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exploring and identifying how cli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uthors investigated experiences relat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from ten clients showing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 by emplo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showed that clients experienc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various ways, and counselors' needs support interventions suggested by SDT effectively influenced clients’ needs satisfaction. Clients reported that experiencing needs satisfaction led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nd was a positive counseling outcome per s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바탕을 두고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성공적 상담성과를 보인 10명의 내담자의 경험을 심층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욕구 지지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상호작용하며 욕구 만족 경험에 서로 영향 미치는 양상을 보였다. 내담자들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특히 자율성과 유능감 만족 경험 자체가 상담성과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를 비롯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ICT기반 기지국 안테나 창조적 융복합 모델에 관한 연구

        한소영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CT environment-friendly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model and to present future strategies. Wireless installation facilities increas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 expansion, and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base stations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us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problems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and successful eco-friendly instances. After considering construction policies of successful foreign base stations, domestic eco-friendly mobile communication maintenance policies, and applicable new-regeneration energy industries and possible ways of convergence, an expected result was proposed accordingly. It has been interpreted that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potential future technologie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upper hand in market shares and intel properties. It proposed a future strategic road map for base station antenna, with IP convergence process based on the patent and design strategy. This may be the instructions to establish the policie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utur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본 연구의 목적은 ICT기반 친환경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모델을 제시하고 미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양한 통신서비스 확장에 따라 무선설비의 설치가 급증하게 되었고 무분별한 기지국 설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환경 친화적 이동통신 기지국 사례조사를 분석하였다. 선진 외국의 기지국 건설을 위한 정책과 국내 친환경 이동통신 기지국 정비 정책의 실황,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융복합 디자인 전략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미래유망기술 도출 프로세스 적용에 따라 지식재산권 확보와 시장에서의 효과적인 경쟁우위 선점이 가능하다고 파악하였다. 이동통신기지국 안테나와 특허의 융복합을 통한 지재권 융복합 프로세스 및 디자인 전략으로 향후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미래 전략 로드맵을 제시하였고, 이는 향후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정책 및 미래 방향을 수립하는데 지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음주 문제 위험요인: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의 역할

        한소영,이민규,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음주와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음주 문제와 음주량에 미치는 영향이 대학생 집단에서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에서 대학생의 음주 문제를 잘 설명하는 위험 요인으로 나타난 모델링, 음주에 대한 결과 기대, 우울과 불안을 ‘사회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양적 음주와 음주 문제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녀 집단 모두에서 정서적 요인이 음주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연구 모델의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대학생의 경우 사회 인지적 요인은 양적 음주와 음주 문제 모두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경로를 가지고 있었으며 양적 음주가 음주 문제를 설명하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사회 인지적 요인은 양적음주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음주 문제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경로만 유의하였다. 즉, 남자 대학생은 음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또래 및 가족들의 모델링이 음주 문제에 큰 영향을 주며, 여자 대학생은 양적 음주가 음주 문제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isk factors on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a model composed of social cognitive factors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family modeling, peer modeling, cognitive outcome expectancy, depression and anxiety, and also to identify the best model for male and femal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model of male group, social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s. However, the direct path from alcohol consumption to drinking problem was not significant, which indicated alcohol consumption was not definitely indicative of drinking problems for male group. In the model of female group, social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alcohol consumption, but not drinking problems. Furthermore, alcohol consumption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factors on drinking problems. Emotional factors predicted drinking problems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공원복지 역할 및 이념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한소영,조한솔,조경진,Han, So-Young,Cho, Han-Sol,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공원이 과거에서부터 시민들에게 꾸준히 혜택을 주고 있는 복지이념 수행의 장이었다는 것을 전제로, 그 실체는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복지수단으로서의 공원역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고, 공원복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념은 사회복지 이념과의 어떤 차별성을 띠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원 발달 과정에 있어 공원이 제공하는 복지혜택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공원의 발전 과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사회적인 상황과 맞물려 공원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복지 기능의 역할 및 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원복지 기능 및 요소의 전개과정에 따라 그 근간이 된 이념의 특성과 전개양상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제까지 공원이 수행한 공원복지 기능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료적(remedial) 기능으로,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직접적인 원호, 육성, 갱생에 기여하는 직접적 서비스 기능이다. 둘째, 예방적(preventive)기능으로, 이는 개인과 가정,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된 공원복지 기능이다. 셋째, 개발적(developmental)기능으로, 이는 공원이 사회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변화촉진체계로 기능함을 말한다. 공원복지 수혜 계층과 수혜 혜택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공원복지 대상이 빈민계층에서 일반국민으로 대상이 넓어졌으며, 공원의 혜택을 받는 실제 이용계층 역시 특수계층에서 일반 대중으로 평준화되고 있다. 둘째, 공원복지의 의미가 자전적 형태에서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동되었다. 셋째, 공원복지의 목적이 최저조건(min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에서 최적의 조건(opt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복지이념은 초창기에는 이념적 특성에만 그치는 자전적 성향이 컸으나, 시간이 흐르며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여러 사회적 이점을 만들면서 적극적인 복지이념을 발현하는 장이 되었다. 더불어 현 세대 공원과 복지는 참여와 삶의 보편적 웰빙을 위한 접점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 복지이념과 실천이 어떻게 연결되어 왔는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공원의 역할, 가치 및 이념을 조망하는 연구의 선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Under the premise that parks have been a performing field of welfare ideology that benefits the citizen from the past,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a basic question on what substance a park has and how it has work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heoretic background that can explain the roles of a park as an instrument for welfare, of which topic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and examine how the ideology in the debate regarding welfare characteristics of park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arks defined by Galen Cranz in an attempt to view how welfare benefits offered by parks have changed in their development and looked into the roles and types of welfare functions that parks provided to the citizens under a certain social situation by perio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ideology underlying a welfare park were examined by function and element in its pro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unctions that parks have performed so far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have a remedial function. Parks have given direct service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relief, fostering, and rehabilitation. Second, parks have played a preventive function. They aim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individual, family, group, and community. Third, they have exerted a developmental function. They function to promote change of society in a way for it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Looking in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neficiary class and benefits, the following were discovered. First, the beneficiaries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ve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from the poor class, and the benefits of parks have spread into the public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a real sense. Second, the significanc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also changed from literal benefits to caring for basic human rights. Third, the purpos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changed from providing minimal conditions to optimal conditions. At its beginning, the ideology of welfare in parks remained ideal, confining itself to their idealistic characteristics; but as time went on, they created several social benefits in response to various social demands, developing into a field where welfare ideology manifests and is realized in an active manner. Furthermore, it was witnessed that the parks and welfare of the present times are standing at the point of contact for participation and univers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reconsidered the meaning and value of parks from perspective of them as a provider of welfare benefit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welfare ideology of parks is connected to practice. By doing so, this study discovered the various roles, values, and ideology that parks should bea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topic.

      • KCI우수등재

        연구보안제도 개선을 위한 비교탐색적 연구: 미국의 연구보안 사례를 중심으로

        한소영,장항배 한국전자거래학회 202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7 No.1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전쟁이 전개되고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연구개발 투자를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 및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였으며, 창조형 기술개발의 방향으로 전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예산과 시간, 노력이 투입된 국내의 첨단 핵심 기술이 해외로 불법 유출되는 사례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보안은 이처럼 연구환경에 존재하는 보호대상을 유출 및 탈취 등의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등 각국에서 연구보안을 위한 법령 및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보안제도의 개선을 위해, 전 세계 연구개발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보안정책 및 법령의 정비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미국의 연구보안 사례를 중점으로 우리나라의 연구보안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As the technology hegemony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evelops and the importance of R&D increas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 their R&D investment. In Korea, the size of R&D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has steadily increased every year,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as it shifts to the direction of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high-tech core technologies in Korea, which have invested a lot of budget, time, and effort, are illegally leaked overseas is also steadily increasing. Research security is an activity to safely protect protected object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from risk factors such as leakage and deodorization, and laws and systems for research security are being reorganiz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we aims to derive Korea’s research security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US research security cases which ranks first in R&D expenses around the world to improve the R&D system and actively discusses R&D policies and law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Deci와 Ryan(2000, 2002a, 2002b)의 자기결정이론에 바탕을 두고 부모-자녀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BPN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를 개발하고 이러한 심리적 욕구 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소영과 신희천(2006)의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 20문항을 수정하여 예비문항을 제작한 뒤,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를 실시하였다.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18문항이 확정되었으며, 연구자의 가설과 같이 척도가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의 3요인 구조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애착척도(IPPA-R), 자기효능감척도(SES)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절한 공존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부모-자녀 관계에서 느끼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삶의 만족과 정적 정서에는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욕구만족의 설명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정서에는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욕구만족의 설명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욕구 만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화적 보편성․차이점, 그리고 이론적․치료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BPN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needs satisfaction on feelings of subjective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indicated 3 factor-structure of the scal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support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eeds satisfaction in father-child relationship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and needs satisfac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was that of negative emotions. Theoretical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상담 분위기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is study aimed at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ounseling Climate Questionnaire(CCQ) which assesses clients' perceived autonomy support by counselors in counseling based on 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 (Williams et al., 1996). In study 1, the original scale(Williams et al., 1996)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translated into English, which yielded 15 preliminary items. The result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showed 2 factor-structure('psychological needs support attitude' and 'confirmation and question encouraging behavior') of the scale, differing from the result of Williams et al(1996) which reported 1 factor-structure of the scale. In study 2, 2 factor-structure of the scale was support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scale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the result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lients and the clients' perceived psychological needs suppor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relatedness, which implied measurement of the scale reflected clients' perceived relatedness support of counselors.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리 장면에서 전문가가 조성하는 자율성 지지 분위기에 대한 환자의 지각을 측정하는 건강관리 분위기 질문지(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 HCCQ)를 바탕으로, 한국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의 자율성 지지 분위기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담 분위기 질문지(Counseling Climate Questionnaire: CCQ)를 국내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의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3회 이상의 상담을 받은 내담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교차타당화를 위해 내담자 131명과 이들을 상담하고 있는 상담자 72명을 대상으로 2차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변별, 수렴 및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Williams, Grow, Freedman, Ryan과 Deci(1996)의 연구결과에서 척도의 요인구조가 1요인으로 보고된 것과 달리 2요인의 요인구조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교차타당화 연구에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2요인 구조가 재확인되었으며,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에서 높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와의 상관 분석에서 관계성 만족과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타당화된 척도가 상담자의 자율성 지지 보다는 관계성 지지 정도를 더 잘 측정할 가능성을 보였다. 논의에서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