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시 격조사는 핵이 아니다

        한정한(韓政翰) 형태론 2010 형태론 Vol.12 No.2

        이 글은 지난 2008년 형태론 10권 3호에 실린 『다시 격조사는 핵이다』에 대한 답변형식으로 쓰인 글이다. 필자의 기본적인 입장은 한정한(2003)에 실린 『격조사는 핵이 아니다』에서 이미 밝혔지만, 임동훈(2008)에서 새로 제기한 문제들에 대해 답함으로써 격조사에 대한 그간의 진전된 연구 성과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임동훈(2008)에서 새로 제기한 문제들은 세 가지였다. 차례대로 논의해 보겠다.

      • KCI등재

        다이쇼 일본과 ‘현대’의 가능성

        한정선(韓程善)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of modernity in Japan that is entangled with our own times. One of the distinctive forces that has shaped our times is the critiques and resistance against Eurocentric world orders and racializing norms in the form of emerging anti-imperial nationalisms around the world during the interwar period of early 20th century. The interwar period overlapped with the Taishō period (1912~1926) of Imperial Japan. This paper probes into the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s of Taishō Japan that were shaped by the post-World War I world. In doing so, I claim that new possibilities were created in which various actors emerged and organized themselves to reform the state-centered Meiji order by discovering “world” and “society.”

      • KCI등재

        한일합병과 시선의 정치학

        한정선(韓程善) 동양사학회 2005 東洋史學硏究 Vol.93 No.-

        This paper revisits Japanese political cartoons that represented the moment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Since the formation of the new Meiji government, the ‘Korea problem’ was at thc heart of Japanese foreign affairs. When the problem was finally solved in the form of annexation, Japanese society expressed its excitement and enthusiasm through the cartoon media. By examining how the moment of annexation was captured and caricatured in Japanese society, I argue that there was the growing popular will to empire at the social level. In analyzing the cartoons on annexation, I classify them into five recurring patterns of imagination. They are the metaphors of light, train, animal, gender, and heroes. By imagining Japan-Korea relations through these five metaphors, the Japanese populace came to the consensus that enlightened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Japan must lead Korea into the modern world. To rationalize and justify Japan's leadership over Korea, the cartoons visualized an animalized and feminized Korea. By arbitrarily recollecting past heroes of foreign invasions and associating them with the annexation, the cartoons attempted to render annexation continuity with Japan's own past. Developing a distinctively Japanese but unmistakably modern style of visual representation, the cartoons on the Korean annexation contributed in creating a visual culture that molded Japanese will to empire.

      • KCI등재

        론 네이글의 소형 도자 조형 연구

        한정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4 조형디자인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동시대 도예가 론 네이글(Ron Nagle, 1939-)의 도자와 합성수지를 접목한 작품세계를 탐구하고 유형별로 작품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네이글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작품세계를 확장해 나갔다. 본문에서는 1950년대 캘리포니아 점토 혁명과 피니쉬 페티쉬 영향, 소규모 조각에 대한 영감 준 여러 요인을 살펴보았다. 작품군을 컵과 소형 조각으로 나누고 소형 조각은 오브제와 디오라마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이글의 초기 컵 작업은 도예의 관용적 표현과 물리적 특징을 이용한 시각적 유희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드로잉에 기반한 형태 탐구와 마감재로서의 합성수지의 사용은 감각적인 색채와 형태를 구사하고 시각적 유희를 제공하였다. 201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작품들은 오브제에서 디오라마 형식으로 변화되어 공간감이 확장된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토의 즉각성(immediacy)을 강조하며 물성 표현을 탐구하고 합성수지를 채색재와 마감재에서 표현재로도 활용하며 새로운 조형언어에 도전하였다. 특별하게 고안된 전시 설치와 독특한 제목 짓기 공식은 감상자와의 상호작용을 도모하고 언어적 시각적 유희를 제공하였다. 네이글은 도자의 전형성을 고수하는 동시에 새로운 매체로의 전환을 시도하여 표현 영역을 끊임없이 확대하고 있다. 60년이 넘는 창작 활동 기간 동안 일관되게 소형 조각을 고수한 장인정신과 고도로 정교한 미감은 유일무이한 작품세계로 구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ork of contemporary artist Ron Nagle (1939-), who combines ceramics and resin, and to analyze his work by form. Nagle's work has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cultural factors. This study examine the California Clay Revolution of the 1950s, the influence of the finish fetish, and other factors that inspired her small-scale sculptures. The body of work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cups and small sculptures, and the small sculptures into objects and dioramas. The results show that Nagle's early cups offer a visual play with the idiomatic express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eramics. The drawing-based exploration of form and the use of synthetic resin as a finishing material resulted in a sensual use of color and form and visual play. Works from the 2010s to the present show a shift from object to diorama form, expanding the sense of space and exploring the archetypal expression of ceramics with an emphasis on immediacy. Specially designed exhibition installations and unique title formulas encourage viewer interaction and provide verbal and visual humor. The use of synthetic resin as a coloring, finishing, and expressive material challenged a new sculptural language. While maintaining the archetypal qualities of ceramics, Nagle continues to expand his range of expression by turning to new media. Over 60 years of creative activity, the craftsmanship that consistently adheres to small-scale sculpture, the application of other materials, and the highly developed aesthetic have resulted in a unique body of work. This provides a clue to the direction of human-driven craft and ar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GG-42 : A case of huge fibroma in the labium majus

        한정은,심순섭,강혜심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외음부에는 다양한 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악성이고, 섬유종은 굉장히 드물지만 또한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부인과 종양의 0.03% 정도로 발생한다. 연성 섬유종(soft fibroma)는 흔한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목의 옆 혹은 겨드랑이 부위에 발생하며 아주 드물게 생식기에 발생할 수 있다. 주로 작은 1-2 mm 정도의 구진으로 발생하거나 드물게 직경 1 cm 크기의 주머니 모양의 단발성 종양으로 나타나지만 대개 2cm를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산과력 2-0-0-2 인 43세 여성으로 일년 전 발생한 외음부의 종괴가 최근 2-3 개월 동안 크기의 증가를 보여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시 오른쪽 대음순에 14 cm 크기의 종괴가 경부에 의해 연결되어있었고 압통은 없었다. 하부 표면에미란성 병변이 있어 시행한 피부 생검 에서 만성염증을 동반한 궤양소견을 보였고 CT 검사상 악성의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단순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14 × 10.5 × 2.2 cm 의 섬유종이 관찰되었다.이 질환의 발생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당뇨,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크론병 등 다양한 인자들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기저 세포암이 보고된 적 있어 진단에 주의해야 하며 외과적 절제술 또는 냉동치료, 전기소작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저자들은 건강한 43세의 여성에서 비호발 부위인 대음순에 발생한 거대한 크기의 물렁 섬유종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 KCI등재

        학부 중한번역수업에서의 번역이론 적용가능성- 해석이론 중심의 고찰

        한정은 한국통역번역학회 2014 통역과 번역 Vol.16 No.1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nd analyze the translated text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a translation class based on interpretive theory of translation and to see the feasibility to apply atranslation theory in undergraduate translation classes. Undergraduate translation education appears to be focused language educating, it needsto be balanced translation theories and translation practices to develop training methods according to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As theobject of analysis, we chose the translated texts that undergraduate students had no difficulties to understand source texts to exclude theanalysis of linguistic errors. Many of the the translated text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revealed the problem of code switching, dividedinto two groups: a word-for -word literal translation and asentence-for-sentence literal translation.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understand that words have to be re-expressed in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not understand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sentences. The main concepts of the interpretive theory oftranslation including the concept of deverbalization will help to eliminatethe habits of code switching that often appear when translating.

      • KCI등재

        학부 번역수업 수업설계 연구 : Gile의 순차적 번역모델을 중심으로

        한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7 통번역학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and analyze pedagogical teaching model for undergraduate Chinese-Korean translation classrooms. Many analyses show that undergraduate students revealed two types of code switching in their translations: a word-for-word literal translation and a sentence-for-sentence literal translation. These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at words have to be re-expressed in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This study will apply a sequential model of translation at a basic and practical level to the teaching process, and present it to the students at an early stage of training in undergraduate translation classes. It will help build a guiding framework throughout the translation course whenever translation errors and transcoded translations found, and will help eliminate the habits of code switching that often appear in the transla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