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 방식

        한길연(Han Gil Ye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본 논문에서는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미메시스적 차원의 분석을 넘어서 이에 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완월회맹연>의 여성주의의 본질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였다. <완월회맹연>에서는 폭력적 가부장을 비판하기 위한 서사전략을 치밀하게 구사하고 있는데, 이를 크게 1) 폭력적 가부장간의 상호 비판, 2) 가족간 공론화장을 통한 비판과 놀리기, 3) 소인형 가부장과의 비교 논리의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폭력적 가부장간에 서로를 비판하는 독특한 방식을 통해 자신에게 매몰되어 있을 때는 성찰하지 못했던 폭력성을 타인을 거울삼아 성찰하게 함으로써 남성의 자기비판을 보여주고, 2) 희담꾼들을 대거 등장시키는 가운데 현실에서는 쉽지 않았을 가족간의 공론화장을 극대화함으로써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과 조롱을 전경화하며, 3) 소인형 가부장과의 비교 구도 속에서 폭력적 가부장이 등가적 위치 혹은 열등한 위치에 놓일 수도 있다는 논리를 마련함으로써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근원적 혐오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서사전략을 통해 <완월회맹연>은 그 어느 작품보다도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강도 높게 노정하고 있었다. <완월회맹연>에서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이와 같은 강도 높은 비판을 다채롭게 형상화한 것은 결국 ‘여성적 글쓰기’의 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남성이 남성을 되비추는 거울을 통해 ‘결핍된 여성’이 아니라 ‘결핍된 남성’의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며, 여성들의 의식과 경험이 가득 담긴 ‘수다의 장’을 통해 여성의 입장을 한껏 반영하면서 남성들과의 공유의 장까지 마련하는 한편, 당대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폭력성을 ‘주변화된 남성성’과의 비교를 통해 가시화하고 있다. 요컨대, <완월회맹연>은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섬세한 형상화를 통해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당대 체제 안에서의 비판의 최대치를 선보이는 가운데, 대하소설 특유의 여성적 글쓰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In this paper, I tried to get a little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feminism of the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by considering the formative method of critical gaze beyond the Mimesis-level analysis of violent patriarchs.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carefully shows an epic strategy to criticize violent patriarchs,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1) mutual criticism among violent patriarchs, 2) criticism and teasing through family public public sphere, and 3) comparative logic with stupid patriarchs. 1) Through a unique way of criticizing each other among violent patriarchs, it shows the self-criticism of men by making others reflect on the violence that they could not reflect on when they were buried in themselves. 2) Amid the emergence of a large number of pleasantry-tellers, it maximizes public sphere among family members, which would not have been easy in reality, to foreground criticism and ridicule of violent patriarchs. 3) By comparing stupid patriarch and violent patriarchs, it reveals a fundamental dislike of violent patriarchs. Through this narrative strategy,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was more critical of the violent patriarch than any other work. It is a strategy of feminine writing that variously embodies such intense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in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Men clearly reveal the appearance of a deficient man rather than a deficient woman through a mirror reflecting men, and sharing with men, reflecting women s position to the fullest through a chatter field full of women s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the violence of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e time is visuali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arginalized masculinity. As such,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is significant as a work that deepens the unique feminine writing of the roman-fleuve, showing the maximum level of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in the contemporary system through a delicate form of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과 몸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This thesis examined husbands` violence narratives of conjugal relations in river novels and intended to study the real aspects of men`s violence on women`s body and the attitudes of the persons concerned as husbands, wives and so on. These violences can be devided into three parts, ``physical violence narrative``, ``sexual violence narrative`` and ``verbal violence narrative``. In ``physical violence narrative`` husbands` violence on wives` body reveal in the raw as decapitating wives or pulling up a fire pot over wives. In spite of it all women share these displeasure and fear or make play husbands with the family of husband or in which they were born. In ``sexual violence narrative`` husbands rape wives who refuse to sleep together or cordon off jealousy wives or energetic wives in sex affairs. Differently with phys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was becoming more hard in mutual aid or silent approval of surrounding family. We could read the aspects of men`s making men-centric system strong and steady by checking and manage closely women`s body in sexual violence narrative. Lastly in ``verbal violence narrative`` men lay it down that their own wives should to be dead or take a shy at their wives losing chastity. Heroines are tried in the furnace by verbal violence and be patients on the verge of death. However the verbal violence narrative provides shelters for women in the point that father-in-law or mother-in-law support and care for their daughter-in-law. In brief, husbands` violence narrative have rich meaning net such as making observe men violence on women`s body and look for shelters getting out of pains of actuality and steal a glance at the strategy of establishing men-centric idea.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여타의 대하소설에서 남성 희담꾼 혹은 여성 희담꾼 한 명만이 나오는 것과는 달리, <완월회맹연>에서는 남녀 희담꾼인 정염과 상부인이 콤비처럼 등장함으로써 대립각을 세우기도 하고 공조하기도 하면서 서로를 견인하는 가운데 다양한 희담의 장을 선보인다. 특히 여성 관련 희담에서 이들은 더욱 더 풍성한 담론의 장을 형성해낸다. 먼저 남녀 희담꾼 간에 일종의 맞대결의 국면을 통해 남녀 간의 생각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를, 그리고 그 인식의 틀을 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확연히 보여준다. 생득적인 성별의 차이는 젠더적 측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가져옴으로써 남녀 간에 가질 수 있는 인식의 차이를 드러내는데, 특히 희담이라는 장치를 통해 이러한 의식의 차이가 가감 없이 표출됨으로써 당대 여성들의 불평등한 처지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이러한 희담의 장에서는 여성이 말을 많이 해서는 안 된다는 금기를 깨고, 남녀 간에 대등하게 말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시댁식구 대 비시댁식구의 관점에서 여성들 안에서도 대립적 국면을 보이는 대목을 통해 여성들의 의식이 균질적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성 희담꾼인 상부인은 같은 여성의 입장에서 친정의 조카며느리들의 처지를 십분 이해한다고 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조카며느리보다는 조카의 편에 서는 대목이 종종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남성 희담꾼인 정염과의 공조하에 더욱 더 심화되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당대 여성들이 단일한 의미망에 포섭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층적인 의미망으로 포진해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들 희담은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에 대한 인식은 고정된 채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그 인식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의미를 갖는다. 정염은 막내딸이 외간남자와 정을 통한다는 헛소문에 결국 자신의 딸을 죽이려고 할 만큼 촉박한 상황에 처하자, 여성으로 태어난다는 것이 얼마나 부당한 현실과 대면해야 하는 것인가를 절감하게 된다. 상부인도 막내딸이 남의 첩으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 처하자, 한 사람의 첩이 된다는 것이 얼마나 굴욕적인 수모를 견뎌야 하는 위치인지를 체감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이들의 희담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써, 정염은 여성에 대한 좀 더 객관적인 시선을, 상부인은 친정의 조카며느리들에 대해 좀 더 애정 어린 시선을 갖게 된다. 여성에 대한 인식은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의 폭에 따라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가 이들 희담 속에 함의되어 있는 것이다. 요컨대,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여성의식의 형상화에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의 장은 단순한 희담의 장이 아니라 잠재되어 있던 갈등을 수면 위로 끌어올려 표면화시킴으로써 서로 간에 격렬한 반응을 이끌어내며 이를 통해 화합의 가능성까지 타진해보는 주요한 소통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Wanwolhoemaengyeon shows diverse discourses by the duo storyteller Jeongyeom and Mrs Sang taking issue or cooperating one another, while the other river novels present only one man storyteller or woman storyteller. Especially, It forms more abundant discourses in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First, It shows definitely how vast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is and how difficult overcoming the gap is, by magnifying the difference of sense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a kind of contest between man storyteller and woman storyteller. This novel reveals sharply the unfair position of women in those days. Nevertheless, we can find considerable meanings in the space of pleasantry on the point that men and women can speak equally breaking a taboo that women should not be talkative. Second, we can identify that the senses of women are not homogeneous through the parts of pleasantry showing oppositive phase of viewpoint in women versus women as well as in men versus women. Mrs Sang, the woman storyteller seems to understand fully the situation of nephew`s wife in the same women`s position but in a decisive moment, she often takes the side of nephew against nephew`s wife. And these aspects deepen under cooperation with Jeongyeom, the man storyteller. It shows that women in those days were forming multi-layered semantic networks according to each positions. Lastly, the pleasantry in Wanwolhoemaengyeon has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wom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Jeongyeom and Mrs Sang get to feel keenly the poverty and trouble of women after undergoing terrifying ordeals in their positions. These changes of perception of the storytellers have effects on their own pleasantries. Jeongyeom gets to have more objective viewpoint on women, while Mrs Sang becomes to have more affectionate viewpoint on nephew`s wife. To sum up,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in Wanwolhoemaengyeon contains a important meaning on the embody of women sense.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in Wanwolhoemaengyeon can be a main space of communication through disclosing the latent conflicts, leading intense reactions, and tapp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 KCI우수등재

        대하소설 속 임신 및 출산 화소 연구

        한길연(Han, Gil-ye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화소라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생활문화사적으로,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임신 및 출산 과정과 관련한 생생한 장면의 제시를 통해 조선후기 당대의 임신 및 출산 문화를 재구해 볼 수 있게 하는 한편, 오늘날의 임신 및 출산 문화를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임신에 대한 극단적인 감춤과 드러냄을 통해 여성에 대한 억압적 기제들을 반영하고 소박한 의료환경 속에서 유산 · 조산 등의 이상 징후를 보이는 임산부의 모습을 통해 당대의 힘든 현실을 노정하면서도, 가족공동체적 돌봄의 문화나 ‘캥거루 케어’와 지혜로운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에도 계승해야 할 지점을 보여준다. 단편소설에서의 ‘미화된 임신과 출산’과는 달리 대하소설에서는 ‘실제적인 임신과 출산’의 장면이 형상화되는 가운데, 일반적 문헌기록과도 차별되게 조선후기 당대 일상적인 임신과 출산 장면을 출산 주체인 여성과 그녀를 둘러싼 주변인들의 입장에서 입체적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서사구조적으로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등장인물들 간의 가장 중요하고도 치열한 갈등을 견인해내는 화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대하소설은 ‘가문소설’이라고 달리 명명할 정도로 한 가문이 대를 이어 지속해가는 것이 중요하며 주 향유층인 상층 여성의 초미의 관심사 중 하나인 자손의 탄생을 양각화하기에,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화소로 부상한다. 단편소설에서의 혼사장애가 남녀가 혼인에 이르는 과정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과 달리, 대하소설에서의 혼사장애는 혼인 이후의 갈등을 해결하고 부부간에 안정적 궤도에 진입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때 임신 및 출산 화소는 이러한 혼사장애의 정점에 위치한다. 악인형 여성은 임신 및 출산을 수단화하는 패륜적 행동을 통해 선인형 여성의 고난을 증폭시키는 가운데 그 스스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되며, 선인형 여성은 동굴모티프의 변형태로서 산당(山堂) 혹은 폐실(閉室)에서 홀로 극도의 육체적 · 정신적 고통을 겪으면서 ‘어머니 되기’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시가에서의 안정적 위상을 확보하고, 선인형 남성은 아내의 임신 및 출산을 통해 모(母)-처(妻)-자(子)의 확장된 관계 속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음으로써 ‘아버지 되기’라는 과제를 완수하면서 아내와의 갈등을 해소한다. 대하소설 속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서사를 견인하는 핵심 화소로 기능하고 있다.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has significant sense as the core element of river novels. First of all, in the point of living cultural history, it makes us reconstruct the cultur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ose days through vivid descriptions. The scenes of ‘actual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embodied in full-length novels while mostly ‘embellished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described in short stories. Moreover unlike normal documents, the motif in river novels portray the usual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ose days in the view point of women and related marginal group, the main agent of childbirth. Meanwhile, in the point of narrative structure,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is in charge of pulling the most important and intense aspect of conflicts among characters of river novels. In ‘family novels’ as alternative name of river novels, it is important that the family continue to carry on with the future from father to son. Therefore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related to the birth of descendants, one of the pressing matters of women as the main readers of river novels, emerges as the core element of the river novels. Unlike short stories focusing on the process up to a marriage, river novels focus on the phases after marriage as arranging with many disorders, having children, and managing a stable home. In these cases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takes up the summit of marriage obstacle. Wicked female character amplifies the good character’s troubles through immoral acts as taking advantag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leads to downfall of oneself. Heroine as good female character suffers severe physical and mental distresses in the place like closed cell as transformed motif of cave and finally takes stable position in her husband’s family through passage rite of becoming a mother. And the good male character settles a conflict with his wife by new enlightenment in the enlarged relationship of mother-wife-child. In these ways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 river novels become the core motif leading the core narrative.

      • KCI등재

        고전소설의 “별자리 화소” 연구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6 No.-

        고전소설 속 별자리 화소는 천상과 지상을 매개하는 중요한 화소로, 그 전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장르 간에 차이를 보인다. 먼저 공통된 특징을 살펴보면, 천상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귀결되는 신화 등의 별자리 화소와는 달리, 고전소설 속 별자리 화소는 지상계에 착목하는 양상을 보인다. 천상계의 별자리와 지상계의 인물이 대응되는 구조를 통해 천상계는 지상계의 준거가 되지만 별자리 화소의 초점은 지상계의 갈등에 놓여 있다. 지상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천상의 별자리를 조작하는 양태를 통해 이는 더욱 확실히 드러난다. 이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치열하게 다루는 소설이란 장르의 본원적인 특성에서 연유한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르 간에 별자리 화소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인물보다 더 구체적으로 별자리가 제시되는 남성인물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단편보다는 장편에서 좀 더 일목요연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중 여러 장르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별자리들을 비교해 보면, 삼정승을 상징하는 별인 三台星은 정인군자로 국가의 초석이 되는 인물과 상응하는데, 주로 대하소설에서 보이며 영웅소설 등 단편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文才를 주관하는 별인 文昌星의 경우 뛰어난 글솜씨로 문과에 합격하는 인물과 상응하는데, 단편보다는 장편인 대하소설에서 주로 등장한다. 음양화합·만물화성 등을 주관하는 별인 太乙星은 풍류적이고 애정지향적인 인물과 상응하는데, 애정소설에서는 이 인물이 이상적인 남성상으로 부각되는 반면 대하소설에서는 문제적인 남성상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차이의 제 양상들은 결국 각 장르마다의 지향의식 및 향유층의 취향이 별자리 화소에도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소설 속 별자리 화소는 서사문법적 측면과 사회문화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서사문법적 측면에서 별자리 화소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서사구조를 미리 담보해 냄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사전지식을 동원한 예상과 그 예상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퍼즐을 맞추듯 작품을 읽어나가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사회문화사적 측면에서 별자리 화소는 조선후기 당대 지상에 한정되지 않고 천상까지 확장되는 드넓은 시공간을 일상에서도 향유했던 선조들의 긍정적 모습과 더불어 계층의식이 투영되면서 신성의 공간인 천상마저도 현실의 논리에 복속되는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Constellation motives in classical novels have something in common and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genres. Firstly examining the common ground, constellation motives in classical novels aim at earthly life unlike constellation motives of myth aspiring toward heavenly world. The heavenly world get to be a standard of earthly life through the correspondence between constellation of the celestial world and characters of earthly life. But the focus of constellation motives lies on the conflicts of earthly life. This comes to the front by fabricating constellation of the celestial world to solve the conflict of earthly life. In sequence examining the features of constellation motives in classical novels, the constellations of men are suggested more concretely than the constellations of women. And the constellations of men are established more clearly in full-length novels than in short stories. Samtaesung, the star that symbolize three misters,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 who becomes to be the cornerstone of the nation and is shown more often in epic novels than short stories as heroic novels. Munchangsung, the star that supervise literary talents,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 who get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by outstanding ability and is shown more often in epic novels than short stories. Taeulsung, the star that supervise war, life and death, and negative and positive affairs, correspond with a person of a romantic turn of mind and this character emerges as an ideal male image in romance stories but is described as a problematic male image in epic novels. These aspects show that the tastes of each genre are reflected in constellation motives. In terms of narrative grammar, constellation motives brood the natures of characters and narrative structure in advance and so the readers can feel fun in forecast and confirmation like putting the puzzle together.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 constellation motives show positive nature of ancestors who enjoyed wide space time extending to celestial world, and also it shows negative nature like subjection of the heavenly world into the logic of reality based on class consciousness.

      • KCI등재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 연구(3) -잘못한 부모에 대응하는 자식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길연 ( Han Gil Yeon ) 한국고소설학회 2021 古小說 硏究 Vol.52 No.-

        In this paper, I tried to systematize and comprehensively discuss various aspects of children responding to wrong parents in the entire River-novels based on the standards of degree and authority. First of all, in the aspect of parental sensitivity through extreme obedience as a right path, it was embodied as an ideal way of filial piety for wrongful parents, centering on the elderly male figure of a serious character. However, it exposed its limitations by simultaneously showing the possibility of turning into a blind filial piety with the sacrifice of children and others as collateral while filial piety is absolutely regarded. Next, the aspect of persuasion of parents through temporary measures as a expedient path wa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 light and cheerful realization of filial piety that no one suffered from by showing flexibility centered on cheerful male characters. However, it did not solve the essential problem as much as its temporary and light nature, and it also revealed limitations in the way of deceiving parents. Lastly, the aspect of persuasion of parents through self-harm as a contact point of degree/authority was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carrying out desperate resistance with their bodies as collateral to enlighten the wrong parents, centering on young and upright women or male characters. However, although this is filial piety in that it advises parents to go the right way, it has a limitation as a contradictory filial piety in that it breaks the most basic guidelines for filial piety that the body should not be damaged recklessly. Unlike ideologically perfect filial piety, the novel shows a situation in which problems are inevitably exposed in various directions when they are actually performed. Accepting the culture of the time that emphasizes vertical order, filial piety is the most important in River-novels and emphasizes this through the narrative of passage through filial piety, but unlike ideological filial piety, it raises in-depth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filial piety by translating the problems it actually involves.

      • KCI등재

        <매트릭스>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숙향전>의 의미와 가능성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This study considered deep-rooted meaning and potential of rebirth of Sukhyangjeon in comparison with Matrix. The composition of common/transcendent world in Sukhyangjeon resemble the composition of reality/virtual reality. The florid communication of common world and transcendent world in Sukhyangjeon shows that ordinary common world can be changed to transcendent world in the blink of an eye. On the other hand, Matrix shows that a vivid world in virtual reality is a mere code in real world. Virtual reality can be changed to solemn reality in Matrix.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structural similarity, we can presume that the characters in Sukhyanjeon performed a function as ``avatar`` overcoming the painful reality to the people of the time. The virtual reality in Matrix is near to illusion, but the transcendent world in Sukhyangjeon has deep organic relation with reality. Bisectional composition of common world and transcendent world in Sukhyangjeon can be substitute with the structure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Matrix. On the other hand, the whole outlook of the world of Sukhyangjeon can present alternative messages to fragmented daily lif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정인광: 폭력적 가부장의가면과 그 이면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5 No.-

        This thesis focused on the antinomic aspects that Jeong In-gwang, the violent patriarch can be a sacrificial lamb conversely. Throughout this study I sought to extent thematic consciousness of Wanwolhoemaengyeon. Jeong In-gwang, compelled to ``persona`` of ``patriarchism`` shows a figure as violent patriarch in the presence of others, but in case of being alone or having dream shows a fragmented self being caught by private emotion as affection for his wife, desire to the other sex, and love for his children. He thoroughly faces away private inner world identifying the patriarchal persona with himself, but agonizes in strong tide of feeling like a roller coaster at the time that the suppression of persona is weak and the private inner world spurts out powerfully. These extreme signs of self-fragmentation are closely connected to his inclination to violence. Jeong In-gwang is in a dilemma. On the one hand he reveals extreme nervous temperament in the course of being transformation of ego in the compel of patriarchal persona, and on the other hand he consistently puts on a mask to hide another inner side and solidify patriarchal persona. Wanwolhoemaengyeon has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matic consciousness from feminism up to humanism by giving prominence to the aspect that men can not be free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patriarchism as well as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