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례 왕벚나무 가로수의 조기낙엽 진단 및 친환경적 관리 방법

        한아름,진선덕,정길상,원호연,이영상,손세환,최성훈,강혜진,이일환,한아름 한국환경생물학회 201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7 No.4

        The Korean flowering cherry is a popular tree. However, the trees have started to defoliate early, including those in Gurye.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early defoliation and how to manage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fold: 1) to investigate the early defoliation of flowering cherry trees, 2)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flowering of the trees in response to treatment, and 3) to suggest an optimal treatment for the tre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Gurye at a site 3 km long with 102 flowering cherry trees along a street. There were three treatments: control,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secticide and a disinfectant (treatment 1), and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secticide, a disinfectant, and irrigation (treatment 2). The trees in Gurye were compared to trees on Jeju Island. The defoliation rates of the flowering cherry in Gury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n Jeju Island at each measurement time. Within Gurye, the defoli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es of the control than in the two treatments and only the trees in the control from Gurye had shot-hole disease. Post-treatment, twigs collected from the control during April showed significantly poorer growth, lower numbers of flowering buds per twig, and lower numbers of foliar buds. The trees given treatment 1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growth, number of total buds, flowering buds per twig, and density of buds than the trees given treatment 2.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s, it was established that early defoliation led to poorer growth, affecting the flowering of the trees. 이 연구에서는 주요 가로수인 왕벚나무를 대상으로 구례지역의 조기낙엽 현황 진단을 위해 제주도와 낙엽비율 비교연구를 진행하였고, 구례군에서 수행가능한 주요 가로수 관리방법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관리방법별 조기낙엽 지연효과와 피해를 규명하여 최적관리방법을 도출하였다. 구례지역은 기상청 단풍시기와 낙엽시기가 유사한 제주도 지역보다 같은 시기 낙엽비율이 높았고, 약제처리, 약제와 관수처리를 진행했을 때 구멍병이 방제되어 낙엽시기가 2주 지연되었다. 조기낙엽은 왕벚나무의 생장과 개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약제와 관수처리를 진행한 관리방법에서 생장이 가장 높았고, 2년 뒤 개화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왕벚나무 가로수의 조기낙엽을 지연시키기 위해 구멍병 방제가 중요하고, 조기낙엽이 수관의 발달과 개화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약제와 관수처리를 함께 처리하는 관리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신체활동 중재로써 모바일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과 SMS/MMS가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서상훈 여가문화학회 2017 여가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신체활동 중재 수단으로써 모바일 헬스케어가 현대인의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첫째, 신체활동 어플리케이션(S Health)의 활용이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모바일 기기 기반의 SMS/MMS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재가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주 평균 보행 수가 10,000보 이하인 성인 119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C그룹(Control Group, n=29), A그룹(Application Group, n=31), S그룹(SMS/MMS Group, n=30) 및 AS그룹(Application + SMS/MMS Group, n=29)으로 나눈 후 7주간 신체활동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는 변인으로써 모바일 헬스케어는 그 방법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신체활동량 증가에는 신체활동 어플리케이션과 SMS/MMS의 복합적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활동량 증가의 지속성은 신체활동 어플리케이션 + SMS/MMS의 복합적 중재, SMS/MMS 중재, 신체활동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생애 주기적 관점에서 신체활동 증진 및 건강관리를 위하여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스마트 폰을 활용한 신체활동 중재 방법은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mobile technology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효과적으로 도우며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이루어지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use and SMS/MMS as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on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ste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otaled to 119 individuals belonging to an age group between 20s and 40s with an average of 10,000 steps taken per week, they were divided into C(Control) group (n=29), A(Application) group (n=31), S(SMS/MMS) group (n=30), and AS(Application + SMS/MMS) Group (n=31) on which the 7-week intervention was conducted. Mobile healthcare, as a variable that affects physical activity of modern society, brings about diverse effects depending on its level of practicality. The synthesis of the application and the SMS/MM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and be long-lasting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n be long-lasting. In my personal point of view,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via Smart phone is worth its use in enhancing health and preventing illnesses of people in the 21st century. The Mobile Technology, in which South Korea has competitive advantage can be actively exploited in order to effectively aid people's well-being.

      • KCI등재

        미지형과 바람이 덕유산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수관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정종빈,박필선 한국농림기상학회 201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that was one of representative subalpine species in Korea, in the light of the effects of wind and micro-topography in its habitats on Mt. Deogyu, Korea. The prevailing wind directions were southwest and west at the study sites. We randomly selected P. jezoensis (height ≥ 1.5 m) on windward, intermediate, and leeward slopes and measure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height, crown length by 8 directions in upper, middle and lower sectors of the crown. We examined the micro-topography of P. jezoensis stood on and classified it into 3 types: type 1 was mounded and fully exposed to surrounding environments without neighboring trees; type 2 was somewhat wind-protected by surrounding rocks, but no neighboring vegetation; type 3 was on gentle slope or flat where P. jezoensis grew with neighboring trees or shrubs. The ratios of height to DBH, and estimated crown growth to actual crown growth (hereafter crown growth ratio)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types of micro-topography on windward, intermediate and leeward sites. The height growth per DBH and crown growth ratio in the upper and middle crowns were the smallest on the windward site, and the highest on the leeward site (p < 0.01). The crown growth ratio on type 1 on the windward site was only 46% of that on type 3 on the leeward site. Although on the same windward slope, trees on type 1 had more deformed crown shapes than that on Type 3, showing asymmetric crown cross-sectional areas. Wind and micro-topography played critical roles on the crown growth of P. jezoensis. 아고산 지역에서 지형은 바람과 일사, 토양수분함량 등에 영향을 주며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고산 지역에서 바람막이 지형이 가문비나무의 수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식지를 사면과 미지형에 따라 구분하고, 수고와 수관생장을 조사하였다. 아고산 지역의 가문비 나무는 서식지 내 바람의 영향과 미지형에 따라 수고 생장과 수관 생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람맞이 사면에서 수고 생장과 수관생장률이 낮았고, 바람맞이 사면의 홀로 돋아져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미지형에서 자라는 나무는 바람의지 사면의 주변식생과 함께 자라는 나무보다 수관 생장이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바람의 영향이 강한 곳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수관 생장이 억제되어 수관이 깃발형으로 발달하였다. 바람맞이 사면에서도 바람에 노출된 미지형 1 유형은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지피물이 존재하는 미지형 3 유형에 비해 수관의 기형이 심하였다. 본 연구는 바람이 심한 아고산 지역의 지형과 생장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문비나무의 분포와 생장에서 바람막이 지형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아고산 서식지 관리와 복원을 위해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사면과 지형별 분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동완구에 대한 색채 선호도 연구

        한아름,이현정,변재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0

        완구는 오래전부터 아동의 지능개발과 정서함양에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동은 완구놀이를 통해 정서적 ․ 지적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에는 완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아동의 정서적, 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오감 중에서 시각이 가장 민감하며 이 민감한 시각을 가장 자극하는 것이 바로 색채이다. 색채는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우리는 색채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는다. 완구의 색채는 시각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아동의 심리적, 생리적 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완구의 색채가 주는 역할은 완구의 기능성 못지않게 아동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에게 있어서의 완구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동과 완구 색채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연령에 따른 색채 선호도를 연구, 분석 하였다. 완구의 색채에 관한 연구 이므로 디자인, 기능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소를 제외하였으며, 아동의 범위는 4세 이상 7세 이하의 유아기 아동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아기 아동이 선호하는 색채는 대부분 먼셀의 주 5색 중 빨강, 노랑, 파랑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는 남자아이는 파란색을 여자아이는 빨간색을 좋아한다는 가정 하에 만들어지고 있는 시중 완구가 아동의 색채에 대한 지각의 폭을 좁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은 완구의 색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시선을 머물고 인식하게 된다. 완구의 구매자는 어른일지 몰라도 사용자가 아동이라는 점을 인식하여 아동의 연령대에 맞는 색채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여 이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여야 할 것이다. Toys are essential tools that help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ce mental ability by setting roles for children at an earlier age. Not only does the toy itself help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ce mental ability, but the col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toy help develope their ability to recognize everyday colors. The most sensitive of the five human senses is the visual sense. The right color will stimulate our visual sense thus producing the information. The visual effects the adolescence psych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refore the color help the functionality of the toy. In this study it shows that childre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lors that are associates with the functionality of the toy and the range of children over the age four to seven under the age if infancy was to limit the sco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ut of Mancell’s five main colors, the colors baby infants prefer mostly consist of red, yellow and blue. It seems that toys being sold in the market have been made under the universal assumption that boys like blue and girls like red which have narrowed the depth of perception. A child’s attention is caught and perceived subconsciously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toy. Although consumers are adults, noticing that users are babies, color systems should be developed and a variety of goods p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