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in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Positive Breast Cancer Receiving Neoadjuvant Docetaxel, Carboplatin, Trastuzumab, and Pertuzumab

        하주영,김정은,이희진,정재호,안진희,정경해,공경엽,채은영,김학희,정일용,고범석,김성배 한국유방암학회 2021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4 No.4

        Purpose: The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expression in breast cancer is a positive prognostic marker for certain breast cancer subtypes.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dual anti-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 blockade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and hypothesized that high TILs tumors are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s. Methods: A total of 17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neoadjuvant docetaxel, carboplatin, trastuzumab, and pertuzumab (TCHP) between December 2015 and December 2018 were reviewed. They were grouped based on a cut-off value of the stromal TILs grade (≤ 20% TILs, > 20% TILs). Results: In total, 107 patients (60.8%) achieved 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pCR). Hormone receptor (HR)-negativity (p = 0.001) and a high TILs grade (p = 0.022)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CR. Among the HR-negative patients, high TILs tum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CR (p = 0.035). Conclusion: HR status and the TILs grade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CR in dual anti-HER2 neoadjuvant therapy. The evaluation of the TILs at baseline may be beneficial for predicting pCR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 KCI등재후보

        프리셉터 역할 경험에 따른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

        하주영,김정순,장미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4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4 No.2

        In this paper,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regarding evidence-based practice facilitators according to the role experience of preceptor in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nurses at three tertiary hospitals and three general hospitals. The respon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belief in the value of EBP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EBP, whereas they had negative perceptions of skills in locating and evaluating research reports, knowledge of research terms and statistics, and time to devote to EBP. Of the subjects, 112 nurses had experienced the preceptorshi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EBP facilitators according to the preceptorship.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프리셉터 역할 경험에 따른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P시 3개 상급종합병원과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4명을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인식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EBP의 가치에 대한 신념, EBP 발전을 위한 조직의 지원, 논문검색 및 평가기술, 연구관련 전문용어와 통계에 대한 지식, EBP를 위한 시간보장과 시간할애의 의지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72.7%가 프리셉터 역할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프리셉터 역할 경험에 따른 근거기반실무 촉진요인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간호조무사와 조무사교육생 비교

        하주영,유미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e image and image determinants perceived by nurse aids and student of nurse aid training cour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00 subject of heath nursing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stitute students and nurse aids. The nurses' image and image determinants were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Yang(199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nurse image. The area of positive image were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image, traditional image, media image and social image and the item with the most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em was ‘Nurse is clean and ti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image determinants. In the order of subjective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and media factors influenced image determinants and the item with the most influenti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em was ‘Immediacy of nurse’. The higher score were nurse aids than nurse aid students that nurse image and image determinants, but this study result showed lower score than the other groups of precedence studies. Nurse aids and nurse aid students are requir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nurse image and image determinants. 본 연구는 간호조무사와 조무사 교육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특성화 고등학교 보건간호과 학생과 간호조무사 학원생 및 간호조무사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간호사의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은 Yang(1998)에 개발된 도구로 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로 분석하였다. 간호사 이미지는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긍정적 이미지가 높은 영역은 전문적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 매체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목 중 가장 긍정적인 항목은 ‘간호사는 깨끗하고 단정하다’로 나타났다. 이미지 결정요인에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관적 요인, 제도적 요인, 매체적 요인 순으로 간호사 이미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목 중 ‘간호사의 신속성’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에서 간호조무사가 조무사 교육생 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나, 선행 연구의 다른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조무사와 조무사 교육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중재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우리는 시간을 어떻게 기억하고 재현하는가?: 류동민의 『기억의 몽타주』

        하주영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0 No.4

        representation of representation works. To do so, he writes a novel based on his past experiences and analyses it using the theories of representation that he supports. We are apt to believe that there are some fixed experiences as a basis of our memory and that we just represent those experiences passively. But that’s not the way we reflect. On the contrary we choose or exclude some specific elements, and we emphasize or conceal certain facts, according to our class interests, preferences, emotions, desires, etc. Thus it is inevitable for us to edit and distort things i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memory, and therefore representation will never be perfect. In spite of this, he does not conclude that all representations of memories are just the subjective and untrustworthy results of editing. Rather, he stresses the danger and tyranny of the oppressive power of general truths to exclude other alternatives. In his philosophy of representation there are some theoretical ambiguities. It does not offer us clear answers to some questions, for example, “on what basis and with what criterion can we judge some representations trustworthy and cogent?” or “how can we find common grounds for collectively meaningful practices in many different, sometimes even mutually conflicting representations?” But he seems to try to find the clue for solving these problems in the materialist bases of representations and the intercrossing and interplay of those multiple representations. 『기억의 몽타주』에서 저자는 재현 또는 재현의 재현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성찰한다. 이를 분명히 보여주고자 그는 우선 자신의 체험을 소설로 구성하고, 그가 지지하는 재현의 철학을 통해 소설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재현의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흔히 우리는 기억의 근거로 고정된 내용의 경험이 존재하고, 우리의 기억은 그런경험을 수동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기억의 주체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기보다 자신의 이해관계, 선호하는 것, 감정적 요소, 욕망 등에 따라 특정 요소들을 선택하거나 배제하며, 어떤 것은 부각하고 어떤 것은 감추거나침묵시킨다. 이렇듯 재현에서는 편집과 왜곡이 불가피하며, 재현은 늘 불완전하기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모든 재현은 다 주관적 편집에 지나지 않으며,신뢰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리지는 않는다.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재현의 불완전성 그 자체보다 총체적 진실이라는 이름 아래 다른 대안적 재현을 배제하는 억압적권력의 위험성과 횡포다. 물론 그의 재현 철학에는 여전히 이론적으로나 실천적 차원에서 불분명한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재현의 유물론적 근거나 다양한 재현들의 상호 교차와 작용에서 찾으려는 것 같다.

      • KCI등재

        일본 취업을 위한 유통 분야 어휘 분석 ―『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의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하주영,한원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analyzed the vocabulary appearing in “Retail and distribution book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primer of distribution sector, by using KH-Coder and then compared the major word classes of noun, verb, NA adjective, I adjective and adverb to the vocabulary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Guidebook” through reanalysis in order to promote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of job seekers wishing to be employed in the Japanese distribution sector. Moreover, by examining the proportion of using vocabulary and using vocabulary per level for each class, it contemplated how much vocabulary of the Japanese distribution sector is contained, as well as which vocabulary should be learned furth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ing vocabulary up to JLPT Level 1 in addition to vocabulary including foreign words related to distribution was required for noun and NA adjective, and learning vocabulary up to Level 1 allowed one to understand 80.94% ofdistribution sector vocabulary for verb, and compound verb used in daily conversation was needed to be learned together. Furthermore, the outcome indicated that one could understand 76.27% of distribution sector vocabulary when learning up to Level 1 for I adjective and 84.69% when learning up to Level 1 for adverb, and other daily conversation vocabulary was needed to be learned together. 본고는 일본 유통 분야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취업 준비생의 일본어 어휘 학습을 도모하고자 유통 분야의 기본서라고 할 수 있는 『小売・流通の本』에 나오는 어휘를 KH-Coder 를 사용해서 분석한 후, 재분석을 통해 주요품사인 명사, 동사, ナ형용사, イ형용사, 부사를 『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의 어휘와 비교하였다. 또한, 각 품사의 급수별 사용어휘 비율과 사용어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일본 유통 분야의 어휘가 얼마큼 수록되어있는지와 더불어 어떤 어휘를 더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명사, ナ형용사는 1급까지의 어휘와 더불어 유통 관련 외래어를 포함한어휘를 학습해야 하며, 동사는 1급까지의 어휘를 학습하면 80.94%의 유통 분야의 어휘를이해할 수 있으며, 일상회화에서 사용되는 복합동사도 함께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イ형용사는 1급까지 학습하면 76.27%를 부사는 1급까지 학습하면84.69%의 유통 분야의 어휘를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일상회화 어휘도 함께 학습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とか」에 관한 일고찰 -중고 중후기・중세 초기의 자료를 중심으로-

        하주영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일본문화연구 Vol.0 No.72

        In this study, ‘とか’ was researched on the basis of the early Heian period monogataries and the former Middle Age period monogatar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in below. In 『Utsuhomonogatari』, 『Genzimonogatari』 it was identified that ‘とか’ had been used as a compound postposition as in the example where case particle ‘と’+sub-particle ‘か’ (It’s callde ‘と’+‘か’ below.) was used in Ancient times and the latter Heian period. The examples of compound postposition ‘とか’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amples of ‘と’+‘か’. In the formative examples where ‘と’+‘か’, it is used as ‘interrogative (interrogative expression) とか~guess auxiliary verb/joint type’ and the compound postposition ‘とか’ is used as ‘~とかいふ(申す, のたまふ)/思う, 聞く, ある, etc.’ in a format of ‘とか’. Also, there were examples where ‘とか’ and ‘とかや’ are used as a collocation, ‘なにとか(や)’.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とかや’ were found three times more than the examples of ‘とか’ in 『Heikemonogatari』, and ‘とか’ was used only as ‘と’+‘か’. Also, it was only used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However, ‘とかや’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as well as at the end of the sentence interchange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