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송대 대학원의 교수자 및 학습자 교육요구 분석

        최효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방송대 대학원과정은 2012학년도 봄학기부터 8개의 학과가 신설되어 기존의 9개 학과를 포함한 총 17개 학과에 입학정원 학생 800명으로 양적 확대를 이루었으며, 석사과정 중에 있는 학생도 천명 이상이다. 즉, 이는 방송대 대학원의 학과수와 학생수가 기존 규모의 두 배로 증가하는 양적 확대의 국면을 맞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양적 확대의 시점에도 불구하고 그간 방송대 내에서 대학원에 관한 연구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이루어졌다. 방송대 대학원이 설립된 2001년부터 지금까지 총 6개 과제가 연구되었는데, 이 중 1개 과제는 실태조사였고, 나머지 5개 과제 중 2개 과제는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에 대한 것이었으며, 콘텐츠 개발 관련 과제와 학과 신설을 위한 과제, 강의평가에 대한 과제가 있었다. 이 연구들은 대학원 체제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적용하기 위한 연구였으나, 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자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방송대 대학원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축적의 의미로 대학원 특성을 고려한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지원 및 운영의 영역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어떠한 교육체제를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현재의 대학원은 어떠하다고 느끼는지, 대학원의 질 향상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 및 현황분석, 학과별 교수자 인터뷰, 대학원생 대상 설문조사이다. 문헌 및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육요구분석틀을 토대로 학과별 교수자 인터뷰와 대학원생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교수자 인터뷰의 경우는 한 학과당 한 명의 교수자를 인터뷰 대상자로 구하여 총 17명의 교수자를 인터뷰하였고, 선행연구분석을 통한 초안개발과 전문가검토, 대학원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개발한 학습자 대상 온라인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여 데이터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총 499명이었으며, 설문의 내용은 교수자 인터뷰 분석틀과 마찬가지로 분석영역은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를 포함한 교육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영역에 대해 대학원생들이 대학원을 입학하기 이전에 ‘어떻게 기대하고 있었는지’와 진학 후 이들 영역에 대한 ‘대학원 운영에 만족하는지’, 진학동기와 개인정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교수자가 인식하는 방송대 대학원의 교육목적은 해당 분야에서의 업무현장 전문가이면서 자신의 수행과 지식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고 연구하는 “연구하는 전문가”임이 나타났고, 학생들도 ‘학문적 심화’를 주요 교육목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세분화”와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의 대학원 운영체제로는 학문적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데에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교수자의 경우 “면대면 기회의 증가”, “수업운영 방식의 유연화”, “논문작성 기회 확대”를 요구하였다. 학습자 또한 “상호작용과 피드백”이 강화되기를 요구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문적 교류 기회가 확대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교육평가에 있어서도 학습자들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교육활동이 과제와 연결되고 이에 대한 적극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지원과 운영에 대해서도 다양성을 확보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지원을 확대하며, 의사결정구조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으며, 학생들도 논문작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고, 모바일 학습 서비스 제공 등의 시스템 강화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도출된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요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연구역량과 전문성 함양을 중심의 원격대학원을 지향하기 위해 박사과정 설치방안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하지만, 박사과정 설치에 대한 의사결정 전에 현재의 대학원 운영체제에서 제기되는 현실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되어야 한다. 둘째, 유연한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설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과별로 자유롭게 교과목을 개설하고, 폐기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할 경우 교과목의 질관리가 어려워지거나 수강생수가 적어 개발비용 대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대비책으로 영국개방대학교의 ‘교육과정 전략 위원회(Curriculum Strategy Committee)’와 유사한 위원회 구성이 제안될 수 있다. 셋째, 교육활동 중심의 석사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대학원 과정에서 토론이나 프로젝트 등의 상호작용 기반 활동들은 교육의 질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학부수업과 달리 교육의 질에 핵심적 요소이며,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운영체제가 필요하다. 넷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작성 기회를 제공하고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 세부실천방안으로는 학습자의 논문작

      • KCI등재

        NCS 가전기기 하드웨어 개발 과목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자료 개발

        최효선,유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lended learning instruction materials for ‘Detailed circuit diagram drawing’ section using Google Classroom in the NCS-based home appliance hardware development subjec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learning goals of class materials were set through the analysis of curriculum, job duties, and learners, and a plan for using Google Classroom was devised. I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specialized high school practical clas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CS learning module, this class material presented practical information, relational knowledge, design drawings, and self-checklist, and was developed to enable learners to learn by level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study, academic achievement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heterogeneous control group after test to two classes of technical high school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only in the subgroup in the cognitive domain. On the other hand, in the psychodynamic doma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edian and subgroups improved, and in the affective domai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in the middle group. In all areas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or the students in the upper group. Conclusions The blended learning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Create a detailed circuit diagram’ is more effective for the middle-class and lower-class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instruction-oriented classe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가전기기 하드웨어 개발 과목에서 ‘상세회로도 작성하기’ 단원을 대상으로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한블렌디드 러닝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특성화고 전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직무, 학습자 분석을 통해 수업자료의 개발 방향과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고, 문헌분석을 통해 구글클래스룸 활용 방안을 구상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특성화고 ‘상세회로도 작성하기’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총 12차시의 수업자료를 개발하였으며, NCS 학습모듈의 내용을 기반으로 실습에 필요한 정보와 관계지식, 설계도면, 자기점검표를 제시하여 학습자의수준별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공업고등학교 2개 학급 학생에게 수업을 적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자료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는 하위집단에서만 학업성취도의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던 반면, 심동적 영역에서는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중위집단의 학생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도의 모든 영역에서 상위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상세회로도 작성하기’ 블렌디드 러닝 수업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중⋅하위집단 학생에게 일부 효과가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이중모음의 발음 분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최효선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2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iphthongs in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to compare them with Korean speakers. Data were collected by asking 30 college students living in Jeollabuk-do and 30 college students living in central Vietnam to read 6 Korean diphthongs and 6 words containing diphthongs. The transition part of F1 and F2 was divided by transition start point and transition end point, and the formant at that point and the slope (Hz/msec) of this part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etnamese Korean learners had a higher formant average in the diphthongs transition part than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Korean learners had a lower formant slope in the diphthongs transition part than Korean speakers.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서 한국어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한국어 화자와 비교하는 것이다.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대학생 30명과 베트남 중부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30명에 게 한글 이중모음 6개와 이중모음이 포함된 단어 6개를 읽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F1과 F2의 전이구간 을 전이 시작점과 전이 끝점으로 나누어 그 지점의 포먼트와 이 구간의 기울기(Hz/msec)를 측정하였다. 수 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가 이중모음 전이구간의 포먼트 평균이 한국어 화자보다 높았다. 그리고 베트남 한국 어 학습자가 이중모음 전이구간의 포먼트 기울기가 한국어 화자보다 낮았다.

      • KCI등재
      • 가전제품의 제품 및 서비스 요인에서 사용자 구매요인 및 구매 만족에 관한 연구

        최효선,박근량,반상우,윤명환 대한산업공학회 2008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1

        본 연구는 환경가전제품 군에서 제품 구성 요인과 서비스 구성 요인들이 사용자의 제품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구성요인을 구조화된 구매결정요인 항목으로 나누고 인터넷을 통하여 남녀 사용자 98명을 대상으로 각 요인항목에 대해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제품구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구성요인 별 가중치와 고객의 구매행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환경가전제품에서의 구매결정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에 대한 기본 행태에 대한 파악과 함께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Elucidating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a meta-analysis

        최효선,허균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The use of varied technology in education facilitates meaningful learning. As of present, E-learning, mobile or PDA assisted learning, augmented reality, learning analytics and location based context-awareness technologies are all in use for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Recent years have accordingly seen extensive research on smart learning, a field that aims to enhance educational methods and the quality of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atest technologies. The results to date suggest that smart learning can have a multidimensional effect on the quality of learning - namely on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s more and more learning effects are attributed to smart learning, it is important to discern at this point exactly how, when, and in what learning context smart learning can be effective. A meta-analysis can provide insight on such specific effects of smart learning, as well as on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nd of smart learning itself.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amine whether smart learning technologies have an effect on learning, and to clarify how much of an influence they hav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is purpose in mind. We performed a search on five key databases using the search terms ‘smart learning’, ‘smart education’, ‘smart device’, ‘smart media’, ‘mobile learning’, ‘m-Learning’, ‘mLearning’, ‘ubiquitous learning’, and ‘seamless learning.’ A total of 117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fter a series of screening processes. A random-effect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heterogeneous studies. Smart learning had a medium effect size over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when inspected for effectiveness. Smart learning was also found to be advantageous for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mart learning in educational practice and proffer suggestions for its real-life application.

      • 사례관리자의 직무외상 경험이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외상후 스트레스 및 외상후 성장의 매개효과와 기관 대응조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선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외상 경험이 있는 사례관리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및 외상후 성장이 사례관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관 대응조치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스트레스 대처이론, 외상후 성장이론, 사례관리 수행을 근거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전국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가 응답한 38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첫째,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 폭력외상 경험이 많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자의 클라이언트 죽음외상 경험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외상 경험은 외상후 성장을 매개로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례관리자의 직무외상 경험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관 대응조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관리와 동시에 외상후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방안에 주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직무외상 경험을 개인적인 차원으로 다루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던 기존 전략에서 더 나아가 기관차원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