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4세기 고구려 지방통치의 발전과 대민지배의 강화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3 No.-

        이 연구의 목적은 2~4세기 고구려 지방통치가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살피는 데 있다. 2세기 말부터 4세기 말에 이르는 시기는 지방통치체계가 발전하는 시기였다. 2세기 말부터 곡-촌 단위까지 파악이 되고 있다. 이 대민파악을 토대로 3세기 초에는 전기 의 1단계 통치체계에서 태수-재라는 2단계 통치체계를 구현했다. 때문에 민에 대한 파악과 관리가 훨씬 수월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광활한 영토가 확보되는 광개토왕대에는 필요한 지역에 수사직이라는 광역의 지방관이 설정되었다. 지방의 구조는 나부·성 - 성·곡 - 성·촌의 단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연적인 지방단위보다는 인위적인 편제단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이기도 했다. 그럼으로써 개별적인 민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끔 편제를 하였던 것이다. 이 시기에는 가구 단위로 민을 파악하고 관리했지만 역역 동원시에는 해당역역의 특성에 따라 가 단위로 차출하거나 곡 또는 촌 단위로 차출을 했다 조세의 수취는 대체로 . 가구 단위의 빈부를 조사하여 차등적으로 징수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operated local ruling in 2-4 century period of Koguryo. From ending of 2nd century to ending of 4th century, the local ruling is developed more step. In the regional areas, Na-Bu and Seong-eup still existed. For each of these Seong-eup, Tae-soo(태수) and Jae(재) was dispatched, respectively to be responsilble for ruling. King Sansang(산상왕) carries out moves the capital to HwanDo-seong(환도성) in Kuknae area. From after that, local rulng system was upgraded. The local officer who called Soo-sa(수사) were dispatched in King Gwanggaeto period. They governed more wide area than Tae-soo or Jae. At this time, the local area was composed to Nabu Seong Chon. The operation of local rule the tax collection and manpower mobilization accomplished directly control.

      • KCI등재

        상악동 국균증의 임상적 특성

        최희수,윤정훈,김형준,차인호,Choi, Hee-Soo,Yoon, Jung-Hoon,Kim, Hyung-Jun,Cha, In-Ho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3

        Nine cases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during a period from February of 1992 to June of 2000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is rare disease, but it was increasing tendency with overuse antibiotics, steroid hormones, and anticancer agents. Aspergillosis of the maxillary sinus may occur as a chronic disease in an otherwise healthy person. The clinical features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were similar to the non-fungal, chronic sinusitis. Intrasinus calcification is known to b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It is suggested that excess root filling materials containing zinc oxide in the maxillary sinus could favour the formation of a local, non-invasive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And this "dental" model of pathogenensis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is an alternative to the widely accepted concept of spore inhalation and "aero-genic" pathogenensis of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The radical surgery such as Caldwell-Luc operation w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Our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might occur mainly in healthy individuals rather than debilitating patients. It could efficiently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alone without the antifungal agents. 4 cases were suspected to be related with teeth extraction and endodontic treatment. There were no recurrence in all cases.

      • KCI등재

        세종시 국난극복사와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최희수(Choi, Hee-S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6 No.-

        세종시는 최근에 인위적으로 구획된 행정구역이다. 따라서 지역의 정체성을 새로이 확립해야할 필요가 있다. 세종시 정체성의 기본바탕은 세종의 인문정신이지만, 지역의 역사문화적 전통 또한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세종시의 국난극복사를 탐색해 보았다. 세종시에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한 고려시대 연기대첩, 왕조의 교체때 충절을 지킨 인물, 임진왜란때 무공을 세운 장수, 구한말 의병장 등 다양한 국난극복의 전통과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는 지역이다. 이같은 국난극복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다. 연기대첩의 주요유적지를 현재 둘레길을 활용, 등산과 연계하여 연기대첩역사 탐방로를 개설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임난수, 임대수, 유형과 같은 충절의 인물들과 관련된 유적을 중심으로 강좌와 답사 등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세종시민들의 지역 문화정체성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적 전통에 기반한 지역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Sejong City i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cently artificially compartm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new identity of this area. Basic foundation of the Sejong City identity is Sejong humanities spirit, but it is necessary to pursu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region also continued. To this end, I saw explore the national crisis overcome of Sejong City. Sejong City has a case when the Goryeo Dynasty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such as the Yongi Daecheop(big battle). There are also several historical figures. For example, a person who kept the loyalty, a person established exploit, and a person bestired Righteous Army activities. The cultural heritages related to these events and the figures are remaining. It can be planning a number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se history of national crisis overcome. With regard to the Yongi daecheop, it can be opened by linking major sites in the mountains and hiking history trails.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currently operating perimeter road as a history trail for Yongi daecheop. There is also need to foster regional cultural identity of Sejong citizens by the operating history education programs around the ruins of the figures associated with loyalty, such as Lim Nan Soo, Lim Dae Soo, and Yoo Hyung. History education programs can be operated exploration programs and lecture courses. It must go through to establish a regional identity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region ultimately.

      • KCI등재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최근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일반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좋은 일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스럽기도 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관심이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바르게 받아들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학계가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한국고대사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하다. 대중과의 소통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콘텐츠이다. 그 가운데에서 대중들의 역사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역사콘텐츠임은 물론이다. 역사콘텐츠는 역사를 소재로 하거나, 역사를 주제로 삼은 콘텐츠를 의미한다. 역사콘텐츠는 콘텐츠가 유행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부터 급격히 발달해 왔다. 역사드라마, 역사영화 등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역사콘텐츠들이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해 왔다. 따라서 역사학과 콘텐츠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하다. 역사콘텐츠는 우선 역사지식을 집적하는데서 비롯되었다. 민간주도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가 선행되었고, 뒤이어 국가주도의 지식정보 집적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반대중들이 접근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새롭게 대중들에게 다가설수 있는 콘텐츠들이 기획되고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반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콘텐츠를 다시 가공하는 사업들이 진행된 것이다. 역사학의 목표는 대중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시켜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하게 만드는데 있다. 그 가운데 콘텐츠는 역사적 상상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사료상의 공백으로 인해 생기는 역사상의 빈 공간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 상상력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는 ICT와 결합된 체험형 콘텐츠이다. 대표적인 기술이 가상현실, 증강현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체험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우리가 접할 수 없었던 과거시대의 역사상을 재연하고, 감정이입을 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같은 방식을 디지털세계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과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의 4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을 기반으로 체험콘텐츠가 제작되면 과거 역사상에 대한 대중들의 구체적 경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사고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계에서 IC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콘텐츠에 대한 비판도 역사적 사고력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그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역사학은 학계의 성과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콘텐츠는 대중들의 역사적 상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general public has increased interest related to ancient history. On the one hand i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s a worried thing. Because it is not accepted properly research the history of academia. So it is a very critical on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history of academia. Such attempts that scholar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ways are highly desirable. Content is exercised enormous influence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 course, it is an historical content, as well as being profoundly affect public perceptions of history. Historical content means content include history as a material, or history as a subject. Historical content has been developed rapidly since the 1990s. Historical dramas, historical movie, it started to exert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However, academics have complained these contents failed to reflect historical facts faith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win-win between the content and history. Historical contents were first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private sector was leading database of historical documents, subsequently it was pursued state-led projects accumu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there were, despite the many achievements, has a lot of limitation in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refore, content that appeal to the masses began to have a new development. It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re-processed content services to facilitate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goal of history is making the proper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masses by cultivating historical thinking. Among them has the content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e empty space in the history caused by spac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will need to fill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is combined with experimetial content with ICT. Typical technology i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It is allows us to reproduce the history of a bygone era could not access, and empathy by expanding the area of human experience. Such a method is described the concept of meta-bus in the digital world. Metaverse is divided into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worlds, mirror world, life logging area. If experimetial these product based on these area, it can implement detail experience of the public about the history of the past, also can enhance the historical thinking. Therefore, academic history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historic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CT technology. In addition, the history academics shall define the criteria by considering the elements needed for historical thinking about criticism of the historical content. Thereby, the academic history refl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ntent, and the content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public.

      • KCI등재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한 유교 인물 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최희수 ( Choi Hee-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본고는 국내 대표적인 유교정보서비스들 가운데 특히 유교 인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점검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등의 지원으로 구축된 유교정보서비스들은 전통문화유산의 하나인 유교문화를 대표하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했지만, 그 활용도는 그리 높지 않다. 그것은 각각의 정보들이 고도의 전문적인 정보이면서. 독립적으로 서비스되고 있고,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못한데서 기인한다. 성균관대학교, 경상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국학진흥원 등 각 지역을 대표하는 유교자료의 소장처들은 지난 십수년간 유교문화자원을 디지털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유교경전이나 유학자들의 문집 등 텍스트를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각 정보들이 단절적으로 제공되어 해당 인물의 사상 형성과정, 정책과 사상과의 연계 등을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아울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화유산 활용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 발굴과 기획에도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유교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서비스들을 점검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큐레이션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유교 인물과 관련된 정보들을 각각의 관계망 속에서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특히 유교 인물정보 서비스에 있어서 시각화를 통한 다양한 맥락에서의 자료 제공과 전자지도를 활용하도록 하여 유교 인물정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유교 인물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지역문화 소재의 발굴, 다양한 콘텐츠 기획,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rvices related to Confucian people, especially among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and to devise a plan to activate them. Confucian information services built with the support of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project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representative of Confucian culture,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but its utilization is not so high. The collections of Confucian materials representing each region, including Sungkyunkwan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Korea, have digitized Confucian cultural resources for decades. However, they provide information mainly on texts such as Confucian scriptures and textbooks of Confucian scholars,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ology of the person and the link between policy and ideology. In addition, it has not been very helpful in discovering and planning various contents required for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that is emerging. In order to revitalize Confucian information service, this paper examines existing services to point out problems, and based on this, suggests the activation method using digital curation. In particular, the Confucian people information service was provided through the use of digital maps and visualization of data in various contexts.

      • KCI등재

        인문학과 문화기술의 상생을 위한 과제

        최희수(Choi, Hee Soo)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7

        이 글은 최근 문화기술의 구현기술과 구현내용을 검토해 보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그 방향을 점검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개발된 문화기술들은 크게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인터넷 및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 그리고 인터랙션 기술로 구분된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인간의 표현력을 크게 신장시켰다는 점에서, 인터넷 및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은 인간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없애주었다는 점에서, 아울러 인터랙션 기술은 인간이 체험할 수 있는 영역을 크게 확대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크게 평가할 만하다. 이 기술들은 인터넷 상에서, 모바일 상에서, 그리고 박물관, 전시관, 공연장 등 거의 모든 문화의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면서 사람들에게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인문학적 관점에서 보면 문화기술이 인간의 체험환경을 크게 변화시킨 것을 사실이지만, 인문학이 추구하는 본연의 가치, 즉 표현대상이 갖고 있는 콘텍스트 정보를 인간들에게 구체적으로 체험시키는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문화의 내용을 제대로 향유시키기 위해서는 문화가 담고 있는 본질적인 가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도록 인문학과의 접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인문학과 문화기술의 상생을 위해서는 양자간의 융합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최근 대학과 대학원의 융복합 교육과정의 개설은 매우 바람직하다. 아울러 인문학과 문화기술의 협동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고, 이는 상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간극을 점점 좁혀가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인문콘텐츠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heck CT’s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with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of culture technology. Current culture technologies are devided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internet and mobile network technology, and and interaction technology. These are highly valued to changes the environment of the human. Computer graphics has expanded the expressive of the human. Internet and mobile network technology was to get rid of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of the cluture enjoyment of human. In addition, interaction techniques expanded the area the people can experience.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in every culture field. In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however, are skeptical. The fact that culture technology have changed the environment of the human experience is true. But they do not experience the original value of the culture to humans. In other words, culture technology do not deliver context information. In order to enjoy the cultural context, we should find the contacts of the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 For win-win of humanities and culture technology, bilateral fusion is needed. In that respect, the recent opening of the University and the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curriculum is highly desirable. In addition, a cooperative study of humanities and culture technology need to be more active. Cooperative research should be narrowed the gap graduall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Therefore, desirable human contents will be able to be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百濟 초기 部의 성립·운영과 地方統治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8 No.-

        이 글은 백제 초기의 부제의 성립과 운용을 통해 지방통치 방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삼국사기』백제본기 초기기록을 적극 활용하여 그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백제 초기의 5부는 처음부터 체계적인 구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국가 방어의 목적 아래 남부와 북부를 먼저 설치하였고 그 뒤에 동부와 서부가 추가로 설치되면서 중앙과 함께 5부가 성립되었다. 최초 설치시기는 대체로 백제가 사료에는 마한으로 등장하는 목지국을 병합한 기원전후한 시기로 파악되며, 설치의 목적은 백제를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방어와 아울러 병합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지배를 위한 것이었다. 5부를 통한 구체적인 지방통치의 내용은 국가운영이 기반인 역역동원과 수취 체제의 확립으로 파악되었다. 백제는 초기 정복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축성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5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지방관의 파견도 이를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5부는 중앙권력이 지방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된 것이며 이른바 부체제와 같은 형태를 적어도 백제 초기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것은 5부를 관칭한 인물들의 성격, 그리고 5부가 등장하는 기록에서 보이는 전쟁, 사민, 순수 기록 등을 통해서 보아도 그러하다. 고이왕, 근초고왕대를 거치면서 정비된 이 초기의 5부는 웅진 천도 이후에도 여전히 유지되었으며, 백제 후기에 보이는 5방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짐작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local ruling system of early Baekje through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on identifying entities the early records of " Samguksagi ". The 5 Bu of the early Baekje was not started in systematic initiative. It was placed the Northern and Southern under purpose of national defense first. Followed by East and West are installing. Its installation time is usually identified around B.C. & A.D. when Baekje merge Mokjiguk. It"s purpose was for defense against the forces that threaten the Baekje and domination the active control over the merged region. That details of the 5 Bu was identified as the establishment of labor mobilization and taxation. Baekje was actively leveraging 5 Bu in order to perform the initial conquest for many consecration was performed. 5 Bu is installed as the central power to control the local forces. It is supported by the record such as the nature of the figures, war, the migration of people, instantaneous of the King. The early 5 Bu was maintained when King Go-i and King Geunchogo rule. It was supposedly connected to 5 Bang of the late Baekje.

      • KCI등재후보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의 구조와 의미

        최희수(CHOI Hee-soo)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2 No.-

        본고는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의 외연적 형태와 구조, 그리고 지방통치의 전개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이제까지의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중국측 사서 중심의 누층적 성 편제라는 결론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는 듯 하다. 또한 세부적인 문제, 가령 지방행정단위의 문제, 지방관의 형태문제, 지방의 구분 문제 등에 대해서 학계의 합일된 견해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급적『三國史記』에 등장하는 여타 기록들과 중국측 사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방통치의 실체 파악을 중점적으로 시도해 보았다. 먼저 사료상에 한결같이 등장하는 部名에 대한 검토를 해보았다. 이들 部名은 주로 五部나 방위명 부, 방향명 부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실체를 밝히는 것이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의 외연을 밝히는데 가장 선결되어야할 문제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들 部名들에 대한 검토 결과 고구려 후기의 五部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우선 전국적 구분으로서 五部의 실재 여부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지방 五部는 그 명칭을 알 수없지만 실재하였고, 여기에는 外評五部褥薩이 파견되어 통치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방위명 부는 초기 이래로 왕기의 구분 명칭이었음과 이러한 전통이 고구려 후기까지 이어서 왕기의 지역구분으로 있었고, 여기에도 또한 지방 五部와 마찬가지로 內評五部褥薩이라는 지방관이 파견되어 통치하였다고 보았다. 한편 전후상하중의 방향명 부는 왕도의 구분이었다고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지방관의 존재형태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한원』「고려기」에 나와있는 서술내용과 어의에 의한 검토 이외에 사료의 문장구조 분석을 토대로 지방관의 실재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방인 왕기와 전국 五部는 각각 諸大城-諸城-諸小城의 누층적인 성의 등급별로 편제되었으며, 諸大城에는 중국의 도독에 비정되는 褥薩이, 諸城에는 중국의 주 자사에 비정되는 處閭近支(道使)가, 諸小城에는 중국의 현령에 비정되는 婁肖가 임명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성-내지 諸大城과 諸城급 이상에만- 에는 중국의 長史에 비정되는 可邏達이 있어서 지방관의 속료로서 업무를 분장하여 담당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이들 지방관이 파견된 지방행정단위는 각급 성을 기준으로 일정한 제도로 편제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의 검토를 위해『삼국사기』지리지에 등장하는 각종 고구려 후기의 지방제도와 관련된 내용들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도독부에 비정되는 諸大城은 部로, 중국의 주(또는 군)에 비정되는 諸城은 군으로, 그리고 중국의 현에 비정되는 諸小城은 현으로 파악되어, 결국 고구려 후기의 지방제도는 部-郡-縣의 형태로 존재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들 部-郡-縣의 명칭은 주로 치소성의 이름을 사용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각 사료상에는 城을 중심으로 서술된 것으로 보았다. 고구려 후기 지방제도는 고구려 중기 지방통치에서 계기적으로 발전한 형태였는데, 중기의 城(谷)의 宰-군급 성의 太守-國郡과 같은 광역의 守事들이 각각 후기의 褥薩-處閭近支(道使)-婁肖로 전환된 것으로 추측해 보았다. 이러한 고구려 후기의 지방통치는 중기의 발달된 지방통치의 전개에 따라『周書』, 『隋書』의 조세 수취 기록이나, 광개토왕비, 평양성각 자성석의 기록들로 보아 원활한 역역동원체계를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말기 오골성 욕살의 예에서 보듯이 이미 지방관의 능력은 말기로 갈수록 퇴보되어 궁극적으로 왕권을 대행할 수 있는 능력 자체를 상실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그것은 후기 들어 발생한 권력 분쟁과 지속적인 대외 전쟁에 따른 국정의 피로, 그에 수반한 국정 운영 시스템의 노쇠 현상이 맞물려 벌어진 상황이었다. 지방통치의 전개는 국가권력 중심의 이동이라는 의미를 같이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해 보았다. 즉 고구려 초기 나부세력이 왕과 함께 국가권력에 참여하여 국가의 핵심으로 자리잡은 시기에는 나부를 관칭하는 인물들이 중앙정계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다가 왕권이 강화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점차 나부를 관칭하는 인물들은 줄어들고, 왕기지역의 방위명부를 관칭하는 세력들이 증가하여 국가권력을 장악하였다. 이 시기가 대체로 고구려 초기에서 중기로 이행하는 과정이었다고 보인다. 하지만 중기이래로 율령의 반포, 대외 정복전쟁, 평양 천도 등 일련의 국가체제정비를 계기로 하여 이제는 왕도 출신 인물들이 국정을 장악했다고 보인다. 「중원고구려비」에 등장하는 전부, 하부를 관칭하는 인물들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보아 그러하다. 또한 같은 비문에 나오는 환노(환나)나 평양성 각자성석에 나오는 괘루 등 과거 나부세력이라고 믿어지는 지역이 지방의 격하된 현상을 보여주는 것도 일례로 보인다. 그러나 후기 안원왕대 국가권력의 분열을 시작으로 점차 권력의 중심이 원심화되는 현상을 보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삼국사기』연개소문전에 보이듯이 연개소문과 같은 왕기지역의 권력자들이 다시 등장하게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research is to try to observe about the form and the rescue of local rule in the late Koguryo. About until now in the late Koguryo local rule research could not escape from conclusion in the Chinese history record. When is possible because like that and appears in 『Samguksagi(삼국사기)』crosscheck of different record and Chinese history record and to lead, tried to attempt the entity grasp of local rule importantly. Tried to observe first of all about Five department(오부). In the Wanggi(왕기) region, there was Five department with names of Dong, Seo, Nam, Buk, and Jung(East, West, South, North and Center) and in each region, Yoksal(욕살), the position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local ministry was dispatched to take charge of the ruling. In the Wangdo(왕도) region, there was Five department with th names of Jeon, Hu, Sang, Ha, and Jung(Front, Back, Up, Down and Inner) and were again divided into sections. In the regional areas, Five department was formed as countrywide classification. Five department used the names of ruling castles instead of each district and the regions consisted of administrative units made up of 3 castles ; Jedaesong(제대성)-Jesong(제성)-Jesosong(제소성). For each of these castles, Yoksal(욕살), Choryogeunji(처려근지), and Rucho(누초) were dispatched, respectively to be responsilble for ruling. The administrative unit Jedaesong was grasped with Bu(부), Jesong was grasped with Gun(군), Jesosong was grasped with Hyon(현). The local rule of late Koguryo is that the local rule of middle Koguryo advances. In middle Koguryo to Song(Gok), Jae(재) was nominated, to Gun, Taesu(태수) was nominated, to Wide Area(광역), Susa(수사) was nominated. This secretary region were converted with Yoksal, Choryogeunji, and Rucho of late Koguryo. The operation of local rule the tax collection and manpower mobilization all smoothly, became accomplished, for example like the records which come out to 『Juso(주서)』, 『Suso(수서)』, 「GwanggaetowangBi(광개토왕비)」, and 「Pyongyangsong Gakjasongsok (평양성 각자성석)』. But to Koguryo final period the ability of Secretary region retrogressed gradually. For example like Ogolsong Yoksal(오골성욕살). So to lose the ability ultimately will be able to execute as proxy a sovereign power. It was because of power dispute, fatigue of the government authorization which follows in the foreign warfare which is continuous, and senile actual condition of state operation system accompanied to it, happened in Koguryo final period. The development of local rule is the instance which shows meaning which is a movement in the political power center. To initially, the power people of region participated to the government authorization. And the power people moved the center of the nation gradually. To golden age the kingcraft became core of power. But, to final period the power was dispersed again at region.

      • KCI등재

        인문지식 기반 창작자원 서비스 활성화 방안

        최희수(Choi, Hee-S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인문지식 창작자원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인문지식분야는 그 자체가 매우 전문적이며, 장기간의 지식 축적이 필요한 분야이다. 그 때문에 일반대중들에게 쉽게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국가 주도로 구축된 인문지식 정보서비스는 지난 15년간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왔다. 단계별 변화 추이는 보존에서 활용으로, 전문가 중심에서 일반대중 중심으로, 자료의 체계적 구조화에서 지능형 정보서비스로 전개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인문지식이 갖는 특징을 반영한 서비스의 구성과 사용자의 명확화 및 사용자 수요에 대한 분석 문제가 대두되었다. 최근 서비스를 개시한 한국국학진흥원의 스토리테마파크는 이같은 주요 사항들을 반영한 서비스로 주목된다. 첫째 사용자의 인문지식 수준을 감안하여 언어적, 문화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관련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맥락하에서 개별적인 자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둘째,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서비스의 목적이 일치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한 편의기능 제공과 아울러 다양한 사용자 참여 방식을 동시에 진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및 활용도를 제고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 이외에도 집단지성 방식이나 집단창작 지원 등을 통해 창작자원 서비스의 플랫폼화를 도모한다면, 인문지식 창작자원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Revitalization of Humanities creative resources services. Humanities is a very specialized field in itself, is a field that requires a long-term accumulation of knowledge. Therefore, the general public are difficult to easy access to the humanities. Humanities Information Services built with state-led has undergone a process of several steps over the past 15 years. It’s trends is has been deployed form preservation to utilization, from specialist to general mass, and from a systematic structuring of the data to a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The analysis problem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users and configuration of user demand for ser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with the humanities has emerged. The story theme park of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itiated the latest services reflect for these key points. First, the service was given the user’s Humanities level. As such, it provides a variety of relevant informations makes possible to understanding of linguistic, and cultural gap. And it allows user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data under the overall context. Second, it allows the object to be matched with the user’s demand service. To this end, it provides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and is going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users. The result is up the user’s satisfaction. Besides, this service is required 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r group creativity support. When the service platform is formed through this, Humanities creative resources services are expected to be a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