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금융소비자보호법 동향 분석

        한지형,고대균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본 연구는 2020년 3월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되고, 이듬해 3월부터 시행된 이래 현재까지 약 3년 3개월 여의 기간에 기업, 정부, 그 외 기타의 관점을 바탕으로 한 언론 기사나 보도자료, 학술연구 등에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동향을 분석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금소법과 관련한 논의에서 보완하거나 고려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금융소비자보호법’,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약칭인 ‘금소법’을 키워드로 하는 언론 기사와 유관 정부기관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보도자료, 학술연구 등을 수집하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과 토픽 분석을 통해 시기별로, 관련 주체별로 어떤 단어들이 주로 사용되었는지, 어떤 주제들이 논의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소법을 대상으로 기업과 정부, 학계에서 다루는 주제는 시기와 무관하게 주체별로 대체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금소법 시행에 따른 우려섞인 반응과 함께 기업별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반면, 정부에서는 규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위해 규제방안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학술연구에서는 법률적인 내용의 검토와 학술적인의미의 평가 등이 다루어졌다. 둘째, 금소법을 대상으로 한 논의는 법의 제정과 시행, 그 이후의 기간에 걸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금소법이 시행된 직후, 제정될 때에 잘 언급되지 않았던 ‘온라인, 핀테크, 빅테크’ 등의 단어가 많이 등장하였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규제와 관련한 논의가 세부적으로 정교화하여 다루어지는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금소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체의 이해관계를 고려하는 한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실증 자료에 기반을 둔 연구 등을 통해 관련된 논의를 발전, 확대시켜 감으로써, 금융소비자의 복지를 증진하고 건전한 시장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Орфографическая норма Геннадиевской Библии: особенности рецепции второго южнославянского влияния

        한지형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В исторических 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Геннадиевской Библией (далее ГБ) приято называть первый в славянском мире полный свод библейских книг, собранный в Новгороде в 1499 г., в последний год XV столетия, при Новгородском архиепископе Геннадий. ГБ является первым полным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им сводом библейских книг, который определили “дальнейшие судьбы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ого языка в славянском мире” (Алексеев1990: 72). Однако до настоящего времен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параметры самой ГБ установлены не были. Это может быть объяснено сложностью решения проблемы, обусловленной “библейским эклектизмом” (Евсеев 1916: 11), разнородностью данного библейского кодекса,объединившего библейские книги различ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ак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так и хронологического. В ходе составления полного библейского кодекса в Новгороде были собраны и сведены воедино все доступные славянские библейские тексты.2 А.А.Алексеевым было установлено,что по своему происхождению библейские тексты, входящие в ГБ, составляют 8 групп источников (Алексеев 1988; Алексеев 1990: 51–54). Перед создателями рукописного Геннадиевского свода стояла прежде всего задача “простой фиксации наличного актуальноготекста Священного писания в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ом переводе” (Иннокентий 1990: 43), а не его языковой нормализации. В силу этого нельзя говорить о “языке” ГБ (Фостер 2001: 31), язык каждой из ее книг требует отд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Вышесказанное определяет актуальность настояще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священного одной из книг Геннадиевского кодекса – Четвероевангелию (лл. 686–771). Конкретные задачи состоит в выявлении особенностей орфографической нормы Четвероевангелия ГБ с точки зрения отражения признаков второго южнославянского влияния.

      • KCI등재후보

        누가 행복한 은퇴생활을 하는가?

        한지형,최현자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4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retirees to identify thei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recent issue in consumer science. Also, we tri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happy retired life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occupation factors, retirement factors, financial factors, and non-financial factors. This study can help pre-retirees prepare for happy retired life.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2 for the study of retirement index. The total case of the data was 1,492. We extracted the case of retirees(218). For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tirees’ subjective well-being was slightly over the medium score. Also among the specific satisfactions, the level of dwell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ationship satisfac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living satisfaction. The level of financial satisfac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financial satisfaction, the retiree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level of debt but did not satisfied with the level of pension expectation and saving. Second, retirees who were woman, thought having sufficient retirement funds, save steady, owned lots of real estate asset, did not have inheritance motive, and who had diversion, were more likely to enjoy happy life after retirement. Also, retirees who worked shorter period, satisfied with one's job, were voluntarily retired, and had thought about retirement point before retirement were more likely to enjoy happy life after retirement. In this article, financial characteristics was very significant for happy life after retirement since they explained 30% of a happy life after retirement. However, financial characteristics were not the only determinant for retirees’ happiness because other characteristics explain remaining part of happy life after retirement. Therefore, we should not ignore non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 characteristics when planning for retirement.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학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행복에 관심을 두고 이미 은퇴를 경험한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행복한 은퇴를 결정짓는 요인인 은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은퇴 전 일자리관련 특성, 은퇴특성, 재무적 특성, 그리고 비재무적 특성들을 가지고 은퇴자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행복한 은퇴자가 되기 위해서 어떤 부분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지알아봄으로써 다가오는 고령사회에 대비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수집된 서울대-삼성생명 은퇴지수연구 데이터를사용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 수준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은퇴자 218명만을 추출하여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은퇴자들의 주관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은퇴자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은 보통보다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이었고 구체적 영역 중에서는 주거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관계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전반적 생활만족도, 그리고 재무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재무만족도의 경우 세부항목에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은퇴자들은 부채수준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예상연금액수준이나 저축수준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은퇴자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현재 본인이 충분한 은퇴생활자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저축이나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으며 부동산 자산을 많이소유하고 있고 가족에게 상속할 동기가 없으며 현재 소일거리 정도는 있고, 성별이 여자일 경우 은퇴 후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은퇴 전 일자리에서의 근속 연수가 짧을수록, 은퇴 전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은퇴자는 행복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은퇴를 할 당시에 자발적인 은퇴를 하였고 은퇴를 하기 전에 은퇴 시점에 대해 고려해보았던 사람이 은퇴 후 행복한 삶을 누릴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들 중에서도 재무적인 영역이 은퇴자 행복의 30%를 설명하여 상당히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자의 주관적 행복의 나머지70%는 재무적 특성 이외의 요인들이 설명하므로 단순히 재무적 특성만으로는 은퇴자의행복을 결정지을 수 없다. 따라서 재무적 특성 외의 비재무적 특성이나 은퇴 특성, 은퇴전 일자리 특성과 같은 요인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개인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Grammatica Russica(1696)의 형태론: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1619)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지형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2 러시아학 Vol.- No.24

        본 논문은 스모트리츠키(M. Smotrytsky)의 교회슬라브어 문법서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와의 비교의 관점에서 루돌프(H. W. Ludolf)의 러시아어 문법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의 양상을 명사, 대명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에 대한 형태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던 첫 번째는, 루돌프 자신이 직접 그리스어・라틴어의 전통에 입각한 러시아어 문법 체계를 정립하기보다, 이에 대한 교회슬라브어적 변용을 보여준 스모트리츠키 문법서를 매개로 Grammatica Russica를 집필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비교해볼 때, Grammatica Russica의 내용과 구성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법 체계의 간소화는 당시 루돌프가 직접 겪고 관찰한 러시아어에 대한 귀납적 정보를 반영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학습을 희망하는 유럽인들에게 적합한 실용 러시아어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화된 체계로도 평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학습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러시아어 문법에 대해 유럽어와의 관계 속에서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대조언어학적으로 설명하는 Grammatica Russica의 문법 기술법은 오늘날의 외국어 교수법과도 궤를 함께하는 부분이다. 또한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달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명사 지소형과 그 사용 범례를 소개하는 부분은 당시 러시아인의 언어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와 그 정립 양상은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조명해볼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노한회화』(1904)와 『노한회화를 위한 어휘와 표현』(1904) 연구–20세기 초 제정 러시아 카잔의 노한 이중어 학습교재의 출판 의미와 방향–

        한지형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4

        본 논문은 카잔의 러시아정교 선교회가 1904년에 자매편으로 편찬한 두 권의 교재, 『노한회화』와 『어휘와 표현』을 소개하고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교재에 반영된 20세기 초 제정 러시아 카잔의 노한 이중어 학습교재의 출판 의미와 방향을 고찰하고자 하는 첫 번째 시도를 담고 있다. 『노한회화』와 『어휘와 표현』의 형식과 구성, 그리고 내용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본 교재는, 첫째, 본문을 구성하는 회화문의 주제별 단원은 전체가 하나의 교재로 완성되는 유기적 결합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둘째, 『노한회화』의 회화문은 정해진 주제 안에서 발생가능한 질문과 대답이 일대다수의 대응관계로 나열되어 있는 ‘회화문 모음집’에 가까운 교재로 평가할 수 있으며, 셋째, 몇몇 어휘에 대한 뜻풀이와 문법정보를 제시하는 『어휘와 표현』은 차후 출판되는 『시험적 노한소사전』을 도모하는 단계로 평가할 수 있으며, 넷째, 『노한회화』와 『어휘와 표현』은 분명한 목적 아래 편찬된 고려말 회화와 문법·어휘에 관한 종합교재로 정리해볼 수 있다. 그리고 『노한회화』와 『어휘와 표현』의 출판 의미와 방향은 제정 러시아의 태평양 지역에서의 부동항 확보와 안보 구축을 위한 대외적 한반도 정책, 즉 식민지배 정책에 기인한 결과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러시아어 동사 체계의 인식과 정립 양상: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1619)와 Grammatica Russica(1696)를 중심으로

        한지형 한국러시아문학회 202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6 No.-

        In this study has its subject on usage of verbs of the 17th century Church Slavic and Russian language shown in The Correct Syntax of Slavonic Grammar (1619) written by Meletius Smotrytsky, a native Russian speaker and Grammatica Russica (1696) written by Heinrich Wilhelm Ludolf, a non-native speaker. And it examined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the usage of verbs and establishment pattern as a grammatical system focusing on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description method. First,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description of grammar, it may be due to the Smotrytsky’s description which is taxonomy-centric and system-centric as it follows Greek and Latin traditions, bu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a result of his efforts to systemize Church Slavic verbs as a native speaker. In fact, the purpose of writing his grammar book was not to observe the uses of the Russian language at the time and make inductive reasonings, but to establish a standardized grammar that can be used for school education, book publishing, and translation experts. On the other hand, Ludolf veered away from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Russian verbs and descriptions of the grammar that is taxonomy-centric, and aimed to construct a practical grammar that summarizes major grammatical categories directly related to daily Russian learning.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grammatical systems constructed by the two authors to describe the verb system. To begin, the grammatical attributes with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grammar books can be organized into voice, number, mood, tense, and gender. And the grammatical attributes with shared terms but grammatical attributes with different application patterns are categorization of irregular verb conjugations. Above all, the two books focus mostly on the tense. And on one hand, as a new approach for tense formation method, and the other as a way to solidify the verb definitions, various views of the inflection and semantic change functions of suffixes and prefixes were reflected in Church Slavic and Russian verb systems. Considering that the study of Russian aspects and aspectual pairs began in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verbs in the 17th century can be re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