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CCS) 후보지 평가를 위한 단층 재활성 가능성 분석

        한승록(Seungrok Han),김민준(Minjun Kim),장찬동(Chandong Chang),임용수(Yongsu Lim),최인영(Inyoung Choi),우희정(Heejeong Woo)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석유공사에서는 “2050 탄소중립”의 일환으로 국책연구과제를 통해 CCS 저장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다부처에서 지원을 받아 “대심도 해양 탐사시추를 통한 대규모 CO₂ 지중저장소 확보” 과제에서 울릉분지를 대상으로 신규 유망구조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신규 CO₂ 지중저장소 확보를 위해서는 덮개암 및 지중저장소 인근에 분포하는 단층의 밀폐성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덮개암을 가로지르며 발달하는 단층은 단층암의 발달형태(fault breccia, fault gouge 등)에 따라 유체이동을 막는 차폐구조(barrier)로 작용하기도 하고, 단층을 따른 유체이동의 통로(conduit)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단층의 존재는 CO₂ 지중저장에 있어 그 자체로 큰 리스크이며 동시에 불확실 요소로 작용하므로 지중저장 대상구조 인근에 발달하는 단층이 덮개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동해 울릉분지에는 천부와 심부에 다수의 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원유가 집적되거나 CO₂ 지중저장소로 활용 가능한 전형적인 구조의 형태는 습곡에 의해 형성된 배사구조로, 울릉분지 내 주요 배사구조는 주로 돌고래 구조대를 따라서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분포한다. 돌고래 구조대는 마이오세 중기 동 지역에 작용한 압축력에 의해 형성된 구조로, 심부에는 대규모의 역단층이 발달하고 천부에는 구조대를 따라 주향이동단층 및 정단층들이 발달하고 있어 이들 단층의 특성과 재활성 여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단층의 안정성 분석을 위해 공사가 보유한 물리검층 및 이미지로그, 탄성파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응력방향 분석을 위해 FMI (Formation Micro Imager) 자료에서 Borehole Breakout 및 DITF (Drilling Induced Tensile Fracture)를 이용해 동 지역의 응력장의 방향 및 크기를 분석하고, 응력장과 단층의 방향성 간의 관계에 따른 단층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 연구 결과는 향후 신규 CO₂ 지중저장 후보지 선정시 덮개암 및 주변 단층의 재활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유망성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CCS 후보지 및 대상구조 도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 공주대학교 상시진로지도 모형 개발

        한승록(Han Seung Loc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학생들의 입학에서부터 졸업에 이르기 까지 진로 및 취업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시진로지도 모형 및 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공주대학교 진로 및 취업지도 현황과 요구 사항들에 대한 재학생, 교수, 졸업생 대상 설문지 분석과 국내ㆍ외 우수사례 밴치마킹 등을 통하여 공주대학교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 및 취업지도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스템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 및 취업지도 모델은 ① 진로인식단계, ② 진로탐색단계, ③ 진로결정단계, ④ 취업준비단계 등 네 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은 On-line과 Off-line 상에서 서로 조화롭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공주대학교 상시진로지도시스템(FAMS)은 CPMS(커리어포트폴리오관리시스템), LAMS(학술활동관리시스템), JAMS(취업역량강화관리시스템), MMS(멘토링관리시스템) 등 4개의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하도록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e Kong Ju National University’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system(Future Ability Management System : FAMS). The system would be useful for college students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o search and decide their career during their being at KJNU. The system was developed to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The process of career guidance in the system has four phases, career perception phase - career search phase - career decision phase - work preparation phase. And the system has four sub-parts, CPMS(Career Portfolio Management System), LAMS(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 JAMS(Job 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MS(Mentoring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good effect of the system, these four parts would be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 KCI등재

        위키 기반 협력적 성찰일기를 통해 본 예비교사들의 성찰적 사고 탐구

        한승록(Han Seung Lock),원지영(Won Je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이 학습내용에 대하여 협력적 으로 성찰일기를 작성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그들이 생성하는 성찰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찰적 사고 유형과 학업성취도 간 상 관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협력적 성찰일 기 작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5명의 예비 교사들이 15주 동안 총 8회 모둠별로 작성한 40편의 성찰일기, 학업성취도 평가지, 및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alli(1997)의 성찰 유형 모델을 수정·보완한 분석 틀을 이용하여 예비교사들이 생성한 성찰적 사고 메시지를 방법적 성찰, 숙고적 성찰, 개인적 성찰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메시지 빈도수를 조 사하였더니, 방법적 성찰 (74%), 숙고적 성찰 (22%), 개인적 성찰 (4%)의 순으로 메 시지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방법적 성찰 메시지 빈도수와 학업성취도 수준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r=.438, p<.05), 이는 성찰 일기 작성이 학습 내 용을 더욱 깊이 이해하기 위한 학습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협력적 성찰일기 작성 과제가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고 다양한 관점으 로 교육현상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are utilized when pre-service teachers write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using Wiki. For this study, twenty-fiv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ifteen-week-long teacher education course. Through the course, they produced eight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per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the authors modified Valli (1997) s typology of reflection and used the modified framework to categorize the types of reflection, which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in their collaborative reflective journal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y of each type of reflection and the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Pearson s product moment co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PSS12. Also,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figure out how pre-service teachers think on writing reflective journals collabor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pre-service teachers produced reflective thinking messages as follow : reflection on methods (74%), deliberative reflection (22%), and personalistic reflection (4%). Second, there was a co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of reflection on methods and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r=.438, p<.05). Third, through the open-ended questionnair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y favored the use of collaborative reflective journals because it helped them to facilitate their learning processes, to think on teaching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to analyze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wider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 웹 기반 협력적 성찰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송정숙(Jung Sook, Song),한승록(Seung Lock, Han)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수업행동 발달을 위한 적합한 전략개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대학생들의 수업행동 발달은 사범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강좌에서 주로 다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사이버 공간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등 학습 참여자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웹-기반 협력학습의 측면과 학습과정에서 동료 학습자들 간의 성찰적 과정을 통하여 사고를 구체화해간다는 협력적 성찰과정을 접목한 웹-기반 협력적 성찰학습모형을 구안하여 사범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의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학습자들이 인터넷이나 SNS를 활용한 웹 블로그 상에서 수행한 다양한 협력적 성찰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하였다. 연구의 결과 웹 기반 협력적 성찰학습에서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웹 블로그를 활용한 소집단 협력적 성찰학습의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강의 위주의 수업을 수행한 비교집단에 비하여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으며 수업만족도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실험집단에서 비교적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the effect of Web-based collaborative reflection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of education. Because Web 2.0 is useful tools to help students share information and promote interaction each others in cyberspace and small group collaborative reflection learning is a representative learning method recommended in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Web-based collaborative reflection learn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than the traditional teacher - centered lecture method,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the class was also higher than the on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learning strategy of small group using Web-blog should be considered as a desirable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in college of education.

      • 초등학생의 독서활동과 창의성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

        송정숙(Song Jeong Sook),한승록(Han Seung Loc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독서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 동안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독서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차례 수행된 적이 있으며, 이들 선행연구들에서는 독서활동은 아동의 창의성 발달, 지적 능력의 발달, 사회성 발달, 긍정적 자아개념의 발달 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동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입하고 있는 변화된 학습 환경에서 독서활동의 여하가 아동들의 창의성이나 학업적 자아개념 등과 긍정적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자료들 역시 아동들의 창의성 발달, 사회성 발달, 지적 발달 등과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기도 하며, 또 한편으로는 그 역기능으로서 아동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입함으로써 독서활동에 소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아동교육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독서활동이 높고 성적도 높았으며, 독서활동의 수준은 창의성 발달 및 학업적 자아개념 발달과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ading educa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and creativity, academic self-concep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based on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e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ad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academic results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s there an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and creativity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n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and academic self-concep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author conducted test of reading behavior, creativity test and test of academic self-concept with 321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rs who are attending H and 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first hypothesis,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read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pproved. In other words, the score of read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 when the group had higher academic results and their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above graduate school’. Second, the second hypothesis, “The group with higher reading score would show greater creativity among the elementary students,” was approved also. In other words, the creativity score of the high-ranking group in read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ranking group. In addition, the sub-domains of reading behavior that outlines creativity significantly were reading interests and reading strategies. Third, the third hypothesis, “The group with higher reading score would show greater academic self-concep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pproved too. In other words, the academic self-concept score of the high-ranking group in read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ranking group. In addition, the sub-domain of the reading behavior that outlines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ly was reading interests. The fou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behavior and creativity, academic self-concep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at good reading habits in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will be maintained throughout their life. If reading education to enhance their reading behavior is conducted intentionally, it will increase their creativity and academic self-concept.

      • KCI등재

        부산 고촌지구 문화유적지의 용도해석을 위한 지질학적 접근

        이민주 ( Min Joo Lee ),한승록 ( Seung Rok Han ),백인성 ( In Sung Paik ),김영석 ( Young Seog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9 지질공학 Vol.19 No.3

        연구지역은 ``부산 고촌 택지개발사업지구``로 지정되어 부지를 정리하던 중 ``삼국시대``를 비롯한 다양한 시대의 많은 문화유적들이 발굴된 곳이다. 이 지역은 고고학적 중요성이 인정되어 정밀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분석과 발굴시 절취된 퇴적단면에 대한 정밀 단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밀격자분석에서는 유적지의 시대별 퇴적특성과 인위적 굴착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연구지역 내에서 발견되는 일정한 크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많은 타원체역들은 그 특성을 파악하고, 성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지역은 주변 지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와 완만한 지형적 기복을 보인다. 이 지역에는 단층으로 추정되는 남-북 방향의 선형구조가 집중되어 조사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좌우하는데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연구지역 내에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많은 관정의 분포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해석되었다. 단면에서 인지되는 퇴적층들은 여러 층으로 구분이 될 수 있는데 이들 중의 일부는 인위적인 작용의 흔적을 보여준다. 또한 특징적인 역들은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졌거나 수집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문화재 지역에서의 지형적, 지질학적 분석과 연구는 문화 유적지의 입지에 지형적, 지질학적 요소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었고, 특징적인 석기들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이제까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지질학적 방법을 통한 고고유물에 대한 연구가 고고학의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Many cultural heritages with various periods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discovered in Chulmamyeon, Busan. Detailed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due to archaeological importance of the study area. Aerial photographic analysis for geomorphology and analysis of vertical sedimentary sections to interpret the sedimentary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out. Many pebbles with specific features were discovered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pebbles are analysed based on their size, rock type and shape.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a relatively low and gentle slope compared with neighboring regions. The strong N-S trending lineaments may influence the topographic features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discovered in this area. The exposed sections during excavation are divided into several layers depending on colors and materials included. Some of the layers may be developed not by nature but by human activities. The similarity of the pebbles indicates that these pebbles may artificially be collected or produced for a specific purpose. This study shows that geomorphology and geology can be important in location and development of archaeological sites.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 the origin of the pebbles indicates that geological studies can be helpful to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studies.

      • 평생교육전담기관의 네트워크 실태 분석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홍재호(Hong Jae Ho),한승록(Han Seung Lok),이달우(Lee Dal Woo),양병찬(Yang Byung Chan)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교육연구 Vol.19 No.-

        평생교육법 개정으로 국가 차원의 평생교육전담기관들이 설치되었고, 중앙과 시·도, 시·군·구 세 단계의 전담기관들이 수직적으로 연계되었으며, 각 지역별로 다양한 평생학습기관·단체 간의 수평적 연계를 갖도록 구조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각 기관 간 연계 구조는 물론 그 기능의 활성화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지역의 평생학습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하였다. 평생학습관의 담당자들은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역에서 각 기관 간의 소속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이해관계의 차이를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설문 분석 결과, 기관의 인식 부족이 지역의 평생교육 네트워크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파생되어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평생교육 네트워크 활성화의 과제로 1) 평생학습관의 역량 강화, 2) 평생교육 부서 및 평생교육사 배치, 3) 평생교육 예산 확대, 4) 타 기관과의 협력 강화, 5) 네트워크 협의체 조직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Law of Lifelong Learning, a number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centers were set up, and the lifelong learning centers of Seoul, city-province, and city-county- district are vertically connected, and the various regional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communities are horizontally connected in its structural system. Even though these legal and regulatory foundations were prepared, there are lots of emerging problems in activation of its functions as well as the connection structure among the center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analys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lifelong learning network by targeting personnel in charge of the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Choongnam Province. The personnel in charge said that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the centers caused by their different command lines was the main factor deteriorating the activation of regional lifelong learning.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enters themselves is another derivative factor worsening the regional lifelong learning.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is study is proposing the following 5 items as action items for activation of regional lifelong learning network; 1) Reinforcing the capability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2) Assigning lifelong learning department and lifelong learning counselors, 3) Expanding the budget of lifelong learning centers, 4)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other centers, 5) Organizing network negotiation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