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rounding Line Change of Ronne Ice Shelf, West Antarctica, from 1996 to 2015 Observed by using DDInSAR

        한수정,한향선,이훈열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1

        Grounding line of a glacier or ice shelf where ice bottom meets the ocean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polar environment. Recent rapid changes of grounding lines have been observed especially in southwestern Antarctica due to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ERS-1/2 and Sentinel-1A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 were interferometrically acquired in 1996 and 2015, respectively, to monitor the movement of the grounding line in the western part of Ronne Ice Shelf near the Antarctic peninsula. Double-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DInSAR) technique was applied to remove gravitational flow signal to detect grounding line from the interferometric phase due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ide. The result showed that ERS-1/2 grounding lines are almost consistent with those from Rignot et al. (2011) which used the similar dataset, confirming the credibility of the data processing. The comparison of ERS-1/2 and Sentinle- 1A DDInSAR images showed a grounding line retreat of 1.0 ± 0.1 km from 1996 to 2015. It is also proved that the grounding lines based on the 2004 MODIS Mosaic of Antarctica (MOA) image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searching for ice plain near coastal area (Scambos et al., 2017), is not accurate enough especially where there is a ice plain with no tidal motion.

      • 공공임대주택의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성향점수 매칭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수정,전희정 한국정책학회 2018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공공임대아파트 거주가 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거주기간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를 분석한다. 공공임대주택 공급으로 인한 저소득층의 주거불안정은 과거에 비해 안정되었지만, 저가형 집합주택으로 인식되면서 지역슬럼화, 사회적 배제, 심리적 차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공공임대주택의 정책목적이 사회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실현을 통한 이들의 주택수준 및 주거환경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고 할 때,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거주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에 따른 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공공임대주택 거주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 4차, 8차, 12차 자료를 활용하여 성향점수 매칭과 이중차이·삼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단기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 거주집단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은 여성에 비해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장기 거주집단에서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고령층에서 공공임대주택 거주가 특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간 거주한 집단에서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령층에서는 공공임대아파트 거주가 비거주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집단들과 달리 장기 거주집단에서 정신건강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공동체의식이 온라인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수정,정예은,정문기 한국정책학회 2016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온라인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사례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지방정부는 소통의 채널이자 운영자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때 주민참여와 공동체의식은 일종의 해결기제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와 관련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의 문헌검토를 실시하고 서울시 공동주택 온라인투표 시범실시단지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체의식이 온라인주민참여와 제도에 대한 인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인 중 상호영향의식이 온라인주민참여와 서비스 평가 및 참여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인 중 공유된 감정적 연계가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동체의식의 세부 구성요소가 온라인주민참여 및 제도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상이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함의로 제공한다.

      • KCI등재

        불규칙용언 활용형의 변이형 형성 기제 연구

        한수정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9

        This paper aims to identify mechanisms of variation formation in conjugated forms of Korean irregular verbs. An irregular verb is a verb containing phonological discrepancies across conjugated forms within its paradigm, discrepancies unexplainable through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Variation in the conjugation of irregular verbs can be attributed to mechanisms that seek to resolve such discrepancies in phonology. Rather than regarding forms of variation from an analytical perspective, as combinations of a verb stem and ending, this study makes a phon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form and its variations, in the view that the conjugated form itself underpins variation formation. In ɾɨ-, p-, u-, and jʌ-irregular verbs, and in verbs with ɨ-deletion, variations were found that match the syllable count of other conjugatio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yllable is an important perceptional unit in speech. An analysis of variation in ɾɨ-irregular verbs and verbs with ɾ-deletion showed that speakers prefer to insert the vowel ‘ㅡ’ [ɨ] rather than delete or change existing phonemes within the paradigm. Among conjugated forms, those employing a- or ʌ-endings did not derive variations; variation only occurred in conjugated forms employing consonant endings or ɨ-endings. A frequency check for each conjugated form was undertaken in order to check for correlations between the formation of variations and frequency of us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이 논의는 불규칙용언 활용형의 변이형(variation)을 대상으로 변이형의 형성 기제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불규칙용언은 패러다임 내 활용형 간에 음운의 불일치가 있는 용언으로, 음운의 불일치를 공시적인 음운현상으로 설명할 수없다. 불규칙용언 활용형의 변이형은 이러한 음운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하는기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의는 활용형이 어간과 어미의 결합으로형성된다는 분석적 관점이 아니라 활용형 자체가 변이형 형성의 대상에 된다는관점으로 표준형과 변이형을 음운론적으로 비교하였다. ‘르’ 불규칙용언, ‘ㅂ’ 불규칙용언, ‘우’ 불규칙용언, ‘여’ 불규칙용언, ‘으’ 탈락용언에서는 활용형 간의 음절을 일치시킨 변이형이 나타나는데, 이는 음절이 주요한 발화의 인지단위(perceptional unit)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러’ 불규칙용언과‘ㄹ’ 탈락용언은 ‘으’나 ‘르’를 첨가한 변이형이 나타난다. 이는 활용형끼리의 어휘 동일성을 인지하는 데에 패러다임 내 존재하는 음운을 탈락시키기보다 무표적 모음을첨가하여 변이형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활용형의 변이형은 자음 어미 결합 활용형과 ‘으’ 어미 결합 활용형에서 많이나타난다. ‘아/어’ 어미가 결합한 활용형은 변이형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 원인이 이들 활용형의 사용빈도가 높아서 다른 활용형의 근거 단어(source word)가 되기 때문일 것으로 가정하고, 각 불규칙용언에서 유형빈도가 높은 용언의 개별 활용형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조사 결과 활용형의 변이형 형성과 활용형 빈도의 상관관계는 찾을 수가 없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적 가치가 윤리적 소비행동 및 소비자 행복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수정,왕예,진창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Ethical consumption, rational use of resources as a modern consumption pattern,considers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consumer’s rights, allowing consumers togain happiness from practici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Cultural values, themost important, non-market factor affecting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havealways been regarded 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f ethical behaviors ofconsumers. In this context, we in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cultural values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and consumer happiness in terms of Hofstede’scultural dimensions theory. To investigate effects of cultural values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consumer happiness, we performed a survey on adult consumers and analyzed thequestionnaires with the SPSS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As a result, culturalvalues had effects on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as consumers practicedpractice ethical consumption more, their scores of consumer happiness we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ethical behaviors of consumers hadpositive effects on consumer happiness, serving as effective information for futureeducation or promotion. 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가 윤리적인 소비 행동과 소비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며, Hofstede의 문화 가치 이론을 응용하여 문화 가치 이론의 구성요소들이 윤리적 소비행동과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문화적 가치 요소는 권력거리, 불확실성, 개인주의, 남성주의 그리고 장기지향성으로 구성하였다. 윤리적 소비행동 유형은 개인가치추구와 자연치환적 가치 추구 유형으로 양분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에의한 윤리적 소비의 향상과 소비자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설문조사는 중국 소비자 9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가설을 설계하고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화적 가치 요소인 권력거리, 불확실성, 개인주의, 남성주의, 장기지향성은 자연친화적 및 개인 추구 윤리적 소비행동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장기지향성은 개인추구 윤리적 소비행동에는 무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인 및자연친화적 윤리적 소비 행동은 소비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윤리적인 소비자 행동이 소비자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래의 교육이나 홍보를 위한 효과적인 정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성인장애인의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한수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음악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실태와 운영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남녀 성인장애인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음악활동 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고 배우고 싶은 음악유형은 대중음악이며, 교육 횟수는 주 2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장애요인으로는 이동거리 및 교통수단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이를 위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관계자의 심층면담에서는 평생학습 차원에서 진행하는 효과적인 음악활동 운영과 교육 참여 지속의 중요성에 대해 문해교육 연계 및 반복교육의 중요성 인식, 성인장애인의 계속교육을 위한 배려와 지원 확대 인식 등으로 범주화된 주제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서 로봇을 매개로한 놀이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한수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에서 로봇을 매개로 하는 놀이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자유놀이 상황에서 로봇을 매개로 하는 유아의 놀이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비참여 관찰 을 진행하여 놀이유형과 놀이전략 그리고 놀이행동 특성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익숙한 것과 연상과정을 통해 접근하기, 주도적 탐색을 통해 또래간 도움 주고받기, 놀이친구 아이로 비에 대해 공동체 의식갖기, 또래의견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의사소통에 참여하기, 어려운 문제해결을 위해 주도성을 발휘하기, 친구를 이해하고 먼저 인정하기, 나도 그럴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배려하기, 공유를 넘어선 상호인정의 의미를 경험하기 등의 놀이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나 타내기, 감정다루기, 동의구하기, 부적정서에 대처하기, 받아들이기, 수용하고 해결방법 찾기 등의 놀이반응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가 인식하는 행복감, 임상간호인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한수정,오재우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간호사의 행복감, 임상간호인성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임상 현장에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과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M시 소재 2곳의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27에서 5월 11일까 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이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20.4%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행복감을 향상시 키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linical fiel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feelings of happiness, clinical nursing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es working in two hospitals located in M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7 to May 11,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happiness showed an influenc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0.4%.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and systematic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