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7세기 후반 群盜活動과 국가의 對策

        한희숙 조선시대사학회 2002 朝鮮時代史學報 Vol.21 No.-

        Characteristics of bandits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in the late 17'th century Han, Hee-sook

      • KCI등재

        朝鮮前期 李世佐의 생애와 甲子士禍

        한희숙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0 No.-

        This study was to research about birth, life, families, and Lee Sehjoa’s activity in government service as well as his relationship during Kapjasahwa. Lee is the son of Lee Geakgam, who was born into the distinguished family of Kwangju Lee. From the beginning as Naesomsi Pankwan under the King of Jeajong, Lee became a powerful minister. When there was Muosahwa, he criticized about Sarim and ordered a punishment against Kim Jongjik. When the king of Yonsankun gave the royal emissary liquor to Lee, he accidently spilled the drink. Because of this, the king of Yonsankun thought that Lee was ignoring his drink making him to believe that he was disdaining the king. At that time, the king thought he was held in contempt from the retainers, so he tried to oppress them. Therefore, the king’s first victim was Lee because he believed that Lee was encouraging the king’s retainers to kill the king’s wife. The punishment for Lee was the beginning of Kapjasahwa. it was process for building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and eliminating vassalage. As a result, Lee was given a harsh treatment with Bukwanchamci(剖棺斬屍) and Chwagolpyopung(碎骨飄風) 본고는 조선 전기 이세좌의 출생과 그의 가계ㆍ가문, 관직활동, 그리고 甲子士禍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15세기 중엽 최고의 문벌가문인 광주 이씨 가문의 李克堪의 아들로 태어난 이세좌는 예종대 내섬시 판관으로 벼슬에 나아간 이후 연산군대까지 30년 이상 관직생활을 하며 勳舊대신으로 성장하였다. 그는 戊午士禍 때 김종직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한 인물로 士林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그런데 이세좌는 연산군 9년 양로연에서 어사주를 엎은 사건으로 인해, 그리고 또 홍귀달의 불경죄를 빌미로 능상풍조를 조장한 핵심인물로 간주되어 연산군에게 탄압을 받았다. 당시 대간ㆍ대신과의 권력 관계에서 자신을 업신여기는 풍조가 만연하다고 생각한 연산군은 불경죄를 내세워 신료들을 억압하려 하였다. 그 첫 번째 희생자가 과거 성종의 명에 따라 폐비 윤씨를 죽이는 일의 책임을 맡았던 이세좌였다. 이세좌는 윤씨를 죽이는 일에 있어 성종에게 간곡하게 반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또 당대 최고 훈구가문의 대신으로 능상풍조를 조장했다는 이유로 왕권을 절대화하려는 연산군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되었다. 연산군의 이세좌에 대한 처벌은 甲子士禍를 알리는 신호탄이었으며, 그 처벌과정은 왕권을 제약하는 대간과 자신의 절대왕권 구축에 걸림돌이 되는 훈구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실천과정이었다. 연산군은 이세좌의 처벌과정에서 그의 불경을 제대로 논박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대간 및 홍문관원과 대신들을 탄압하고 논죄하였다. 이세좌는 왕권을 절대화하려는 연산군의 희생타로 갑자사화의 발단을 제공하였고, 그 과정에서 유배와 剖棺斬屍ㆍ碎骨飄風이라는 엄청난 정치적 시련을 당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사람, 한국문화-힙합 춤을 추는 아이들의 문화는 단지 미국적인 것일 뿐인가 ?

        한희숙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0 인문학연구 Vol.4 No.-

        Don't we live in a cultural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contemporary society vests its time mainly in the cultural discourse that permeates into the competitive life, the academic profession, the daily conversation, the personal psychology, and the essence of art. Bu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human beings? Culture is the manifestation of the human essence. Therefore culture is human nature. This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into culture is completed without the hinderance of any given human instincts or circumstances. In summation, culture is the totality and the efforts of the human community as a whole. However, culture is not restrictive, it can be learned and changed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How does culture work? Culture is crea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culture is not affixed in any one way. Even though culture is the summation of the human essence, culture can be transformed into a new physiognomy to reflect the temperament of the society as a whole. In a sense, culture is not human destiny but one of human expression. It is an expression to decide, transform, and seek for new possibilities. Animals, on the other hand, are restricted to its environment. It can not transcend the boundaries of its environment since it lacks fundamental question to cross over the limit of the natural environment. What are the boundaries of the cultural creativity? Culture is not static, it is dynamic due to the continuous changes intervened by the human community as a society. This measure is accomplished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e other cultures, personal creative activities, and the free will of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s a whole. And so it changes and develops without being bound to natural rules. To bring about this continuous change, we must understand its construct to bring about change and possibilities to solve problems. And so by understanding its identity, we can ask ourselves "how can we operate within the construct of the natural paradigm to bring about the changes?" In this sense, we have a moral imperative as an individual and as a society to be responsible in bringing about reforms to the society in general. What are the ethics and the future of culture? A stated previously, culture exists in a continuous tension and must be appreciated for all its creativity and the possibilities to bring about reform to the society. But this can not be accomplished without asking whether certain cultural phenomenon is ethical or not? Human must ask whether certain cultural phenomenon in this age of uncertainty is right or not. By doing so, we establish certain foundations in the present time to create and build future culture. And only by grasping on to a "tested" culture can we plan for a future culture. This is what is termed as a "cultural strategy." In effect, it is essential to have "a critical mind" for a positive culture and "an independent spirit" & "an open mind" for understanding. Furthermore we must understand the culture of other country in its entirety, and should plan for the future culture by studying critically and progressively about the cultural reality around us to shape the society of tomorrow. In the end, the various "counter-cultural movement" should survive and flourish as a means of checks and balance to move toward peace and respect for humanity.

      • KCI등재

        조선시대 왕비 초상화 제작과 그 중단 원인

        한희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50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뿌리 깊은 숭불사상의 영향으로 왕의 어진뿐만 아니라 왕비의 초상화를 그려 原廟나 願刹 등에 봉안하고 天福을 기도해 왔다. 왕비의 초상화를 그린 목적은 복을 빌고 제사를 지내는 祭儀的 의미와 함께 왕손들로 하여금 조상을 추모하게 하려는 뜻에 있었다. 조선 초기까지 왕비의 초상화가 그려졌는데 왕실에서 공식적으로 그린 왕비의 초상화는 신의왕후, 신덕왕후, 정안왕후, 원경왕후, 소헌왕후, 정희왕후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초상화는 도화원의 전문화가들에 의해 그려져 원묘나 선원전에 보관되었으나, 그 외에 사적으로 승려들에 의해 그려져 원찰에 봉안된 것들도 다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종 대 중반 이후에는 왕비의 초상화는 그려지지 않았다. 왕비의 초상화 제작이 중단된 원인은 억불정책과 이에 따른 불교적 관습의 쇠퇴와 유교 사회의 진전에 따른 유교식 제례로의 변화, 그리고 내외법의 강화 때문이었다. 성리학과 『주자가례』의 보급에 따라 조선 건국 후 풍습을 비롯한 전반적 인 의식이 불교식에서 유교식으로 바뀌면서 제례에서 불교식 영정 대신 유교식 위패 로 대체되었다. 또 내외법이 강화됨에 따라 왕비의 초상화를 남성 화원이 그릴 수 없게 되었다. 위패 중심의 유교식 제례로의 변화와 내외법의 강화로 왕비의 초상화를 그리는 전통은 사라졌다. 더욱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이전에 남아 있던 왕비의 초상화들 은 모두 사라졌다. 이후 17세기 말에 서화를 좋아했던 숙종이 인현왕후의 초상화를 그리고자 시도했지만, 내외법에 어긋난다는 대신들의 적극적인 반대에 부딪혀 결국 좌절되었다. 이후 왕비 초상화를 그리는 문제는 전혀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는 대한제국기 왕실 여성들의 사진을 제외하고는 단 한 명의 왕비도 얼굴을 알 수 없게 되었다.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inherited the Buddhist ritual customs of the Goryeo Dynasty, portraits were painted not only of kings but also of queens. The queens whose portraits were pain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Queen Sinui, Queen Sindeok, etc. However, after the middle of King Seongjong’s reign, the portraits of the queens were no longer painted due to the change in ancestral rite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gender law (naeoebeop).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ritual was changed from Buddhist to Confucian, and the portraits of the queens were replaced by sacrificial tablets. As a result, the portraits of the queens were no longer pain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when gender law became stricter, portraits of queens were no longer painted. In addi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l existing portraits disappeared. In the 17th century, King Sukjong, who was working har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wanted to paint a portrait of Queen Inhyeon. However, he was thwarted by the strong opposition of his ministers. Portraits of kings had been painted and kep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ut portraits of queens had not been painted since the middle of King Seongjong’s reign. Therefore, the faces of the queen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main unknown.

      • KCI등재

        연산군의 딸 휘순공주(徽順公主)의 혼인과 이혼

        한희숙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8

        Princess Wheesun(휘순공주), the daughter of Younsangun(연산군), married to Gumunkyung(구문경), who was the fourth son of Gusooyoung(구수영) at Younsangun 8th year. Princess Wheesun became the daughter – in –law of the family of Gusooyoung who was the son –in-law of Youngeng prince(영응대군), son of King Sejong(세종). Younsangun not only built a large house where Wheesun Princess could live When she was married but also continued to support the economic benefits. However, the princess was divorced after only five years of marriage because when the Younsangun was abolished by Jungjong coup, the Princess and her husband were also deprived Also, all the benefits that were given to the Younsangun were confiscated by the state. Then Gusooyoung demanded the King Jungjong(중종) to cancel his son’s marriage. Wheesun Princess became the only Princess out of her marriage after marriage, However, two years after the Princess was kicked out, the prime ministers insisted that their divorce should be reunited because of JungJong coup inevitably. And prime ministers set out the reason that innocent wife or daughter – in –law should not be cast out. The Princess was reunited with him again in two years, and got a house again. She was not easily divorced because of her family affairs, and even if they were divorced, they were reunited again. 연산군의 맏딸 휘순공주(생몰년 미상)는 혼인한 이후 휘신공주로 봉호를 개칭했다. 대략 11살 즈음인 연산군 8년(1502)에 구수영의 아들 구문경과 혼인한 후 1년 정도 더 궁궐에 살다가 출합(出閤) 한 것으로 보인다. 시아버지 구수영은 영응대군의 사위이다. 휘순공주는 당대 왕실과 혼인관계를 구축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받으며 출세가도를 달리던 구수영의 며느리가 되었다. 연산군은 휘순공주가 혼인을 하게 되자 규정 이상의 매우 큰 집을 새로 지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말, 면포, 쌀, 비단, 호초, 노비 등 많은 경제적 혜택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휘순공주는 혼인한지 불과 5년 만에 이혼을 당하였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자 휘순공주와 구문경은 폐위되어 공주와 부마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서인이 되었다. 또한 연산군 재위 시 받았던 많은 물건과 가사(家舍), 토지, 노비 등도 모두 국가로 몰수되었다. 그러자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된 구수영은 조정에 연산군과의 절혼(絶婚)을 청하였다. 조선왕실의 공주로서 결혼 후 시집에서 쫓겨난 경우는 휘순공주가 유일하였다. 그러나 휘순공주의 이혼에 대해 대간과 대신들은 허용하지 않았다. 휘순공주가 쫓겨난 지 2년 뒤에 대간들은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이혼이 중종반정이라는 변란을 만나서 부득이하게 이루어졌던 것이니 이들 부부를 재결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간들은 ‘출가한 딸은 그 친부 쪽의 죄에 연좌시키지 않는 뜻’을 명분으로 내세워 휘순공주와 구문경의 재결합을 주장하였다. 휘순공주는 2년 만에 다시 구문경과 재결합했고, 집도 다시 얻게 되었다. 공주는 친정의 일로 인해 쉽게 이혼을 당하지 않았고, 이혼을 당했다고 하여도 다시 재결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