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토지소유권 효력범위 제한에 관한 검토

        한태일(Taeil Ha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9

        대도시의 토지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입체적 토지이용의 일환으로 구분지상권 등을 활용한 지상 혹은 지하공간 구조물들을 건설하는 공공사업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토지의 사용권원 획득에 어려움이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를 정당한 이익 범위 내로 제한하는 민법 제212조에 비추어 공공사업 등을 위하여 일괄적으로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리하여 일정 심도 이하의 지하공간 혹은 일정 높이 이상의 공중공간에 대하여는 토지소유권의 효력을 부인하고 있는 해외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우리 실정에는 소위 한계심도 이하의 지하공간을 공물화하는 방식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현재 민법 제212조상 ‘정당한 이익의 범위’를 ‘법령이 정하는 범위’로 개정하고 특별법상으로는 한계심도에 의하여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를 제한함을 밝히고 동법 시행령상으로는 한계심도의 구체적 기준을 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a part of three-dimensional land use to solve the land shortage in large cities, public projects to construct above-ground o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sectional superficies are in progress. However, still there is the difficulties to acquire the right of using lands. To resolve this, in light of Article 212 of the Civil Act, which limits the effect of land ownership within the scope of legitimate interests, it was reviewed whether it is possible to limit the scope of effect of land ownership collectively for public project. Thus, for underground spaces below a certain depth or air spaces above a certain height, overseas cases that denied the effect of land ownership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method of making an underground space below the so-called limit depth as public owned land is the most suitable for our situation. To this end, it is desirable to amend the current civil law Article 212 of the’range of legitimate interests’ to’the range determined by the law and enforcement decree’. And under the special law, it would be desirable to clarify that the scope of effect of land ownership is limited by the marginal depth, and to establish specific criteria for the marginal depth under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 KCI등재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에이전트 간의 의사소통 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

        한태인(Tae In Han)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8 No.3

        소셜러닝의 대표적 학습인 협력학습에서의 에이전트란 학습자에게 현황이든, 환경이든, 과제이든 설명해 줄 수 있거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에이전트 사이에서의 의사소통에 관한 정보기술 표준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사용되는 각종 에이전트들의 의사소통에 관한 데이터 모델에 관한 기술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러닝 협력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많은 에이전트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 에이전트들 간의 상호 의사소통에 관한 규칙을 갖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여 그 요소들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렇게 제시된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은 여러 응용 에이전트가 독립된 프로세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정의된 통신 데이터모델에 의해 메시지 상호 교환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는 소셜러닝에서 주를 이루는 학습방법인 협력학습 중에서 다양한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경우 이를 지원하는 에이전트간의 통신에 관한 의사소통 모델 응용을 통해 원활한 협력학습이 구현되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n agent in collaborative e-learning has independent function for learners in any circumstance, status and task by the reasonable and general means for social learning. In order to perform it well, communication among agents requires standardized and regular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 This study suggests data model as a communication tool for various agents. Therefore this study shows various agents types for collaborative learning, designation of rule for data model that enable to communicate among agents and data element of agent communication data model. A multi-agent e-learning system using like this standardized data model should able to exchange the message that is needed for communication among agents who can take charge of their independent tasks.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perform collaborative e-learning successfully by the application of communication data model among agents for social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민법 제760조의 해석과 병존적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5. 6. 24. 선고 2014다231224 판결 -

        한태일(Han, Tae-Il)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1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특히 원심판단에 의하면 예금주는 사회통념상 예금사기인출 사건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금융정보를 소홀히 관리하였다는 이유로 사기범들이 금융기관으로부터불법으로예금을인출한행위에대하여공동불법행위자로서책임을부담하고, 사기범들의 무자력위험까지도 부담하여야 할 상황에 처하였었다. 이는 판례 및 다수설이공동불법행위에관한민법제760조제1항의공동의의미에관하여객관적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함으로써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을 용이하게 하여 피해자 보호를 의도하고 있지만, 이를 복잡한 현대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민법 제760조 제1항은 연대책임을 원칙으로 하며 책임의 감면을 인정하지 않는바, 동 규정이 너무 쉽게 인정될 경우에는 피해자 보호의 실익보다 가해자에게 과중한 책임을 부과하게 될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의미를 주관적 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하여동 규정의 적용범위를 축소하는 한편, 의사의 공동성은 없지만 단일 손해를 발생시킨 수인의 가해행위에 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연대가 아닌 분할책임을 허용하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공동불법행위의 한 유형으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과실상계도 개별적으로평가할 수있게 됨으로써사소한 과실이인정될뿐인 가해자가고의 혹은중과실이있는 가해자의 무자력위험까지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미 개별판례들을 살펴 보건데,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라고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개념을 이미 사례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상판결의 상고심은 비록 예금주와 예금사기에 의한 손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부인함으로써 예금주를 구제하였다. 그러나 예금주가 사기범들에게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일부 유출하였다는 점에 비추어 상고심이 상당인과관계를 부정함은 예금주를 보호하기 위한어쩔수없는고육지책이었을것으로보인다. 그러므로상고심의‘전부아니면전무’식의해결보다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 인정함으로써, 예금주에게 사기범들과 책임이 중첩되는 범위내에서손해의일부에대하여만연대책임을부담시키고또한금융기관의과실을고려함에 있어서도 사기범들과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책임의 비율을 낮추는 것 이 보다 바람직할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예금주는발생한손해의10%에서20%범위내에서책임을부담하는것이적정하였을것으로생각된다. Regarding an issue of the subject decision, according specifically to the decision made in the appeal trial, the account holder, despite being a victim of a deposit withdrawal fraud, reached a particular state of having to bear responsibilities as a joint tortfeasor for the action of illegal deposit withdrawal from a financial institute conducted by the criminals, and for the criminals’ insolvency risk due to the reason that the account holder did a careless job in managing his own financial information. Intention of the precedents and the major theory is to protect the victim by allowing a convenient establishment of a joint tort through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the term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objectivity. However, such understanding cannot be applied as is to the complicated modern society. Namely,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joint responsibility, and it does not acknowledg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Therefore, when such regulation is acknowledged too easi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oo excessive responsibility will be imposed to the offender rather than protecting the victim with actual benefits. Therefore, the definition of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r Article 760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subjectivity in order to reduce the application range of such regulation, meanwhile acknowledging the cumulative joint tort permitting partition responsibility instead of joint responsibility depending on the case of a harmful act conducted by a convict which caused single loss without collectivity of intention as one type of joint tort. By doing so, comparative negligence becomes individually evaluable, and this reduces the irrationality of the insolvency risk of an offender responsible for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being imposed to an offender responsible for minor negligence. Moreover, as a result of examining individual precedents, in no cases the actions are specified as the cumulative joint tort, but such concept already seems to have been applied in some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supreme of the subject decision, the account holder was relieved by denying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loss due to deposit fraud. However, viewing the case from an aspect that the account holder on his own partially exposed his own information to the criminals, the denial of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in the supreme seems to be a desperate measure made to protect the account holder. Therefore, rather than the ‘all or nothing’-based solution used in the appeal,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cknowledge the cumulative joint tort to apply joint responsibility to the account holder for a partial loss within the range of responsibility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criminals, and to evaluate negligence of the financial institute separately from that of the criminals to relatively decrease the rate of responsibility. As a result, in the subject decision, it seems appropriate that the account holder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the loss occurred within the range of 10%~20%.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