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전 순환 정지 없이 시행한 총 폐정맥 환류 이상의 수술 교정

        한원경,조준용,이종태,김규태,장봉현,이응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

        배경: 초 저체온 하 순환 정지는 총 폐정맥 환류 이상을 수술하는데 있어 중요한 보조 수단이다. 그러나 초 저체온 하 순환 정지 하에 심장 수술을 하는 것은 순환 정지 후 신경계 이상의 위험을 동반하고 있다. 이에 완전 순환 정지 없이 총 폐정맥 환류 이상을 수술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에서 2004년 10월까지 10명의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해부학적 연결 이상의 위치는 심장 상부형이 7예, 심장형이 1예, 심장 하부형이 2예였다. 평균 심폐기 가동 시간과 대동맥 차단 시간은 각각 116.8 40.7분, 69.5 24.1분이었다. 수술로 인한 사망 예는 없었고, 합병증은 술 후 폐정맥 협착이 1예, 폐렴, 기흉, 창상 감염, 횡격막 마비가 각각 1예씩 있었다. 평균 16.6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폐동맥 협착이 없었던 모든 환아는 NYHA class I으로 지내고 있다. 결론: 총 폐정맥 환류 이상을 완전 순환 정지 없이 수술하여 아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개심술 후에 발생한 급성 복부 대동맥 차단 -1예 보고-

        한원경,이종태,조준용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0

        Acute abdominal Aortic occlusion is rare but it is a vascular emergency with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Therefore, delay in diagnosis can have severe impact on the prognosis. A 60-year-old women complained of paresthesia, paralysis, and severe pain in bilateral lower extremities on 13th day after open heart surgery for mitral stenosis, atrial fibrillation, coronary arterial stenosis, tricuspid regurgitation, and atrial septal defect. Her skin was mottled and cool from the umbilicus to the feet, and there were no palpable pulses in the lower exteremities. We diagnosed an acute abdominal aortic occlusion using the Multi-Detector Row Spiral Computed Tomography and successfully treated the problem with emergent thrombo-embolectomy and Aortobifemoral bypass. 급성복부대동맥 폐쇄는 드물지만, 응급을 요하며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이는 혈관질환이다. 늦은 진단은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승모판 협착, 심방세동, 관상동맥협착, 삼첨판 역류 및 심방중격결손으로 인한 개심술을 받은 60세 여자가 술 후 13일에 하지의 감각이상, 마비,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배꼽 아래부터 발끝에 이르는 피부가 얼룩덜룩하였으며 하지의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다중 검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급성 복부 대동맥 폐쇄를 진단하고, 응급 혈색전 제거 및 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폐에 발생한 뮤코르진균증의 외과적 치료 -1예 보고-

        이응배,한원경,김신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9

        Pulmonary mucormycosis is very rare but has a devastating opportunistic fungal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hosts. The infection usually occur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chronic renal failure, diabetes mellitus, or in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We experienced a case of pulmonary mucormycosis associated with renal cadeveric allograft recipient who had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with Amphotericin B therapy. 뮤코르진균증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 있어서 치명적인 기회감염을 일으킨다. 감염은 주로 혈액암, 만성 신부전, 당뇨 환자나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에게 일어난다. 저자들은 조절되지 않은 당뇨를 동반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폐뮤코르진균증을 암포테리신과 함께 수술적 절제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 KCI등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대량 일차성 자연기흉의 임상분석

        김병호,허동명,한원경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3

        Background: The clinical history and physical findings of the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depend largely on the extent of the collapse of the lung and the presence of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 Large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s a possible serious condition and so more active treatment will be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The therapeutic guideline for large pneumothorax remains controversial. Therefore, by assessing the clinical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large primary pneumothorax, we aim to determine the indicators of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 Among 348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August 2004 through December 2007, 58 patients who responded to treatment for a large primary pneumothorax wer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 then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operative findings and the surgical results. The patients with a pneumothorax of 80% or more, including those patients with tension pneumothorax, were considered to have a "large pneumothorax". Most of these patients should be treated with a 12F chest tube.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was considered for treating recurrent pneumothorax, continuous air leakage, controlateral pneumothorax and first episode pneumothorax with visible blebs (>1 cm) seen on the computed tomography. Result: There were 50 men and 8 women with a mean age of 28.2 years (range: 14∼54 years). The mean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5.3 days (range: 2∼10 days). Nine patients underwent chest tube drainage only. Forty-nine patients underwent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The mean follow up time was 27.8 months (range: 10∼58 months). The actual site of air leakage could be located in 35 patients (71.4%) and this was correlated with pleural adhesion (p=0.005). The initial air leakage tended to be more correlated with intraoperative air leakage, although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66). The recurrence rate was 11.1% for the patients with chest tube drainage and 2.0% for the patients with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Conclusion: Large primary pneumothorax requires an early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may help to prevent recurrence of large primary pneumothorax. 배경: 기흉 환자에 있어서 임상양상은 기흉의 양과 폐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존 폐질환이 없는 일차성 자연 기흉에서의 대량 기흉은 증상이 심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대량 기흉에 있어서의 치료 방침이 병원마다 다양하다. 따라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일차성 자연기흉 환자의 임상소견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차성 자연기흉으로 치료를 시행한 348명의 환자 중 대량 기흉 환자 5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흉강경소견 및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긴장성 기흉을 포함하여 흉부엑스선상 기흉의 양이 80% 이상인 경우를 대량 기흉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모두에게 12 F 흉관을 이용한 흉관삽입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재발성, 지속적인 공기누출, 반대편 기흉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초발인 경우에는 흉부단층촬영 소견상 1 cm 이상의 폐기포가 관찰되었을 때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남자 50명, 여자 8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8.2세(14∼54)였다. 평균 입원기간은 5.3일(2∼10)이었다. 49예에서 흉강내시경 수술을 시행하였고 흉관치료만 시행한 경우는 9예였다. 추적기간은 평균 27.8개월(10∼58)이었다. 술 장에서의 공기누출은 35예(71.4%)에서 관찰되었으며, 공기누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흉막유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5). 술 전 공기누출이 있는 경우 술 장에서 공기누출이 발견된 경우가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6). 재발율은 흉관 삽입치료를 시행한 9예 중 1예(11.1%), 수술을 시행한 49예 중 1예(2.0%)였다. 결론: 대량 일차성 자연기흉은 조기진단 및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흉강내시경 수술이 대량 기흉의 치료 후 재발을 방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Eculizumab 치료로 호전된 비정형 용혈요독증후군 1예

        김정현 ( Jung Hyun Kim ),한원경 ( Won Kyung Han ) 대한내과학회 2020 대한내과학회지 Vol.95 No.2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is a rare syndrome characterized by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thrombocytopenia, and acute renal injury, which results from uncontrolled complement activation. Delay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aHUS may result in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nd an associated dependence on dialysis. In extreme cases, it may cause death due to multi-organ failure. Eculizumab, a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against C5, inhibits the formation of the terminal membrane attack complex and is used to treat aHUS. Here, we report a 46-year-old male patient who suffered from aHUS relapse, despite prior treatment with repeated plasma exchange and hemodialysis. Eculizumab therapy improved his hematologic findings without use of hemodialysis. (Korean J Med 2020;95:124-1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