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고통의 시대와 저항담론으로서의 불교사상 -197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서의 불교사상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순미 ( Soon Mi Ha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2 호남학 Vol.0 No.51

        이 글은 70년대 이후 한국문학 작가들이 고통의 시대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저항담론으로서 불교사상을 어떠한 맥락에서 수용하였는지를 읽고자 했다. 작가들은 불교사상에서 암울한 시대 상황에 맞서는 민중사상의 바탕을 마련하고 이를 미학적인 실천의 원리로 수용함으로써 민중문학의 저항담론을 견고하게 다듬어 나갔다. 미륵사상은 70~80년대를 가로지르는 한국문학의 대표적인 저항담론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작가 송기숙, 고은, 김지하에게 미륵사상은 민중주체에 의한 현실사회의 개혁을 이루어 새로운 미륵세상, 즉 이상사회를 구축하는 사상적 힘이었다. 이어서 작가 한승원, 송기숙, 윤흥길, 문순태의 소설에서 미륵설화와 미륵신앙이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소설에서 미륵은 역사적 고통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을 드러내는 매개적 장치이다. 미륵은 언젠가 새로운 세상이 올 것이라는 희망의 징표이기도 하지만 그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비극의 징표이기도 한 것이다. 조정래의 소설 『대장경』은 고려대장경이 무신정권의 정치적 이용물의 하나로 추진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수기대사의 비판적 시선을 통해서 유신독재 하에서 지식인 작가가 지켜내야 할 저항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정치권력에 대항하여 사실을 기록하려는 화가 솔거의 저항적인 예술가의 형상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고은의 『화엄경』에서 제출하고 있는 주요한 물음을 민족문학 작가들이 현실문제에 대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던 작업과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그 대안으로 화엄사상과 대승불교의 보살사상, 즉 평등과 사랑의 실천을 제기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었다. 70년대 이후 한국문학 작가들은 불교사상의 전통을 재해석하면서 문학적 저항담론을 마련해 왔다. 그 가운데 작가들이 호남의 미륵사상에 특별한 관심을 둔 것은 호남의 불교사상이 지닌 오랜 저항적 흐름과 의향 호남의 문화표상이 한국문학 속에 자리한 흔적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호남 불교사상과 현대문학이 공유한 정신사적 궤적과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있었다. 아울러 저항담론으로서의 불교사상은 자본주의적 근대화를 극복하고 대안적 근대성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따라서 한국 현대문학에서 불교사상이 어떻게 수용, 지속되어 왔는지를 살피는 연구는 지역문학과 한국문학의 사상적 변화를 가늠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금 한국 사회가 처한 공동체, 다문화주의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연구에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ad how and in what contexts the writers of Korean literature have accepted Buddhist thought as resistance discourses to cope with the age of suffering since 1970`s. The writers established the basis of people`s thought from Buddhist thought against the dark situation at that time, and accepted that as the principle of aesthetical practice to solidify resistance discourses of people`s literature. Maiterya thought can be told enough to be a representative resistance discourse of Korean literature over 1970`s through 1980`s. For writers such as Song Ki-suk, Go Eun, and Kim Ji-ha, Maiterya thoughts was ideological power to establish an ideal society, that is, new Maiterya world through social revolution by the people. And then, the study researched the acceptance patterns of Maiterya tales and beliefs shown in the novels written by Han Seung-won, Song Ki-suk, Yoon Hong-gil, and Mun Soon-tae. Maiterya in their novels is a mediate device revealing the reality of historical suffering. Maiterya is a hopeful sign that will bring a new world someday, but it also a sign of tragedy not realized yet. Jo Jung-rae`s novel『Daejangkyeong』(meaning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 in Korean) suggests that Koryeo Daejangkyeong was promoted as a political use by the Military Rule. Through Suki Daesa`s critical point of view, it shows the resistance that intellectual writers should keep under Yushin Dictatorship. This is connected to artist Solgeo who painted the fact in his pictures against the political power. Lastly this study interpreted major questions in Ko Un`s『Little Pilgrim』(Hwaeumkyeong in Korean) in connection with the work that writers of national literature tried to find a solution of practical problems. The alternative was Hwaeum Thought and the Bodhisativas` thought of the Mahayana, that is, the practice of equality and love. Since 1970`s, the writers of Korean literature have showed literary resistance discourses, re-interpreting the tradition of Buddhist thought. Especially, the writers had interest in Maiterya thought of Honam area, which is the sign of long resistant flow that Buddhist thought has and cultural representation of Honam as the hometown of justice in Korean literature. At the point, we can understand the trace and depth of spiritual history that Honam`s Buddhist thought and modern literature share between them. In addition, Buddhist thought as resistance discourses was an effort to overcome capitalistic modernization and to find an alternative modernity. In conclusion, the study to research how Buddhist thought was accepted and continu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s not only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oughts of local and Korean literature, but also to be helpful for the researches to find a solution of practical matters Korean society currently has such as the community and multiculturalism.

      • KCI등재

        바다, 몸과 글쓰기의 친화력

        한순미(Han, Soon-Mi) 동남어문학회 2010 동남어문논집 Vol.1 No.30

        Kijogae, written by Seungwon Han, falls into the category so-called Novels about novelists, as it pores upon the theory of world-formation, existence of novelists and novel writing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convergence where the discourses on the writer's own body and writings meet. This guarantees the metaphor of the ocean to preoccupy the very center of literary philosophy of Han from the early works. The ocean in Kijogae closely relates to the inquiries into which pursuit the very existence of the writer (or his/her body) and the essence of the world, searching for what contributes to retrieving them. Throughout the story, ‘Sora Huh’ represents the writer, suggesting the emptiness of universe and herself by “Huhbang”, the area she lives, and liquidity as her characteristic. This emptied body is directly related to “Tadhuh”, a Taoist concept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of universe. Furthermore, this concept of the ocean approaches the universe to the coalition of visible world and invisible one. Han tailors the writer who effectively reveals the convergence at which the dichotomous concept converse and the writing process in which all these events take place. The vague boundaries between the ocean, the body and the writing process engender the disposition of the writer and writing process in Kijogae. Han enlarges the metaphor of the ocean, his unique concept for an extended period, into mythical imagination, Buddhist and Taoist thoughts, so that he can explore the alternative rendering as the combination of ecology and writing process essentially on the basis of eastern philosophy. Han achieves outstanding esthetic value in Kijogae by arranging of the metaphor of the ocean and characters effectively. Thorough studies on Kijogae kindle the desire to ponder other historic character fictions such as Heuksando Hanulkil, Wonhyo, Chusa and Dasan which establish extraordinary formations and this article will be the ground-breaking work for them.(Chonnam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논문 : 나변(那邊)의 거울 -김현 비평 속의 "나"와 그 주변

        한순미 ( Soon Mi Ha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감성연구 Vol.2 No.1

        이 글은 김현 비평 속에 등장하는 ``나``라는 인칭어를 통해 그의 비평적 사유의 궤적을 살펴보기 위해 쓰였다. 그의 글 속에 든 ``나``라는 주어는 ``우리``라는 복수 인칭어와 대비되면서 특별한 문법을 가진 말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김현 비평에 들어 있는 ``나``는 하나의 목소리를 지닌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로 떠도는 여러 사람의 목소리로 겹쳐 들린다. 『나르시스 시론』에서 김현은 나르시스 신화를 분석하는 가운데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시인이란 누구인가``라는 두 가지 물음을 내놓는다.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이 곧 자기 자신은 누구인가를 찾아가는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가 해석한 나르시스의 우물은 파우사니아스와 오비디우스의 문학적 시선에 의해 더욱 깊어졌다. 그 우물은 반성적 성찰이나 재현의 도구가 아니라 기억의 심연, 죽음의 공간으로 연결된 무격(無隔)한 우물이었다. 이 우물은 그의 비평적 사유를 이루는 주요한 문제들이 된다. ``만남``이 없이는 ``나``일 수 없는 것이고,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시인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은 ``만남``이 없이 대답할 수 없는 것이다. ``만남``의 문제는 김현 비평의 대표적 수식어가 된 ``공감의 비평``이 어떻게 실천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피게 한다.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을 분석한 네 편의 글은 조금씩 다른 질문들을 제기하는 가운데 미세한 해석의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들은 완전히 단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연속되어 있어서 하나의 문제의식을 해결해가는 탐색구조로 읽힌다. 네 편의 글에 등장하는 ``나``는 질문에 곧바로 답하는 것을 미루면서, 또 다른 질문을 향해가는 망명자에 비견된다. 이에 비추어 볼 때 그가 말한 ``공감의 비평``이란, 비평가와 실제 작가와의 만남 이 아니라 ``작가의 의식``과의 만남을 통해, 하나의 해석을 향한 정주(定住)의 읽기가 아니라 어떤 해석을 열어가는 망명의 읽기라 할 수있다. 그는 만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화, 철학, 문학, 미술의 영역을 넘나들고, 비평과 에세이의 장벽을 무너뜨린다. 김현이 마그리트와 푸코 사이에서 쓰고 있었을 글은 고통``하는`` 고흐의 그림에 근접해 있었을 것이고, 고흐의 그림은 고통``하는`` 문학에 다름 아니었을 것이다. 김현의 비평은 고통하고 망명하는 한 사람의 여행기였다. 달리 말해 한 사람의 역사를 나날이 성실하게 기록한 일기였다. 그의 ``여행기``는 자기 자신을 가장 멀리서 가장 깊숙하게 비추는 거울이었다. 그의``일기``는 내밀한 고백이 아니라 글쓰기의 고독이 주는 두려움과 고뇌로 인하여 써진, 문학의 극한을 견디려는 시도였다.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range of insight of Kim Hyun, especially the one placed on ``I``. This ``I``, making an opposite pair with plural pronouns, holds special meaning. It is not just singular person, but plural existence wandering around to look for ``answer``. In "Narcissus Poetics", Kim Hyun places two questions of ``Who am I?`` and ``Who is the Poet``, analyzing myths. The question asking what the poem is, takes place along with the one on the identity. The well of Narcissism Kim ponders over is deepened bythe meanings Pausanias and Ovidius impose. This well framing critical insight of Kim``s, is connected through endless memory and the realm of death, rather than the means of representation or reflection. The question ``Who am I?`` can``t be answered without one "Who is the Poet", as ``I`` can``t exist without ``encounter`` to others. The issue of ``encounter`` leads us to wonder how Kim is motivated to practice ``Sympathetic Criticism``. For instance, Kim`s four different ways of analyze Seoul, winter 1964 show minute disparity. They collaborate on a singular aim with pursuing continuously. ``I`` in these articles is compared to an exile who deliberately delays an immediate answer and directly goes on for another question. This means Kim`s ``Sympathetic Criticism`` refers to reading in a state of exile seeking to trailblaze interpretations, rather than in a fixed quest for a singular answer, by encounter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not physical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ssue of encounter, Kim explores various fields including Myths, Philosophy, Literature and Arts, getting rid of barrier between criticism and article. One might say the article Kim writes by inspiration of Magritte and Foucault is close to the painting of Gogh, therefore his painting can be in the territory of literature, ``suffering``. The criticism of Kim Hyun is a record of an exile. In other words, it is a journal of a person``s archaeology. It is a mirror which reflects the innermost part of himself. It attempts to endure the limit of literature, delineating the fear for the solitude writing poses, not mere making a confession.

      • KCI등재

        나무 - 몸 - 시체 - 5.18 전후의 역사 폭력을 생각하는 삼각 운동 -

        한순미 ( Han Soon-m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이 글에서는 나무-몸-시체, 이 삼각 구도를 오월 전후에 지속된 역사 폭력을 사유하는 근본 형식으로 삼으려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월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작가 임철우, 공선옥, 한강의 최근 작품들에서 역사 폭력이 남긴 고통의 잔해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읽고 증언의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려는 시도이다. 증언은 일차적으로 눈, 귀, 입을 비롯한 몸의 감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보는 자, 듣는 자, 말하는 자를 전제한 발화 행위로 이해된다. 여기에서 출발해 우리는 증언이란 무엇이며 증언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라는 물음을 제출할 것이다. 이들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소문, 이야기, 소리, 노래, 유령, 환상 등은 기나긴역사 폭력의 흔적을 증언하는 장치들이라는 점에서 주의 깊은 독해를 요구한다. 소설 속의 증언은 증언과 사유의 영역을 넓힌다. 5.18 전후의 역사 폭력을 생각한다는 것은 그날 이전과 이후를 동시에 말함으로써 혹은 말하지 못함으로써 나아가 말하지 않음으로써 무엇인가를 계속하는 말하는 행위이다. 이것은 어떤 발언의 시작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5.18 민주화운동’이라는 공식 명칭에서, ‘운동’은 단지 ‘정지’와 반대되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움직임이 머물러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명사형이 아니라 어딘가로 흘러갈 것인지 도무지 예측할 수 없는 저항의 몸짓이자 꿈틀거리는 생각을 뜻하는 현재진행형동사로 새겨 읽어야 한다. 애도는 끝없이 계속 될 때에만 진정 애도다. 결코 닿지못할 그 거리의 풍경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사라진 말들의 문턱에 이를 수 있을때까지, 그 기약 없는 기다림 속에서 지속해야 할 사유의 운동. This study set a triangle structure of the Tree-Body-Corpse as a basic form of thinking about the historical violence continuously shown during the period around May 18. Based on that, the study tried to read how the painful remains caused by the historical violence are presented in the late works written by Lim Chul-woo, Gong Sun-ok, and Han Gang who hav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the May, and to rethink of testimony. As we know, testimony is made primarily through one’s sensory system such as eye, ear, and mouth and understood as an utterance requiring the one who watches, the one who listens, and the one who tells as its prerequisites. Beginning the point, we can question what testimony is and how it functions. To do so, there needs quite careful reading in that a rumor. story, voice, song, phantom, fantasy, etc. are tools frequently used in their novels to testify the evidence of long historical violence. The testimony in the novels extends the scope of testimony itself and thinking. What we think of the historical violence around 5.18 (May 18) is an act to keep telling something by saying both right before and after the day at the same time, or being unable to say, or not saying. That is a beginning of a certain utterance. At the point, the‘Movement’shown in the formal name of‘5.18 Democratization Movement’is not a simple word as the opposite of‘Standstill’. It is not a noun form implying a staying state, but a verb form of present continuous tense implying a resisting gesture not to expect where to go and a wriggling thought. We should read that. Mourning is real only when it keeps going. In order to enter the scene out of reach, it requires our continuous movement of thinking with expectation without any promise until we get to the threshold of the lost words.

      • KCI등재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한순미(Han Soon-M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8 No.-

        임철우의 소설은 이렇게 묻는다. 우리 곁에 살았던 그들은 왜 갑자기 사라지게 되었는가. 우리는 왜 그들의 얼굴을 아직 잊지 못한 채 여전히 고통받고 있는가. 그리고 우리는 왜 그들의 얼굴을 잊지 않아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을 안고, 작가 임철우는 해방 전후에서 5ㆍ18에 이르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해 왔다. 해방, 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미체험 세대’로서 역사적기억을 쓴다는 것은 상상력으로 추체험된 허구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러나 임철우의 소설이 우리에게 주는 울림은 역사적 사건을 직접 체험한 세대의 작가들과 다른 방식으로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에서 찾아진다. 임철우의 소설은 광주 오월에서 겪은 고통의 강도를 해방 이후의 역사적 기억 전체로 확장하면서 그 폭력의 강도를 반복적으로 현재화한다. 특히 아이, 여성, 노인 등 주변부적 존재들의 역사적 경험을 섬세하게 다루어 공식역사에 포함되지 못한 주변부의 망각된 흔적들을 드러낸다. 그의 소설에서 반복되는 이미지, 감정, 공간, 에피소드, 등장인물 등은 모두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는데, 그 중에서 “저주”의 감정과 “낙인”의 이미지, 주요 공간인 “고향섬” 등은 각별한 해석을 요한다. 2장에서 읽어본 바와 같이 임철우의 소설은 노인, 아이, 여인 등 주변부적 존재들이 감지하는 정체불명의 것들과 그들의 ‘몸’에 나타난 병적 징후를 통해서 역사적 폭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환기시킨다. 유령들의 회귀가 계속되는 한, 현재는 고통이 지속되는 과거이며 도래할 미래 역시 역사적 고통이 반복되는 과거의 연장일 뿐이다. 이 글의 3장에서는 ‘저주의 낙인’이 찍힌 ‘나’의 정체성을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동백꽃’ 에피소드를 통해 읽어 보았다. 이 에피소드는 ‘빨갱이’가 ‘문둥이’로 변형된 흔적을 담고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역사문화적 맥락에 의해 독해함으로써 주변부적 타자들이 이데올로기적 희생양으로 낙인찍힌 과정을 함께 엿볼 수 있었다. 동백꽃 에피소드는 저주의 낙인이 찍힌 정체성의 기억과 연관될 뿐만 아니라 지배권력 담론이 소외시킨 변두리의 기억을 복원하는 일종의 ‘대항기억’의 서사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4장에서는 임철우의 소설에서 마련한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한 구원의 서사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역사적 트라우마를 벗어나지 못한 모든 역사적 희생양들을 위한 제의는 진정한 구원과 화해의 순간을 끊임없이 연기하면서 그것은 곧 새로운 역사적 기억의 쓰기를 요청하는 시작점이 된다. 임철우의 소설이 주변부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은 그것을 진정 망각하기 위해서 그것을 새롭게 기억해야 한다는 역설을 함축하고 있다. 그의 소설은 주변부적 존재들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반복해서 다루면서 역사적 기억이 쉽게 망각되는 것에 저항하면서 진정한 망각의 지평으로 나아가기 위한 역설적 시도라 할 수 있다. In his novels, Lim Cheol-Woo consistently casts questions: “what made the people who used to be around us suddenly disappear?”, “How come do we fail to forget them and suffer from the remembrance?”, and “Why are we bound not to forget them?” are those. These questions delineate the purpose of Lim's writings, which is spinning around the historical trauma ranges from the Liberation to Gwangju Uprising. Since he belongs to the ‘inexperienced generation’ of the Liberation and Korean Civil war, he is bound to depend largely on the reenactment of imagination to describe those events. Lim presents the historical trauma with certain refle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who witnessed the events and therefore, is precisely genuine. Repetitively drawing the pain of Gwangju into the present sphere, Lim Extends the pain of Gwangju to the one of the whole history ever since the Liberation. Lim also places an emphasis o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marginal existences such as children, women, and old people, who easily end up being subjects to oblivion of people due to their not being included in the official history. In addition to this trait, Lim's novel requires pondering over the narrative which reveals historical trauma through repetitive images, emotion, space, story and characters of especially elevated complexities on the concept of “Curse”, image of “Stigma,” and the “Native land” as primary setting. As considered in the chapter 2, Lim's works remind readers of the continuous violence through unidentified things detected by the old people, children and women, the marginal existences and symptoms appear on their ‘body’. As long as the ghosts haunt, the present cannot escape from the continuum of painful past and the future also, being an extended past of festering conflict. Chapter 3 devotes to the identity of ‘I’ with ‘stigma of curse’ from ‘Camellia’ episodes, which bear the marks of ‘the red’ became ‘the leprous’ through the context of history and culture, in which the marginal others are stigmatized as scapegoat of ideology. ‘Camellia’ episodes not only is closely related to the remembrance of identity with stigma, but also function as narratives of counter-remembrance for retrieving the remembrance of margin, which the domineering discourse has deliberately alienated. Chapter 4 focuses on the narrative of salvation for both the dead and alive Lim claims in the novel. Consistently deterring the unhurt salvation and settlement, the ritual for all historical scapegoats, which have failed to escape the historical trauma requires wholly new start of the narratives on the historical remembrance. Lim's novels is labeled to implicate paradox, which asserts that we are to remember in order to be completely oblivious. It aims at the genuine oblivion via repeating the historical trauma borne by the marginal existences and resisting complete wiping out.

      • KCI등재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성 임무 스케줄링 최적화

        한순미(Soon-Mi Han),백승우(Seung-Woo Baek),조선영(Seon-Yeong Jo),이대우(Dae-Woo Lee),김해동(Hae-Dong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0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6 No.12

        본 논문에서는 위성 임무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위성 임무 스케줄링은 위성에게 요구된 작업들과 그에 따른 제한사항 및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호간의 시간, 조건 등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위성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작업시간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성 임무 스케줄링은 요구되는 업무량이 많고, 제한조건들이 다양할수록 필수적이나, 스케줄링 기준 및 능률성은 위성의 운용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운용목적이 다른 위성들에 대해 목적함수 내 가중치 조정 및 유전 알고리즘 연산자의 조합에 따라 적용한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위성의 스케줄링 문제에 응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A mission scheduling optimiz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atellite operations is developed using genetic algorithm. Satellite mission scheduling is making a timetable of missions which are slated to be performed. It is essential to make an optimized timetable considering related conditions and parameters for effective mission performance. Thus, as important criterions and parameters related to scheduling vary with the purpose of satellite operation, those factors should be fully considered and reflected when the satellite mission scheduling algorithm is developed. The developed algorithm in this study is implemented and ver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simulation study.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algorithm can be applied into various type of the satellite mission operations.

      • KCI등재

        “달과 별이 없어도 밝은 밤” : 한센병의 감각과 증언

        한순미(Han, Soon-mi)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질병은 몸의 감각을 바꾼다. 병든 몸은 이전과 다르게 감각하고 사유한다. 질병은 곧 신체, 사물, 자연, 시간, 공간 등을 인식하는 새로운 조건이 된다. 이 글에서는 한센인의 자전적 기록을 한센병의 감각으로 쓴 몸의 증언으로 읽고, 느낌과 생각을 어떻게 말하고 쓰고 있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한센인의 자전적 기록은 체험과 기억, 자전과 허구가 중첩된 증언이면서 이야기이다. 거기에는 한센인만이 아니라 일반인의 기억과 인식이 함께 얽혀 있다. 한센인의 자전적 기록은 역사적 증언이기 이전에 한센인의 실존적 성찰과 존재론적 물음이 담긴 고백록이기도 하다. 증언의 사실성과 역사성을 중시하는 시각에서 보면 한센인의 감각, 감정, 이미지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며 사소한 것들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한센병의 감각으로 사고하고 표현된 것들은 증언의 여백을 보충한다. 한센인은 질병, 신체, 사물, 장소를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 한센병의 감각은 몸과 세계를 어떻게 이미지화하고 상상하고 표상하는가. 이러한 물음을 통해서 한센인의 자기정체성을 비롯해 한센병에 걸린 이후에 가족, 고향, 사랑에 관한 감정적 단절과 변화, 고독과 시름 등 감각의 다른 사용을 볼 수 있다. Disease changes the body s senses. The diseased body senses and reason differently than before. Disease becomes a new condition to recognize the body, things, nature, time, space, etc. In this article, we read the autobiographical records of the Hansen people as testimony of the body written with the sense of Hansen s disease, and look at how they speak and write their feelings and thoughts. Hansen s autobiographical record is a testimony that overlaps experiences, memories, autobiographies and fiction. It is intertwined with the memories and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Hansen. Hansen s autobiographical record is also a confession of Hansen s existential reflection and questions before it is a historical testimony. From a perspective that values the realism and historicality of testimony, Hansen s senses, emotions and images are extremely personal and can be considered trivial. However, the thought and expressed things with the sense of Hansen s disease supplement the margin of the testimonies. Hansen, how do you feel and think about diseases, bodies, things and places? How does the sense of Hansen s disease image, imagine, and represent the body and the world? Through these questions, we could read and reveal the self-identity of the Hansen people, as well as other uses of the senses, such as emotional disconnection and changes in family, hometown, and love after suffering from Hansen s disease, solitude and anxiety.

      • KCI등재

        지식사회에서 영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전략

        한순미(Han Soon-Mi)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사회에서 영재들이 지녀야 할 지식과 기술은 무엇이며, 또한 영재들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 평생학습자로서 어떤 전략을 갖추어야 할지 탐색해 보는 것이다. 영재들에게는 서술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 외에도 필요한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지식인 노웨어(know-where)가 필요하다. 또한 지식을 재목적화하거나 암묵적 지식을 명시화함으로써 질 높은 지식의 생산 활동에 참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지식사회에서 영재들은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명시적 지식을 암묵적 지식으로 잘 내면화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자가 되어야 한다. 자기주도적 학습자란 첫째, 다양한 인지 및 상위인지 전략, 그리고 기억술 등의 인지조절 전략을 잘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이다. 둘째, 숙달목표를 지향하고 높은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지니며, 과제를 가치롭게 여기는 등 자신의 동기를 조절할 수 있는 학습자이다. 셋째, 학습 상황에 잘 집중할 수 있고 시간관리를 잘 하며 필요할 때 타인으로부터 적절할 도움을 추구하는 동 행동조절 전략을 잘 사용하는 학습자이다. 넷째, 학습을 위한 읽기에 필요한 전략을 잘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이다. 다섯째, 쓰기를 잘 하기 위한 지식과 전략을 갖춘 학습자이다. 여섯째, 음식 섭취와 수면 및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심신관리 전략을 적절히 사용하는 학습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s and strategies required to the gifted as lifelong learners in knowledge-driven society. Not only know-what and know-how, but also know-where is needed to the gifted. The gifted are also needed taking part in production activity of knowledge of high quality through repurposing of knowledge or transforming tacit knowledge into explicit knowledge. The gifted should prepare the foundation for production of knowledge acquiring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consist of cognitive regulation strategies,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r regulation strategies, reading strategies, writing strategies, and mind- body management strategies.

      • KCI등재

        불교철학적인 물음에 비추어 본 이청준 소설

        한순미(Han Soon-Mi)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tter works of Lee Chung-jun with questions derived from Buddhist Philosophy. As it scrutinized, Lee has dedicated himself to widening critical mind and search for the answer by Buddhist ontology, good-evil theory and viewpoint of language and world. In 〈Rebirthing Words〉, by the Tea Ceremonies of Buddhist figure Cho-Eui, Lee seeks for the clue of true words beyond fake words. In 〈Bi Hwa Mil Gyo〉, Lee's quest for answer broadens the suffering of writer -what and how to write- into reflection on representationalism. In 〈In Gan In〉, based on Buddhist ontology and evil-good theory, ontological search of the way from awakening of Theravada Buddhism to practice of Mahayana Buddhism is located. In kunstlerromans such as 〈House of Wings〉 and 〈Mu So Zak〉, matters of dualistic conflict such as subject-object and life-death are delineated by liberal artists who accomplished non-dualistic and Infusionalistic state. As it mentioned above, Buddhist philosophical questions are placed in the depth and tugs Lee's writing. Therefore, Lee's novel may well be comparable with the process Buddhist topics get unraveling. Throughout the way Lee seeks answers on these questions, his novels spontaneously make close look on the contact point of Buddhist philosophy and post- modern thought.

      • KCI등재

        용서를 넘어선 포용 - 문순태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한순미 ( Han Soon-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문순태 소설의 중심 주제인 `용서와 화해`의 문제를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에 주목하여 읽고 그 과정을 문학치료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순태의 소설을 지리산, 백아산, 생오지, 이 세 갈래의 공간으로 나누어 살폈다. 문순태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은 용서와 화해에 이르는 기나긴 여정과 함께 전개되는데, 그 안에서 다양한 문제 해결 방식과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문학치료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갈등과 대립으로 얼룩진 분단의 자전적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써 원한의 뿌리를 찾고, 다시 상처의 원점으로의 회귀를 반복하면서 여러 갈래의 선택 지점에 놓인 이념의 공백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지리산 계열과 백아산 계열의 소설에서는 그 용서와 화해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문순태 소설은 작가 자신의 분단 트라우마의 경험을 자기서사로 구축하여 대응하고 상처의 원점을 다시 쓰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을 통한 미래의 기획을 새롭게 시도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이르게 된 생오지 계열의 소설에서는 용서와 화해의 방식을 가해자와 피해자의 대립이 아니라 그 경계를 소멸시킬 수 있는 융합 지점으로서의 포용을 제시하면서 상호존중의 통합서사를 제시한다. 이 방면의 연구가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면, 원한과 복수에서 용서와 화해로 나아가는 서사의 지평을 폭넓은 시각에서 조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김원일, 박완서, 송기숙, 윤흥길, 이청준, 최인훈, 한승원, 황석영 등의 소설에서 용서와 화해의 문제가 어떤 내적 변화를 겪으면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을 다음의 과제로 우선 계획해 본다. 이들의 소설에서 공간은 전쟁과 분단 체험의 구체적인 장소이자 끝없는 반성과 성찰을 요구하는 사유의 장소로서 고향, 운명, 한(恨), 역사적 기억과 치유의 맥락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한 매개 지점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동시대 작가들의 소설세계에서 용서와 화해의 문제가 작가의식과 공간인식의 변모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변별력 있게 드러낼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약한다. This study observe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s a key subject of Mun Sun-tae`s novels by focusing on the change of space in his novels and tried approaching in a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For the review, his novels were divided into three space categories such as `Mt. Jiri`, `Mt. Baekah`, and `Sengohji`. The change of space in his novels was developed along with a long journey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n which the study examined a way of problem solving a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historical trauma. In a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the study found the roots of a grudge by reconstructing autobiographic experience of National Division spotted with conflict and confrontation, and repeated going back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hurt, revealing the ideological vacuum at the point of a wide selection. The novels of Mt. Jiri and Mt. Baekah category show how har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re. His novels show new planning of future through introspect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by constructing his experience of Division trauma as the epic of Self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origin of the hurt. Such process led to the novel of `Sengohji` category which suggests tolerance as a convergence point to nullify the border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not as confrontation between a victim and a perpetrator, showing the integrated epic of mutual respect. It will be possible to outlook the epic leading to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from a grudge or revenge in a wider and more open point of view if this kind of review can be conducted through a competitive research of contemporary writers. As a follow-up research, it is expected to review the novels of several writers such as Kim Won-il, Park Wan-seo, Song Ki-suk, Yun Hong-gil, Lee Cheong-jun, Choi In-hoon, Han Seung-won, and Hwang Seok-young to see how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as developed with internal changes in their works. It is clear that the space in their novels is not only the place of thought requiring continuou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but also the concrete experience of National War and Division as an important medium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to hometown, destiny, Han, historical memory, and healing in the context. There will be following researches that show distinguished points on how the subject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n the novels of contemporary writers who share the same historical experience was developed according to writer consciousness and the change of spati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