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 지도의 단계적인 연구

        한병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64 국어교육 Vol.- No.9

        여기 발표하는 보고문은 필자가 7년 동안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가지고 지난 해부터 금년까지 같은 아동 48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구실천해 본 것으로 이것이 실현되기까지엔 영동군 장학사님을 비롯한 본교 직원 일동과 아동문학가 윤 석중·이 준구씨를 비롯하여 글짓기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교직에 임하고 있는 충남의 한 상수 선생, 경남의 하 계덕 선생, 경북의 김 무일·이 무일 선생, 대구의 신 현득 선생, 강원도의 엄기원·김 원기 선생님들, 그리고 교육자료사의 장 욱순 선생님을 비롯하여 시인 한 성기 선생님의 도움이 컸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단계는 작품 하나를 완성하기까지의 단계를 말함이 아니고, 아동들이 좋은 작품을 쓸 수 있도록 지도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인 법 해석․적용과 실제의 역사

        한병호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0-2

        Since Constitution-making in 1948,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has contained several social rights, such as the rights to education, work, guarantee of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and so on.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seventy years history of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concrete laws and constitutional case laws embody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f social rights. Most constitutional interpreters had understood those constitutional provisions merely as programmes or guidelines to lawmaking, not as concrete constitutional rights, until mid-1980s. And only a few Acts were made and revised in so far as they were necessary to regulate education, labor relation, and poor relief at that time. After the long authoritarian regimes ended and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started in the late 1980s, however, a large number of Acts to guarantee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were made, and they were more systematically reorganized. Those were due to high growth rate of Korean economy,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stronger social demands after two economic crises in the late 1990s and 2000s. Nonetheless, some social problems still remain nowadays in South Korea, such as low birthrate and rapid aging, steadily low growth rate during recent decades, high unemployment rate, specially of youth, employment instability of irregular workers and wage discrimination against them, non-expanding compulsory education to high school, and defective social security network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South Korea has shown very negative attitudes toward social rights as concrete rights at the constitutional level. Constitutional judges have told repeatedly in many cases that only clear and obvious discretionary deviations of lawmaker breach the Constitution in cases of social rights. So they scarcely declared unconstitutionality of the laws because of their violating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although they sometimes declared a few of laws were unconstitutional because they violated property rights or the principle of equality. Many critics cal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s reorientation toward more active attitudes, getting away from its own negative attitudes, in order to guarantee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more effectively. 이 글은 헌법제정 이후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인 법 해석‧적용과 실제에 관한 70년 역사를 고찰한 것이다. 이 주제는 헌법해석론‧헌법판례 및 헌법현실을 망라하는 광범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헌법규범과 헌법현실 사이의 연결고리이자 유권적인 헌법해석의 산물인 구체화입법과 헌법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사회적 기본권 규정은, 질곡의 세월을 겪은 근로3권을 제외하고는, 계속 확충되어 왔다. 그것은 오랜 동안 입법방침 내지 추상적 권리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으나, 사회적 기본권의 복합적 구조 및 개별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 강화, 심사 기준‧방법의 구체화를 통하여 사회적 기본권을 구체적 권리로 인식하고 보장하려는 경향이 강화되어 왔다. 구체화입법에서는, 그 시급성과 현실적 가능성 여하에 따라, 1960년대까지는 교육법‧노동법‧사회보장법‧환경법 등 최소한의 입법이 있었고, 그 후 부분적으로 확충‧개정되었다. 구체화입법의 체계적 정비는 정치적 민주화 이후 1990년대, 특히 외환위기‧금융위기 이후 21세기에 이루어졌다. 그러한 체계화에는, 현실적 가능성의 증대(고도성장), 사회적 요구의 증강(경제위기), 정치권력의 사회적 요구 수용(정치민주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출산‧고령화의 가속화와 만성적 저성장 우려 속에서, 높은 실업률(특히 청년실업률)과 비정규직의 고용불안과 임금격차, 고교 의무교육 미실시,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사회보장제도의 부실화 우려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사회적 기본권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에 관한 인식의 혼란 속에서, 행위규범-통제규범의 논법에 따라, 명백한 재량권 일탈의 경우에만 위헌임을 인정하려는 소극적 태도를 견지해 왔다. 그 결과 사회적 기본권의 침해를 직접적으로 인정하는 결정은 드물고, 재산권 침해나 평등원칙 위반이라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사회적 기본권 침해를 인정하는 결정이 일부 있을 뿐이다. 입법자의 재량권 행사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그 통제수준을 재량권의 ‘명백한 일탈’ 여부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재량권 일탈‧남용 여부의 일반적인 수준으로 확대ㆍ강화하고, 평등원칙‧합리성심사와 과소급부금지‧과소보호금지 원칙을 심사기준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4 Cycle Gasoline 機關의 EGR에 關한 硏究 : EGR時 點火時期가 機關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 of ignition timing on engine at EGR

        韓炳祜 영남이공대학 1982 論文集 Vol.11 No.-

        The present probl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to economize fuel, to develop alternative fuel, and purification of exhaust gas. Alternative fuel are liquid fuels of methanol, ethanol, vegetable oils etc, and gas fuels of LPG, LNG, methane gas etc. Purification methods of exhaust gas are ① EGR ② reducing catalyst ③ improvement of combustion condition and so on. In this paper, studied the movement for engine performance and exhaust exhaust(CO, HC) at EGR. As results of study, following items were obtained: 1. Brake horse power of engine decrease slowly by 8% EGR rate and is showed increase of decreasing rate of brake horse power according to increasing EGR rate. 2. Specific fuel consumption increase slowly by 10% EGR rate and more increase according to increasing rate. 3. CO emission decrease according to increasing EGR rate and reach minimum value at ignition timing of BTDC 30 degree. 4. HC emission increase according to increasing EGR rate. 5. The time terms from ignition to maximum pressure delay according to increasing EGR rate and become short according to advance ignition timing.

      • KCI등재

        유럽 지역 국가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에 관한 연구

        한병호 한국해사법학회 2020 해사법연구 Vol.32 No.2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in the Constitutions of European countries, such as territorial sea(TS), exclusive economic zone(EEZ), and continental shelf(CS). Its main subjects are constitutional clauses of territory, the kinds and the usages of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referred in the Constitutions, how to prescribe the limits of maritime jurisdictions on the level of the Constitutions or A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seventeen Constitutions which have territory clauses, in which the boundaries of land territories are prescribed more positively; One or mor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referred in twelve Constitutions, specifically TS in eight, CS in seven, EEZ in eight Constitutions, and all of them just in three Constitutions; Each of them is used in order to enumerate the elements of the territory or specify the limits of maritime jurisdiction in seven Constitutions, to distribute the powers concerning maritime spaces and resources between federal or central government and state or local government in six Constitutions, and/or to regulate the national ownership of various maritime natural resources in six Constitutions; As for the limits of maritime jurisdiction, it is said that they shall be specified by Acts in four Constitutions, by boundary agreements in two Constitutions, but the other Constitutions are silent about them; and On the level of Acts, the limits of TS(12 nautical miles) are clearly defined in twenty eight countries, those of contiguous zone(24 nautical miles) in eleven countries, those of EEZ(200 nautical miles) in thirteen countries, and those of CS(200 nautical miles or outer edges of continental margin) in four countries. 이 논문에서는 유럽 지역을 동유럽과 서유럽으로 나누어 각국의 헌법에서 해양관할권을 어떻게 규율하는가를 분석․비교한다. 먼저, 해양관할권의 전제가 되는 영토에 관한 헌법상 규율을 분석한 결과, 영토의 범위․경계를 헌법에서 직접적․적극적으로 규율하는 경우는 조사대상 42개국 중에서 동유럽 7개국과 서유럽 10개국 등 모두 17개국(42%)이다. 둘째, 헌법에서 해양관할권 개념을 하나라도 언급하는 국가는 동유럽 8개국(내륙국인 몰도바 포함)과 서유럽 4개국 등 12개국에 불과하며, 개념별로는 영해 8개국, 배타적 경제수역 8개국, 대륙붕 7개국이다. 이들 셋을 모두 언급한 국가는 3개국, 두 가지를 언급한 국가는 5개국이고, 한 가지(영해)만 언급한 국가는 4개국이다. 조사대상 연안국 29개국 중에서 18개국(62%)은 해양관할권 개념의 언급이 없다. 셋째, 헌법상 해양관할권 개념의 용법과 관련해서는, 7개국은 국가의 주권․관할권의 범위를 규율하면서, 6개국은 연방․중앙과 주․지방 사이 또는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배분을 규율하면서, 그리고 6개국은 해양공간과 해양자원의 소유권 귀속을 규율하면서 헌법에서 해양관할권 개념을 사용한다. 넷째, 해양관할권의 범위에 관해서는, 4개국은 법률에 위임하거나 입법관할사항으로, 2개국은 조약 등 국제법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해양관할권 개념을 언급하지 않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조사대상 연안국 29개국 중에서 25개국(86%)은 해양관할권의 범위나 경계에 관해서 헌법에서 침묵하고 있다. 끝으로, 해양관할권의 범위를 규율하는 법률에서는, 연안국 30개국 중에서 28개국은 영해(12해리), 11개국은 접속수역(24해리), 13개국은 배타적 경제수역(200해리), 그리고 4개국은 대륙붕(200해리 또는 대륙변계 바깥 끝까지)에 대해서 명시하고 있다. 해양관할권의 일부에 대해서 그 범위를 법률에 명시하지 않는 국가가 많을 뿐 아니라, 그 전부에 대해서 명시하지 않는 국가가 2개국이다.

      • 미주지역 국가의 헌법전문에 관한 비교연구

        한병호 한국해양대학교 세계해양발전연구소 2017 세계해양발전연구 Vol.26 No.-

        1.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formal and substantial aspects of the preambles of the Constitutions in thirty-five American countries. Each of them has their own written constitution, but four Constitutions(Jamaica, Chile, Mexico, Uruguay) lack a preamble. 2. As for the formal aspects of preambles of thirty-one Constitutions, the average file sizes of the texts are 1,399 bytes and the average running words are 196 words. In eleven preambles, their file sizes are smaller than 1,000 bytes, and their running words are less than 350 words. Each text of almost all preambles, except for Guyana and Bolivia, consists of only one sentence. 3. As for the substantial aspects of preambles, have been examined by whom and by what procedures the Constitution had been adopted; what are the concepts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or values described in the preambles. 1) It is described in the preambles that eleven Constitutions were adopted by the 'people', and nine by the 'Constituent Assembly'. However, in eleven preambles it is not clear who adopted the Constitution. Just four of the Constitutions were adopted via voting of an assembly and only three via a referendum. 2) As for the political systems, the words implying republic are mentioned in twelve preambles, those of federalism in four preambles, and those implying monarchy only in the preamble of the Canadian Constitution of 1867. 3) As for the concepts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or values, more frequently are mentioned such as: religion, freedom, democracy, justice, human dignity, equality, peace, rule of law, human rights, republic, sovereignty, history, in- dependence, unity, and welfare or wellbeing, arranged in the order of their frequencies. However, more frequent concepts are different between the fourteen Anglo-American countries and the seventeen Latin American countries. The concepts which are used less frequently in the preambles are peace, history, and republic in the Anglo-America, but human dignity,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in the Latin America. 4. Finally, it is significant to mention the preambles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The preamble of the Korean Constitution contains many above-mentioned concepts familiar with American countries, but lacks in some concept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eamble with those concepts by amending the Constitution in time.

      • KCI등재

        공공지원민간임대리츠의 자본구조에 관한 실증분석

        한병호,김호철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2 지역개발연구 Vol.54 No.2

        임대주택은 장기 저 수익사업이고, 임대료도 시세보다 낮아 구조적인 손실사업이다. 다만, 임대기간 종료 후 임대자산의 매각을 통해 투자원금을 회수하는 현금흐름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임대주택은 수익성을 지향하는 민간의 전형적인 금융기법으로는 추진이 어려운 투자대상이다. 공공지원민간임대리츠는 주택도시기금과 민간사업자가 공동출자한 리츠가 임대주택을 8∼10년간 임대・운영하는 구조이다. 이 리츠는 토지공급, 세제혜택, 금융지원 등 공공지원이 이루어진다. 자본구조는 자기자본 20%, 타인자본 80%로 구성되며, 주택도시기금이 전체 사업비의 50% 수준의 출자 및 융자 등 중복 투자하여 주도적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공공지원민간임대리츠의 수익성, 안정성, 사업규모, 임대보증금 비중 등 재무적 요인과 사업유형이 부채비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수익성, 안정성, 사업규모는 부채비율과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임대보증금 비중은 부채비율과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LH 택지공모사업은 여타 사업에 비해 부채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 민간의 출자, 임대보증금, 민간 융자금 순으로 자본을 조달한다. 따라서 이 리츠는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최적자본구조가 존재하지 않고, 한정된 예산을 마중물로 제공하여 민간자본을 유인할 수 있는 수준에서 자본구조가 결정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정책적 목적으로 리츠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택도시기금 위주에서 연기금이나 재무적 투자자(FI)의 출자나 융자를 확대하는 방안과 출자・융자구조의 개선이 필요하고, 민간자본의 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적정수준의 수익구조, 배당 가능성 제고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시아 지역 국가의 헌법과 바다 - 해양관할권을 중심으로 -

        한병호 한국해사법학회 2019 해사법연구 Vol.31 No.1

        이 논문에서는 아시아 지역 국가의 헌법상 해양관할권에 관한 규율을 비교․분석한다. 예비적으로, 헌법상 영토조항을 분석한 결과, 영토의 범위나 경계를 직접적으로 또는 적극적으로 규율하는 영토조항을 두고 있는 경우는 17개국에 불과하다. 헌법에 언급된 해양관할권 개념을 분석한 결과, 영해는 14개국, 대륙붕은 9개국, 배타적 경제수역은 6개국의 헌법에서 언급되며, 이들 셋을 모두 언급한 경우는 5개국, 영해를 포함하여 둘을 언급한 경우는 4개국이며, 5개국은 영해만, 1개국은 대륙붕만 언급한다. 해양관할권의 범위나 경계에 관한 헌법규정을 분석한 결과, 8개국만 그것을 법률에 위임하거나 입법관할사항으로 규정하고, 나머지 9개국은 침묵하고 있다. 또한 해양관할권 개념의 용법을 분석한 결과, 해양관할권 개념은 국가의 주권․관할권의 범위를 규율하기 위하여(7개국), 연방과 주 또는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배분을 규율하기 위하여(8개국), 그리고 해양자원의 소유권 귀속(국유 등)을 규율하기 위하여(9개국) 사용된다. 끝으로, 해양관할권의 범위에 관한 각국의 주장, 즉 법령상 규율을 분석한 결과, 연안국 35개국 중에서 다수는 영해 12해리(33개국), 접속수역 24해리(24개국), 배타적 경제수역 200해리(23개국), 그리고 대륙붕은 대륙변계 바깥 끝과 200해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18개국)을 규정하고 있다. 법령에조차 그것을 명시하지 않는 국가는 인접해역의 폭이 좁은 경우가 많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MJ) referred in the Constitutions of forty seven Asian countries, such as territorial sea(TS) or territorial waters, exclusive economic zone(EEZ), and continental shelf(CS), etc. Such subjects are examined in turn, as constitutional clauses of territory, the sorts and the usages of concepts of MJ referred in the Constitutions, constitutional provisions about the limits or boundaries of MJ, and claims to MJ on the lower level than the Constitu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venteen countries have constitutional clauses by which the scopes or boundaries of territories are specificly or positively prescribed. TS is referred in fourteen Constitutions, CS in nine, and EEZ in six. All of those three concepts are just referred in five Constitutions. Those concepts are used in order to specify the elements of the territory or the scopes of MJ in seven Constitutions, to regulate the distribution of powers concerning MJ in eight, and to regulate the national ownership of various maritime natural resources in nine. As for limits or boundaries of MJ, eight Constitutions say that they shall be specified by Acts, but nine Constitutions are silent. On the level of Acts or decrees, twelve nautical miles of TS are claimed by thirty three countries, twenty four of contiguous zone by twenty four, two hundred of EEZ by twenty three, and outer edges of continental margin or two hundred of CS by eight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