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지출 행태를 통한 교통과 통신의 상호연관성 연구

        추상호,Patricia L. Mokhtarian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8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소비자 지출(1984-2002)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과 통신간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소비자 지출 전체 항목 중 교통 및 통신 관련 항목을 12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의 수가 적어 이 세부항목을 다시 5개의 대 항목(대중교통, 차량구입, 차량운영, 전자통신매체, 인쇄통신매체)으로 그룹화한 후 Linear Approximate Almost Ideal Demand System(LA/AIDS) 기법을 이용하여 소비자 수요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평균 소비자 지출 분담율을 기준으로 교통과 통신의 소득 및 가격 탄력성을 산출하였다. 모형추정결과, 교통과 통신의 상호관계는 항목별로 대체(예, 대중교통 이용과 전자통신미디어 이용) 및 보완(예, 개인차량 구입과 전자통신미디어 이용)관계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리고 교통관련 항목의 소비자 지출이 통신관련 항목의 지출보다 소득면에서 보다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nditures on transportation and those on communications, using consumer expenditure data from the U.S. for the 19 years 19842002. We first identified 12 categories of goods for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and then applied the linear approximate Almost Ideal Demand System(LA/AIDS) method for estimating consumer demand functions based on aggregating the categories to five (public transportation, personal vehicle capital, personal vehicle oper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and print communications media)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Expenditure and price elasticities were also calculated at mean values of expenditure sha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categories have both substitutive(e.g. public transportation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and complementary(e.g. private vehicle capital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relationships. Additionally, expenditures in the transportation categories are generally more income-elastic than those in communications.

      • KCI등재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결과에 미치는 요인분석 (미국 캘리포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추상호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3

        For the past decades, vehicle emissions has been a major source of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I/M) test programs were developed for major metropolitan areas to reduce urban air pollution. However, there are a few studies of exploring major factors to influence I/M test failure. This study develops a logit model to identify key factors affecting overall test failure, using the vehicle I/M test data from California in October 2002.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vehicle age, odometer reading, engine size, vehicle make, presences of emissions control equipment, and test typ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I/M test failure. 지난 수십년간 자동차의 배출오염물질은 대도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같은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배출가스 검사제도가 실시되고 있으나, 이 검사결과에 대한 배출가스 과다차량의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가 엄격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2002년 10월의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결과에 대한 이항로짓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과다배출가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차령, 주행거리, 엔진크기, 자동차 제조업체, 배기가스제어장치 장착여부, 검사방식 등이 배기가스 과다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추상호,이향숙,신현준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The paper analyzes trave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using the data of the 2010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ompares its results with those of the 2006 survey. We first analyze travel pattern changes with respect to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frequency, trip purpose, trip mode, travel time and distance) and temporal/geographical distribution (such as departure time and trip purpose), and then develop regression models for the total number of trips for both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considering household and personal attributes and land use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key factors influencing on travel of the elderly and compare the model results of the two. It is found that commute trips and short-distance trips of the elderly increase due to thei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Interestingly, in addition to household (such as income and household size) and personal attributes (such as age, gender, and occupation), land use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density and floor area ratio of commercial buildings) significantly affect the elderly travel. 본 논문은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고령자들의 통행특성을 분석하고, 고령자의 통행발생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모든 분석은 고령자 그룹과 비고령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2006년 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우선 통행빈도, 통행거리, 통행시간, 통행수단, 통행목적, 통행출발시간 및 통행출도착지 분포 등에 관한 고령자의 통행패턴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가구 속성, 개인 속성, 토지이용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통행빈도에 관한 회귀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자의 통근 통행과 단거리 통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고령자 그룹의 사회활동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구 속성(가구 수입 또는 가구원 수 등), 개인 속성(나이, 성별, 직업 등), 토지이용(인구밀도, 연상면적 비율, 상업시설 등)이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QTL analyses of heterosis for grain yield and yield-related traits in indica-japonica crosses of rice (Oryza sativa L.)

        추상호,Wenzhu Jiang,이주현,진중현,고희종 한국유전학회 2012 Genes & Genomics Vol.34 No.4

        Two sets of rice materials, 166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Korean indica-type rice) and Tong 88-7(japonica Rice), and BC1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between the RILs and the female parent, Milyang 23, were produced to identify QTLs for heterosis of yield and yield-related traits. The QTLs were detected from three different phenotype data sets including the RILs, BC1F1 hybrids, and mid-parental heterosis data set acquired from the definition of mid-parental heterosis. A total of 57 QTLs were identified for nine traits. Of eight QTLs detected for yield heterosis, five overlapped with other heterosis QTLs for yield-related traits such as spikelet number per panicle,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Four QTLs for yield heterosis, gy1.1, py6, gy10, and py11,wer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total of 17 EpQTLs for yield heterosis that explain 21.4 ~ 59.0 %of total phenotypic variation, indicating that epistatic interactio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terosis.

      • KCI등재

        서울시 가구구조 유형별 공간적 분포 및 통행발생 요인 분석

        추상호,박성경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1

        As economic crisis continues and social structure changes in Korea, household types such as single households, divorced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etc.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uch trends may affect travel behavior, considering household membe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making trips. Literature on travel behavior related to household structure is quit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five types of household structures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travel behavior. Poisson regression models for personal trip generation by household structure are developed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trips, using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in the Seoul provided by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The main results indicate that households with children tend to live in the regions where educational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single households prefer the downtown areas. The household size, access time to the bus stop, and elderly population rate have positive effects on travel, while car ownership, the degree of mixing of the tertiary industry, the total floor area of cultural facilities and entropy index shows negative effects.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위기 및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독신가구, 이혼가구, 노인가구 등 가구구조의 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개인이 가구의 일원으로써 가구구성원과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음을 고려하면 이러한 가구구조의 변화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구구조를 고려한 통행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가구구조를 5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가구구조별 공간적 거주분포를 살펴보고 가구구조 유형에 따른 통행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구구조 유형별로 개인의 통행발생에 관한 포아송 회귀모형을 구축하여 통행의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한다. 분석자료는 수도권 교통본부에서 제공하는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중 서울시에 해당되는 자료이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구구조별 분포를 보면, 주로 자녀가 있는 경우는 교육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며, 독신가구의 경우 도심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행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가구구조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통행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구원수, 버스정류장 접근시간, 고령화 비율 등이 있다. 반면, 자동차 보급률, 3차 산업의 산업혼합도, 문화시설 건물연면적, 엔트로피지수 등은 통행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속가능교통을 위한 사이버 압축도시 개발 방안 연구

        추상호,성현곤 한국ITS학회 201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통행패턴을 제고하기 위해 압축도시개발기법에 정보통신요소를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사이버 압축도시(Cyber-Compact City)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통신기술과 도시개발 전략을 통합하는 사이버 압축도시의 개념을 기존 문헌 등을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교통의 지속가능성 제고 측면에서 정립하였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압축도시개발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추진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법을 세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번째는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융합전략으로 국토 및 도시공간구조의 연결체계를 대중교통과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며 철도의 여유공간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건설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대중교통 결절점과 정보통신 결절점의 융합전략으로 주요 철도역을 중심으로 지역거점 및 도시거점의 정보통신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중교통 영향권과 정보통신 영향권을 통합하여 연계체계 및 정보통신기능이 강화된 대중교통지향형 입체복합개발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strategies of cyber-compact city, combining compact city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ICTs),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le transportation. The cyber-compact city development is defined as a development that is able to reduce travel by ICTs and encourage people to use transit or non-motorized vehicles such as bicycles for ICT-induced travel (especially, discretionary travel) by compact and mixed land use. It can be achieved with combining cyber and compact strategies with respect to network, node, and area. For example, ICT network may use transit network facility, a transfer station may be a hub of ICTs, and transit influenced zone may work with ICT service area. We proposed three cohesive strategies for the cyber-compact ci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on cyber and compact cities. The first strategy is a cohesion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by centering on the two for national and urban spatial linkage structure. That is, cities or urban centers and its peripheral areas can be connected by rail network, and extra space of railway network can be used for construct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infrastructure. The second strategy is a cohesion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node and telecommunication node by building up regional and urban telecommunication centers near to or at main railway stations. For this strategy, telework centers and communication service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mainly at transfer stations. The third strategy is a cohesion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impact zone and telecommunication impact zone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통행사슬 유형에 따른 자전거 이용자 행태 분석

        추상호,장유경,황기연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4

        To analyse the travel behaviour of bicycle users, trips of 2006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 Travel Surve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of trip chaining: as simple work, complex work, simple non-work, and complex non-work. Descriptive analysis and built ordered probit models for work and non-work trip chaining types. were conducted, after which the model results have been compared. The model results show that women who own no or few cars and live in places with higher employment density usually use their bikes for the work trip chain. Meanwhile, men who earn monthly household incomes exceeding 2 million won and live where bike paths are well established are likely to ride bikes for the non-work trip chain. The results seem to correspond to those from the descriptive analysis. As bikes are mostly used for short trips, these findings could be considered to establish bicycle policies regarding on dissemination, neighborhood facilities, and safety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connectivity with public transportation.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 이용자의 통행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형별 통행사슬로 분류하여 자전거 통행에 영향을 주는 가구, 개인, 토지이용 및 통행특성 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 직장, 복합 직장, 단순 비직장, 복합 비직장의 4가지로 분류하고 일반특성 및 통행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자전거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전거 통행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구축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자전거 통행수에 대한 모형분석 결과, 직장관련 통행사슬의 경우 고용밀도가 높은 곳에 거주하거나 승용차를 보유하지 않거나 적게 보유한 가구의 여성이 단거리 통행에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직장 관련 통행사슬의 경우 자전거도로가 잘 구축되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소득이 2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남성이 단거리 통행에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자전거가 단거리 통행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자전거 보관소 등 근린 생활권 단위의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에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이며, 자전거 관련 안전 정책 등을 수립할 때에도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전거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과의 연계방안을보다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주말 통행특성 분석 연구

        추상호 한국ITS학회 201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1 No.3

        최근 소득의 증가와 주5일제 근무확대로 인해 주말의 통행행태 및 수요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주말통행은 평일통행과는 달리 주로 쇼핑, 여가, 레저 등과 연관되어 있어 주로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 주요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의 교통혼잡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말통행수요예측이나 교통정책수립측면에서 주말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6년에 수행한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중 동일가구에 실시한 평일 및 주말 통행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평일과 비교분석을 통해 주말통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개발하여 평일과 주말(토요일과 일요일)의 통행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모형추정결과, 평일과 주말통행에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로 성별, 직업, 소득, 미취학아동수, 자가용보유 여부 등의 변수가 주말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rip demands and patterns on weekends have been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decade due to the income growth and the spread of the 5-day workweek in Korea. The increased weekend trips for shopping, leisure activities, entertainment and friendship have exacerbated traffic congestion in major highways or principal arterial roads from Friday afternoon through Sun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ravel demand forecasts and transport policies for weekend trips by investigating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trips. Previous research efforts focus on simpl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weekend trips and comparison of travel characteristic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The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weekday and weekend trips via statistical analyses to derive multiple types of characteristics of weekend trips, and develops Tobit models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number of trips, using Seoul city’s weekend trip survey data in 2006. The model results show that weekend trips appear differently from weekdays by household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residence area and type of residence affected the number of trip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day, whereas gender, occupation, income, presence of household vehicle showed different impacts on trip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통신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추상호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lecommunications impacts on travel in a comprehensive system, considering demand, supply, costs, and land use. This study first presents a conceptual model, consider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travel, telecommunications, land use, economic activity, and socio-demographics. Then,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the aggre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lecommunications (local telephone calls, toll calls, and mobile phone subscribers) and travel (vehicle-miles traveled and number of transit passengers) are explored in a comprehensive framework,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national time series data spanning 1950-2000 in the U.S. The model results suggest that as telecommunications demand increases, travel demand increases, and vice versa. Additionall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and use significantly affect travel demand. 본 연구는 총체적 관점에서 통신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수요, 공급, 비용, 토지이용 등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종합적인 체계속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행, 통신, 토지이용, 경제활동, 사회인구지표를 고려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개념적 모형을 토대로 미국의 1950~2000년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통신(시내 전화통화수, 장거리 전화통화수, 이동전화가입자수)과 통행(vehicle-miles traveled와 대중교통이용자수)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통신의 이용이 승용차 및 대중교통의 통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밖에 교통시설공급 확대와 토지이용(도시교외화)도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ndividual Responses to Congestion Policies: Modeling the Consideration of Factor-based Travel-related Strategy Bundles

        추상호,Patricia L. Mokhtarian 대한토목학회 201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5

        This study explores key factors affecting individuals’ consideration of eight travel-related strategy bundles (auto improvement,mobile phone, work-schedule changes, hire someone to do house or yard work, mode change, home-based work, residential/employment relocation, and alter employment statu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fourteen-page survey returned by about 1,300 commuters living in three distinct San Francisco Bay Area neighborhoods. We developed discrete choice (binary logit)models for individuals’ consideration of each bundle. The results suggest that besides adoption and time since adoption of individual strategi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obility-related variables, Travel Attitudes, Personality, Lifestyle, Travel Liking, and Excess Travel significantly affect individuals’ consideration of the travel-related strategy bund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