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신일(Han Shin-il),김혜정(Kim Hye-jeong),이정연(Lee Jung-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3

        오늘날 세계적으로 교육의 위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대학들은 교육구조의 개편을 통한 총체적인 질 관리 노력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의 대학 또한 수행역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대학의 책무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육의 총체적 질관리 도구로써 강의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강의평가제가 시행된지 이미 10여년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평가척도나 효율적인 평가방식이 정착되지 않고 있어 많은 우려와 개선의 노력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br/>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최근의 강의평가를 둘러싼 국내외의 추세를 고찰하고, 외국대학들의 강의평가 사례와 국내 대학의 강의평가 운영 실태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들이 보다 바람직한 강의평가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 대학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강의평가 설문지와 운영지침문서의 수집정리 및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강의평가문항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전문성 확보,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의 참여도 및 성실도 유도방안, 강의평가형태와 운영방식의 다각화, 강의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대학문화 형성 등의 이슈를 제안사항으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tendencies of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to review previous researches on those of foreign universities, to analyze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by doing survey with questionnaires, and, finally, to make suggestions on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The major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are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s, survey, and document collections from Korean universities. 108 Korean universities and 8 foreign universit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Suggestions made for improving Korean universities' evaluation of teaching are to prepare professional personnel and well-organized structure for the evaluation, to concentrate on increasing reliability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valuation, to diversify contents, process, or usages of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university's situation, and to establish positive campus cultures on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 KCI등재

        국가간 대학의 교류 및 평가협력기구 비교분석 연구 - UMAP, ENQA, INQAAHE를 중심으로 -

        한신일(Han Shin-Il),현경석(Hyun Gyung-Seu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2

        본 연구는 고등교육 평가기구간 협력방안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국가간 상호 교류 및 평가 협력체제인 UMAP, ENQA 및 INQAAHE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로 평가기구간 협력체제 구축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 대학관계자 면담 등의 연구방법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시사점은 첫째, 국가간 상호교류 프로그램의 활성화함에 따라 대학간 교류가 가시적인 증대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ENQA의 창설은 고등교육 질 인증에 있어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추진된 소위 European Pilot Project에서 비롯되어, 고등교육에 있어서 질 인증에 관한 협력을 촉구한 유럽 정상회담의 권고가 그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셋째, 향후 실질적인 한국 대학교육의 세계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UMAP, INQAAHE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기 위한 정부와 대학 간의 공동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aratively three international networks of UMAP, ENQA, and INQAAHE and to give suggestions in order to help cooperation of quality assurance networks of Higher Education. For this study,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such as literature reviews, hearings from experts in higher education, and interviews with staffs of universities.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tell that: ①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interchange and cooperation programs among universities increases remarkable growth among universities of the world in terms of thei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quality, ② the establishment of ENQA contributes tremendously to share the experience of quality control of universities and to cooperate together for its improvement, ③ governmental efforts of utilizing programs offered by UMAP, ENQA, and INQAAHE are strongly required in order for univers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a practical sense.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2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의 관계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이 글에서는 이론-방법-자료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구도를 사회과학하기의 기본 틀로 잡고 논의를 시작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온 자료기반의 변화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전략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에서 자료가 차지하는 위치와 그동안의 변화 추세,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을 가져온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료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계속되어온 것이라는 점을 짚고, 그 연장선상에 빅데이터의 출현도 자리매김한다. 빅데이터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과학의 시제품 역할을 하면서 그 가능성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구글 독감추세예측 서비스를 취사선택의 필요성과 근거, 방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유용한 실제 사례로 검토한다. 이 논의들을 원론적 사회과학하기의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하고 이 비판적 검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글머리에 제시한 삼각구도의 요소들 각각의 내용과 상대적 비중, 그들 간 연결의 구조와 방향 등은 재조정되어야 하겠지만, 크게는 이 기본 틀의 개조와 확장을 통해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조심스러운 진단을 내린다. How do we do social sciences? It is a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more often. Commonly found in the various answers is a tripartite structure of theory-method-data. I ask the question yet again in the context of a recent and drastic change in the dat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Big Data.” Reviewing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I consider possible analytical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dat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Big Data, too, can be located in the continuum. To illustr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 describe the case of Google Flu Trends (GFT). These critical discussions suggest what to do with the Big Data-what to take and what not to and, when you do, how to. With adjustments and extensions, the theory-method-data tripartite structure still seems to be capable of providing a solid framework to integrate the potentials of Big Data.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의 관계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이 글에서는 이론-방법-자료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구도를 사회과학하기의 기본 틀로 잡고 논의를 시작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온 자료기반의 변화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전략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에서 자료가 차지하는 위치와 그동안의 변화 추세,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을 가져온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료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계속되어온 것이라는 점을 짚고, 그 연장선상에 빅데이터의 출현도 자리매김한다. 빅데이터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과학의 시제품 역할을 하면서 그 가능성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구글 독감추세예측 서비스를 취사선택의 필요성과 근거, 방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유용한 실제 사례로 검토한다. 이 논의들을 원론적 사회과학하기의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하고 이 비판적 검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글머리에 제시한 삼각구도의 요소들 각각의 내용과 상대적 비중, 그들 간 연결의 구조와 방향 등은 재조정되어야 하겠지만, 크게는 이 기본 틀의 개조와 확장을 통해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조심스러운 진단을 내린다. How do we do social sciences? It is a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more often. Commonly found in the various answers is a tripartite structure of theory-method-data. I ask the question yet again in the context of a recent and drastic change in the dat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Big Data.” Reviewing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I consider possible analytical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dat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Big Data, too, can be located in the continuum. To illustr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 describe the case of Google Flu Trends (GFT). These critical discussions suggest what to do with the Big Data-what to take and what not to and, when you do, how to. With adjustments and extensions, the theory-method-data tripartite structure still seems to be capable of providing a solid framework to integrate the potentials of Big Data.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한신갑 ( Shin-kap Han ),이상직 ( Sang-jic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생애사 연구자들은 대개 특정 사건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 생애 체험을 깊게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소수의 사례를 분석한다.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다수 사례의 생애사 자료로 생애이력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의 방식을 확장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하여 생애이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애사 시간표는 주로 생애과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자료수집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미 수집된 구술 생애사 자료를 조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나 연도 단위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축과 가족, 학교, 노동, 혼인 등의 범주로 구성된 주요생애 영역을 나타내는 축을 교차하여 만든 표에, 주요 사건의 발생 시점과 지속 기간을 표시하면 한 개인의 생애이력을 체계적으로 요약해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요약된 사례별 생애이력을 모아 유사한 생애이력을 가진 사례들끼리 묶으면 하위집단별 생애이력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개별 생애사의 특성을 집단 전체 생애사의 맥락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한다. The usual approach in life history research concerns how people understand and narrate their particular experience,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deep yet narrow focus on a small number of cases. As a result, how to organize, sort, compare, and map a large number of cases has yet to receive much sustained attention. We propose a method to scale it up-life history calendar.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applying it to repurpose existing oral history archive. The calendar we showcase here is constructed in tabular format to summarize individual information on various life history domains, such as family, school, and work, over time. Using the oral history archive data on 60 homeless people, we sort and group them to produce an interpretable framework that charts various paths to homelessness, and within which individual life history can be meaningfully contextualiz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 한부모가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적응유연성과 가족보호요인의 상관성 연구

        한신애 ( Shin-ae Han ),한춘남 ( Chun-nam Han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2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가족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수가 되는 부모와의관계, 가족지지 모두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보호요인이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와의 관계, 가족지지, 가족기능의 변수들이 특별히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밝혀지지 않았다. 넷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규범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학교규범준수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은부모와의 관계와 가족기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부모와의 관계,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었다.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and the following is family function. Second, the effect of family protection factors on the interest in the scho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family support.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of th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the family support, and the family function were not found to be influential.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with school norms,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family function, the better the adherence to school norm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parents was significant. This was to know how important parental relationship,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are in the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 공기압 관로의 집중정수계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신식(Shin Sik Han)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8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3 No.3

        The components of a pneumatic control system are connected through pipes, which are actually a distributed parameter system. Although the distributed parameter model produce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pneumatic pipes, its hyperbolic matrix functions are difficult to apply in practical c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that describes the dynamic behavior of pneumatic pipes with acceptable accuracy. To this end, this paper presents a simplified lumped parameter model in which the lumping is divided by pipe length. A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MATLAB/SIMULINK. The transient pressure variation in the closed-ended pipes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one-, two-, three-, four-, and ten-lump parameter models. Ther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pneumatic control system model incorporating the simplified lumped parameter model represents the physical structure of a pneumatic pipe, without complicating its mathematical description and the simul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