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광주 · 전남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구성요인

        한광호(Gwang-Ho 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지역간 생산구조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광주·전남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추정하고 그 구성요인으로 분해한다. 이를 위해 지역더미와 지역특화지수를 도입한 고정효과 확률적변경생산함수(fixed-effects stochastic production frontier)를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총요소생산성과 그 구성요인- 기술진보와 생산효율성(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및 배분효율성) 변화요인 그리고 지역특화요인 - 들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광주·전남 제조업의 시계열자료(1999∼2009, 11개년)와 횡단면자료(27 시군구)로 구성된 패널자료(panel data)이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전남 제조업에는 기술비효율성이 유의적으로 존재하며, 효율성 변화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는 지역과 제조형태에 따라 다르다. 둘째, 비중립적 기술진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유형은 노동사용적이며 자본절약적이었다. 셋째, 규모보수는 불변이거나 체증수익이라고 하더라도 유의성이 낮고 미미한 크기였으며, 따라서 규모요인이 총요소생산성에 주는 효과는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크지 않았다. 넷째, 지역특화지수가 총요소생산성에 주는 효과는 긍정적이지만, 표본기간동안 지역특화지수의 증가율이 크지 않아 지역특화요인이 총요소생산성에 주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그러나 지역특화지수의 탄력성이 양으로 계측되었음을 감안할 때, 지역산업의 입지여부는 집적경제 혹은 규모경제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도를 고려하여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총요소생산성의 구성요인들은 지역과 제조형태에 따라 그 크기와 부호가 상이하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기술진보와 기술효율성 개선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첨단기술 도입 등을 통한 적극적인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근로자 교육과 노동력의 질적 제고 등을 통한 기술 효율성의 개선 노력 또한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is paper estimates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growth and decomposes its contributing factors into technical progress, technical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and regional production specialization change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of Gwangju and Jeonnam. The fixed-effects stochastic production frontier model, which incorporates regional dummy and regional production specialization index to account for differences in the regions" productive structures, is applied to panel data set of 27 Gwangju-Jeonnam regions over the period 1999-2009.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technical efficiency change on TFP growth are different across both regions and manufacturing types. (2) The technical progress is non-neutral onward to labor-using and capital-saving. And technical progress, jointly with technical efficiency change, are influential factors on TFP growth. (3) The returns to scale in labor and capital are increasing slightly. However the hypothesis of constant returns to scale cannot be rejected. So scale efficiency change has insignificant and small influences on TFP growth. (4) Higher production specialization contributes positively to regional TFP growth. But the effects of specialization are minor, because growth rates of specialization during the sample period are very small or negative. (5) The effects of contributing factors on TFP growth vary across both regions and manufacturing types. Technical progress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are most important components among the factors.

      • KCI우수등재

        한국 제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 : 비모수적 맴퀴스트 생산성 지수에 의한 분석

        한광호(Gwang Ho Han) 한국경제학회 2001 經濟學硏究 Vol.49 No.4

        This paper estimates the non-parametric Malmquist productivity indices for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to decompose the sour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growth into technical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The results based on data from 1985-1994 show that the contribution of technical progress was higher than that of technical efficiency improvement in the TFP growth, and that the contribution of scale efficiency change was similar to that of pure efficiency change in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efficiency, and that the rates of technical progress and technical efficiency improvement and TFP growth were weakened in early 1990s, and that technical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did not always move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스폰서 소유권이 리츠의 시장 위험과 유동성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광호 ( Gwang Ho Han ),노승한 ( Seung Han Ro ) 한국부동산원 2021 부동산분석 Vol.7 No.1

        This paper investigates effects of sponsor ownership on the Market Risk (Systematic risk) and the Liquidity Risk using Asian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REIT) data. Previous literature warns that the sponsored REIT structure may cause the agency problem, and insists that the sponsor ownership management relieves the agency problem. However, our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n inverse-U relationship between the sponsor ownership and the two risks (the market risk and the liquidity risk), which indicates that from the risk management perspective, the sponsor ownership management has no effect. This finding can be explained by the fee business model. The sponsor has a motivation for the asset secularization, and an external manager who makes an option contract of performance, acquisition, and divestment fee with REIT has a motivation for the aggressive management style. In particular, the sponsor has the position of both parties in property transactions. In consequence, Asian REITs take a risk of excessive related party transa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ITs’ governance and regulations need to be improved for monitoring of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RPT) and the fee contract, in relation to control structure and in a systematical level.

      • KCI등재

        스폰서 소유권과 배당정책이 리츠의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효과

        한광호 ( Han Gwang-ho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1 不動産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아시아 리츠 자료를 활용하여 스폰서 소유권과 배당정책이 대리인 비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아시아 리츠의 스폰서 소유권 구조는 대리인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기업가치와 성과의 측면을 다루었지만, 대리인 비용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폰서 리츠 연구 영역에 있는 이러한 공백을 채운다. 실증분석 결과 스폰서 소유권은 대리인 비용과 U자 형태의 비선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스폰서가 정부와 관련이 있는 경우 더 높은 대리인 비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결과는 경영자 지분율과 기업가치의 비선형 관계를 주장한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뒷받침되며, 정부 스폰서 리츠가 정치적 목적에 휘둘리지 않도록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의미있는 발견은 스폰서 리츠의 배당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같이 대리인 비용을 줄이는 행위가 아니라 리츠의 성장 기회를 박탈하여 스폰서가 리츠로부터 이익을 가져오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ponsor ownership and dividend policy on the agency cost using Asian REIT data. The sponsored REIT structure is widely considered as the main cause of agency problems.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nsor ownership and firm value or performance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little evidence is available for the agency cost of sponsored REIT. This study would like to contribute to filling this gap. The empirical results show a U-shap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nsor ownership and the agency cost. As well, the agency cost tends to increase if the sponsor is the government-related firms. The findings are in line with existing studies that suggest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firm value, implying that the system for governmentsponsored REIT need to be supplemented. Another finding in this study is that a dividend policy on the sponsored REIT may be a way to make a profit by depriving opportunities of REIT’s growth, not to reduce the agency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