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권리 관점에서 본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지표 및 측정방안 개발

        한유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4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and a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using a logical model as a measurand. Methods: After analyz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existing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and other projects similar to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literature analysis), a focus group interview, an expert advisory meeting,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Results: According to the logical model, the final draft was composed of a total of 28 indicators: ten indicators(areas of support system,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input stage, six indicators(areas of service content, quality, operation) in the process stage, six indicators(areas of quantitative growth, teacher placement, and efficiency) in the output stage and six indicators(area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children, teachers, and centers) in the performance stage. Conclusions: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measurement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use the project itself as the unit of analysis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performan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 welfar. If some indicators and measurement methods are revised and supplemented, it could serve as a tool for local government evaluation or center evalu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보다 아동권리 관점에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논리모델을 사용하여 객관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과지표 및성과측정 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기존에 만들어진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및 유사 사업들을 문헌분석하여 성과지표초안을 만들고, 관련 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사 등 현장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표적집단면담, 전문가 자문회의, 그리고 관련 공무원, 현장실무자, 대학교수,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한델파이 조사 등을 실시했다. 결과: 논리모델에 따라 투입 단계(지원체계,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영역)의 10개 지표, 과정단계(서비스 내용, 서비스의 질, 서비스 운영 영역)의 6개 지표, 산출 단계(양적 성장, 교사배치, 효율성 영역)의 6개 지표, 성과 단계(아동, 교사, 센터의 만족도와 효과성)의 6개 지표로최종안(28개 지표)이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의 성과지표 및 측정방안은 논리모델에따라 사업 자체를 분석단위로 하고 있지만, 일부 지표 및 측정방안을 수정하면 지자체나센터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부적응아의 치료사례 연구

        한유미,안선희,채영순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이 치료자 훈련을 받은 후 반항성 장애 유아와 분리불안 장애 유아에게 모래상자 놀이치료를 실시한 사례 연구이다. 사전검사는 DSM-IV, K-CBCL, HTP 검사를 사용했으며, 모래상자놀이는 원장실에서 주 1회 40분씩 13회동안 개별적으로 실시했다. 사후검사로는 K-CBCL을 실시하여, 사전검사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했으며, 치료과정을 담은 비디오 테잎과 사진, 관찰일지 등을 종합하여 분석했다. 두 사례는 치료 과정과 속도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치료가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육현장에 모래상자 놀이치료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sand play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Sand play was employed in two instances. One was a case of an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child (4 years and 3 months) and the other was a separation anxiety disorder child (4 years and 9 months). For the pre-test, DSM-IV, K-CBCL, and HTP were used. The head teacher of the kindergarten, after the 1 year training of child therapy, individually implemented 13 sand play sessions to each subject respectively. A K-CBCL was again used for the post-test. Also, sand play scenes and narratives of the sand worlds they created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oth instances of use were found to be successful though they had somewhat different approaches to the process and speed of the therapy.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most remarkable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aggression in the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child. In the case of separation anxiety disorder, the problem of withdrawa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uccess evidenced in these two example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school integrative approach.

      • 경막외마취하 혈액투석로 수술 중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급성 악화로 인한 저산소증 발생 사례

        한유미,김상호,유재화,박아연 순천향대학교 순천향의학연구소 201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4 No.1

        A 72-year-old man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derwent cephalic vein bypass surgery. He also had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o avoid th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surgery began under epidural anesthesia with no sedation and oxygen supply via simple mask. During the surgery, desaturation occurred abruptly to 83%. Desaturation continued after intubation for a while and slowly disappeared as time went by. After the surge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e performed a bronchoscopic examination and found large amount of sputum in both bronchioles. After bronchial suction and toileting, extubation was performed. In the patient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t is possible that desaturation occurs abruptly due to acute exacerbation, although the surgery is conducted under epidural anesthesia with no sedation.

      • KCI등재

        음악청취력 향상프로그램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청취력에 미치는 영향

        한유미,안선희,정민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usic audi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tonal and rhythmic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onal patterns and rhythmic capabilities and their families' musical environment. The sample was consisted of 7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enrolled at a preschool in Seoul.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24 units of activity in the music audiation intervention program. Before and After treatment,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tested by the tonal pattern and rhythm test using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PMMA). Parents ra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family mu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ability of musical audi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onal and rhythmic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audiation and the number of CD.

      • 스웨덴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동향

        한유미,오연주,지혜영 호서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AI와 인간사회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I technology, which has penetrated into the educational field as it enters the AI era, should be introduced to young children through the case of Sweden. In addition to a literature review, we visited and observed an ECEC in Sweden, and interviewed professors,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and AI technology has changed considerably over the past 10 years in Sweden, and the background of this has been a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Unlike in the past, the iPad was used as a pla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s an educational recording tool for teachers in ECEC. The case of Sweden provides many implications to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a and the field, which has a negative perception of providing AI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s to ECEC.

      • KCI등재후보

        정상,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IQCODE-K, K-AD8, AQS 간의 비교연구

        한유미,백민재,박정란,김상윤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치매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보호자용 치매선별검사 도구인 Korean version Informant Questionnaire on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QCODE-K)와 Eight-item Interview to Differentiate Aging and Dementia 한국어판(K-AD8), 그리고 Attention Questionnaire Scale (AQS)를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169명의 환자가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정상인 31명, 임상군은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78명과 알츠하이머치매 환자(Alzheimer Dementia; AD) 6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로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였고 민감도와 특이도, Area Under the ROC Curve(AUC) 및 Clinical Utility Index(CUI)를 제시하였다. 결과 : 세 가지 도구 모두 실제 인지적으로 손상된 환자군(MCI 또는 AD)을 “보통”수준에서 검사상 인지적으로 손상이 있는 것으로 분류해낼 수 있었다. 또한 MCI와 AD군 간의 비교에서는, 세 도구 모두 실제 MCI 환자를 검사상 “보통”수준에서 MCI로 분류했으나 실제 AD 환자들을 검사상 AD로 분류해낸 도구는 IQCODE-K만이 “보통”수준으로 가능하였다. 결론 : 세 가지 도구 모두 자세한 신경심리검사 없이 단독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유무를 선별할 수 있는 도구임이 재확인되었고, 특히 IQCODE-K가 알츠하이머치매 환자(AD)들의 변별에서는 다른 두 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변별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한유미,권희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본 연구는 어머니들의 양육신념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들의 어머니 234명으로 어머니 양육신념,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Tuke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양육신념은 자녀가 다니는 취학 전 유아교육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어머니들보다 아동 중심적인 양육신념을 갖고 있었다. 자녀의 성취에 대한 기대는 연령이나 학력이 낮은 어머니들이 나이가 많거나 학력이 높은 어머니들보다 숫자나 한글 등의 학업적 영역에 대한 자녀의 성취기대를 더 높게 가지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서 취업모들은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유아교사의 역할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다. 성인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자녀가 숫자와 한글을 더 잘 하기를 바랬으며, 아동중심적인 신념을 가진 어머니들은 교사가 유아의 정서발달을 도모하는 역할을 많이 해주기를 기대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their expectation toward child's efforts and teachers' rol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Participants were 234 mothers of 5 year-ol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on expectations to child's efforts in making friends, sports, numbers, and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expectation to teachers' role in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One way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have more child-centered-beliefs than those who have children attending institutions of secondary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others' expectation toward children's efforts due to maternal child rearing beliefs in children's numbers and letters. Mothers' child rearing beliefs and expectations of teachers' role have a difference in roles related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