 가부장적이고 폭력적인 남성성 에 포획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지선과 한매가 자식을 잃은 모성의 아픔을 공감하고 연대할 수 있는, 같은 위치의 하위주체인지는 의문시된다. 엘리트 여성인 지 선은 이혼을 하더라도 자신의 일과 아이를 모두 지켜낼 역량을 지니고 있지만, 각종 범 법 행위에 연루된 채 불법체류자 신세가 된 조선족 여성 한매는 주체적 삶을 유지할 수 없는 위치이다. 이전의 한국 영화의 조선족 재현 방식이 남성적이고 폭력적이며 도구적 시선이 강했다면 <미씽: 사라진 여자>는 조직폭력배를 여성 보모로 바꾸어 모성에 대한 가부장적 폭력성을 세련되게 고발하면서도 여전히 조선족들을 폭력과 불법, 공포를 주 는 존재로 재현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osunjok and motherhood are negatively represented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the human rights movie Missing (2016)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two main characters, Ji-Sun and Han-Mae, are not suppress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 in the sense that Ji-Sun is an independent working mother and Han-Mae, a migrant woman losing her loving daughter, takes revenge on her husband and Ji-Sun’s family. However, although they are both suffering mothers, Ji-Sun and Han-Mae are not the same. That is, Ji-Sun, as an elite woman in Korean society, can maintain her job and raise her daughter, while Han-Mae, as an outlawed Chosunjok marginalized in Korea, loses her daughter and kills her husband, and she cannot maintain her life independently. It is found that the movie, directed by a female director, still represents the perspective of male directors who portray Chosunjok as violent and illegal beings. even though brutal gangsters are replaced with female nannies and patriarchal violence is denounced in Missing. However, unfortunately, the movie still represents that the existence of Chosunjok produce horror, anxiety, and violence in Korea.

      • KCI등재

        한국 영화의 조선족 재현과 혐오표현의 문제 -<청년경찰> 손해배상 1심 판결을 중심으로-

        한희정,신정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3

        Released in 2017, the Korean film Midnight Runners seemed to play on and amplify fears resulting from the crimes of Chosunjoks by utilizing actual places and names in Daelim-dong to create a fictional reality. Reacting to this, residents and Chosunjoks living in Daelim-dong demanded damages from the film production company. The main issue in the lawsuit was that the film strengthened hatred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Chosunjoks. In the first trial, the filmmaker and the director successfully defended their freedom of expression and claimed they could not be held responsible for its unintended effects. Regarding this first court’s judgment, we criticized his main idea in the judgement in that verisimilitude is essential for the promotion of commercial films so that led the filmmakers to use the actual place name Daelim-dong, a major residence area of the Chosunjoks, and to borrow negative images of the Chosunjoks. From the viewpoint of “ethics for others,” the first judgment was only a mechanical judgment, which is very worrisome, considering that more and more diverse migrants will live in Korean society. 2017년 개봉한 영화 <청년경찰>은 허구적 상상을 재현하기 위해 실제의 장소와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등 조선족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켰다는 평가가 있다. 이에 대한 저항으로 대림동에 거주하는 주민과 조선족 동포들은 영화 제작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를 하였다. 소송의 주요 쟁점은 영화가 조선족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강화한다는 점이었다. 1심 재판에서 법원은 표현의 자유와 비의도적 효과에 대한 변론을 펼친 영화사와 감독의 손을 들어주었다. 1심 판사의 판단 쟁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영화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므로 관객은 영화의 내용을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조선족의 인신매매 등 문제의 장면과 조선족 혐오의 문제는 구별된다는 것이다. 또한, 영화에서 조선족 원고 61명과 비슷한 직업이나 피해 사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고의 주장을 기각했다. 본 글에서는 <청년경찰> 1심 판결에 대해 이 영화가 관객을 끌기 위해, 가상의 시나리오일지라도 실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을 암시하는 듯한 영화적 장치를 최대한 동원한 점, 영화매체가 현실의 법제도의 변화를 가져올 만큼 파급력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영화는 여성을 납치하여 장기밀매를 하는 조선족보다 범죄를 사주하고, 불법 난자거래로 이익을 챙기는 한국인 의사를 더 악인으로 재현하고 있지만 이는 비대칭적 권력 관계에서 낙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선족의 부정적 이미지는 집단화되고 결국 조선족 전체가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문제 제기했다. 타자를 위한 윤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1심 판결은 기계적 판단에만 머무르고 있어서, 2백만 이주민 시대의 한국 사회를 전망할 때 매우 우려스러운 판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