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체 조립시스템의 재구성

        최홍원,박진우,정상영,박홍석,고성우,Choi, Hung-Won,Park, Jin-Woo,Jeong, Sang-Yeong,Park, Hong-Seok,Ko, Sung-Woo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6 No.1

        Nowadays, the global market requires a variety of products and shorter life cycle to fulfill the diverse demands of customers. To survive in the turbulent and competitive markets, automobile assembly companies must design and implement manufacturing systems that respond rapidly to market demands. In this paper, methods for reconfiguring system based on modular concept is proposed using AR(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First, the relationship matrixes between change drivers and system components are generated to divide existing manufacturing system to each module. And, new change drivers are selected based on required function in new system. Through the modification of relationship matrix, the concept design of new system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AR environment. Finally, according to proposed methods and procedure in this paper, the existing cockpit assembly system is reconfigured to spare tire assembly system as a case study. As the use of the modular-based reconfiguration method in AR environment, the time and cost for reconfiguring manufacturing system will be reduced dramatically.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 수록의 이면과 그 배경의 탐색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이 연구는 고전문학 제재가 교과서에 수록되는 과정에 작용하는 이면 요인과 기제를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교과서가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교육자료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관심이 수록 제재에 대한 양적, 결과론적 관심에 그친 것을 비판하면서, 교과서 개발 과정에 대한 반성과 성찰, 나아가 향후 교과서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교과서 개발 준거자료들-편찬 방향,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 기준, 집필기준-이 교과서 개발에서부터 심사, 선정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개입·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수록 과정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들은 검정 교과서 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제재 수록이 획일적이고 편향된 결과를 낳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봉산탈춤>, <서동요>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었던 점은 이러한 사실을 대표한다. 교육과정을 비롯한 교과서 개발 준거,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당시 교과서 개발 상황 등으로 인해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의 논리와는 다른 배경과 맥락 차원에서 수용됨으로써, 문학 작품 고유의 교육적 가치가 다뤄지지 못하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했다. 국어교육의 연구성과가 새로운 작품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차마설>의 수록 사례를 통해 확인하기도 했다. 이전과는 달리 집필 기준 등에서 보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나, 국어교육 외적 요인이 결정하는 현재의 구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과 문제의식 속에서 학문공동체의 점검과 대응이 요청된다. 국어교육의 연구가 교과서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hidden factors and mechanisms which affect the process that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s. I criticize that so far there have been quantitative interest as well as qualitative in relation to inclusion of materials even though textbooks are the most influential education materials. I think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regret, reflection until now and new direction for the textbook development in the future. First, textbook development criteria materials including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evaluation criteria and writing criteria intervene and affect a variety of stages from textbook development to textbook evaluation and textbook selection constantly. Accordingly, the material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rocess of inclusion of textbook. These are main reasons for inclusion of materials to cause monolithic and biased result although we have a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system. In effect, the fact that `Bongsan(鳳山) Masked Dance Drama` and `Seodongyo(薯 童謠)` are included the most in the Korean textbooks of high school shows the truth. Those are accepted from the background and context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logic of Korean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owing to textbook development criteria materials including education curriculums, frequent revisions of the curriculums and textbook development situations in those days. Therefore, genuine educational value of literature works are not dealt with in the textbooks and it brings about side effects, for instance, other works are excluded in the textbooks. The task that the outcomes of studies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come a dynamic force to cause new work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is confirmed through the case of `Chamaseol(借馬說)`. Unlike before, there have been changes to emphasize flexible and creative approaches in writing criteria. However,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current system which is decided by external factors, we must have earnest interests and critical minds. In addition, profuse and various examinations and ac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are requested. Studies in Korean education should lead to substantive changes of textbooks.

      • KCI등재

        고전문학생활사 연구 시론 - 화전가를 대상으로 -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0

        이 연구는 오늘날 문학과 문학교육이 처해 있는 위기 상황에 주목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문학 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문학이 인간 삶에 어떻게 관여하고 개입하는지를 살피는 방향으로 관점의 전환을 도모하려 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문학을 예술과 실체로 접근하는 기존의 인식과 구별하여 ‘고전문학생활사’를 새롭게 제안한다. 고전문학생활사는 고전문학으로 영위되는 언어활동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문학이 주체의 삶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만큼, 문학을 실천하고 향유하여 일상 삶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관점이다.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과거의 문학 활동을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현재의 문학 현상의 제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시각과 방안을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작품 속에반영된 일상적 삶의 차원[내용영역], 참여자의 실천 행위의 차원[활동영역], 공동체의 관습적 삶의 방식 차원[문화 영역]을 구성요소로 갖는다. 고전문학생활사의 관점에서 화전가를 살피게 되면, 기존의 규방가사론, 작품론과 달리 여성의 삶에 대한 다성성의 목소리[내용 영역], 문학 주체의 적극적 참여와 소통[활동 영역], 놀이의 일상 문화[문화 영역]에 초점이 맞춰진다. 이러한 내용은 접근 시각과 관점의 전환이 가져다 줄 고전문학 교육의 변화와 가능성을 입증하는 사례가 될 수 있다. 국어교육 전체 구도에서 본다면, 고전문학생활사는 문화 전승 모델 이외에도 개인의 성장 모델, 언어 기능의 모델에 따른 목표와 내용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 연구가 관점을 제안하고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론적 성격의 논의였던 만큼, 전체 구도와 세부 구성 요인 등을 정교화하는 작업을 후속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is planned as one of argument about seeking for the solution for the crisis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nowadays. It is an attempt to shift a direction to look for how the literature gets involved and intervenes in the life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itself. From the critical mind, I newly propose the classical literature life history, getting away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that people approach literature as art and substance. The classical literature life history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all the language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a viewpoint to aim at practicing and enjoying literature in daily life as literature is related with all the scopes of life of subject. By examining the literature activities aimed at classical literature diachronically, this study has an ultimate goal in drawing up new standpoints and measures to solve problems of the current literature phenomena. Accordingly, it consists of the three dimensions: daily life reflected in the work [the domain of contents], participant’s practicing actions [the domain of activities] and the way of conventional lifestyle of community [the domain of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classical literature life history, Hwajeonga(花煎歌) is focussed on the voice of polyphony about the lives of women [the domain of contents], subject’s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e domain of activities] and daily culture of play [the domain of culture] unlike existing studies of Gyubang-gasa(閨房歌詞). Those can be the examples to prove the changes and possibilities that the switch of approach and perspective will bring about. From the overall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lassical literature life history is expected to satisfy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personal growth and language function model as well as cultural heritage one. Still, more steps to elaborate the whole composition and specific features should be continued as this is a kind of preliminary study to propose a new perspective and look for possibility.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문학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의 일환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맥락을 탐색하고, 이를 매개로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교과서가 고전문학교육의 실행에 지배적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 수록 제재는 특정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교육의 의도, 요구, 관점 등에 따라 선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고전성과 문학성으로 나누고, 이를 준거로 2009,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록 실태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문학의 역할’,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과 삶’의 영역에서 현대문학 위주로 수록, 편성됨으로써 고전문학은 전반적으로 소외, 배제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비교하여 고전성 강조와 문학성 약화의 경향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고전문학이 과거의 산물이자 역사적 자료의 차원에서만 수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차원의 외적 변화 못지않게 고전문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같이 내적 차원의 대응이 요청된다. ‘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고전’으로서의 시공간적 거리감이 오늘날 학습자의 문제 상황과 요구에 응답하는 다양한 관계 맺음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로써 교과서 수록 맥락과 양상의 다각화, 수록 가능한 작품의 폭과 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학습량 감축, 역량 개념의 도래, 전통적인 문학 개념의 해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 또한 맹목과 당위의 차원을 넘어 이 같은 고전문학의 새로운 가치 탐색을 끊임없이 요청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xt of materials in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s part of an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phenomena. This study accepts the premise that textbooks affect the practice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materials in textbook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intentions, demands, and perspectives of education in specific social conditions. I divided the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into two categories, classical and literary value,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and context of materials of literatur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1 revised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is generally alienated and excluded; contemporary literature materials are mostly included and organized in the domains of ‘the role of literatur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life.’ In addition, the tendency to heighten classical value and diminish literary value is deepen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only included as the product of the past, changes must be made not just to the curriculum, which are external changes, but to the awareness of the essence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are internal changes. Above all, generality as ‘literature’ and the sense of distance about space and time as ‘classic’ should be connected to various relationships which respond to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e demands of learn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we can expect a rich diversity of contexts and aspects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an extension of the width and scope of included classical literature is anticipated. The reduction of workload, the advent of the concept of capability and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literature concepts are the changes of external environment, which is continuously requiring renewed investigation into classical literature beyond simple appropriateness.

      • KCI등재

        역량교육으로서의 문학, 문학교육으로서의 역량 - 역량을 통한 문학교육의 투시 -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이 연구는 역량이 미래 교육의 변화와 혁신을 표상하는 가치로 호명되는 상황에서, 문학교육에 어떻게 도입,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역량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이라는 과제를 전면에 제기하고, 역량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여 문학교육을 점검하고 변화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다. 이때의 역량은 문학교육을 살피기 위한 안목과 관점, 이론에 해당하는 것인 만큼, 역량을 일방적으로 수용하여 교육 내용으로 추가 반영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2장에서는 문학교육의 내용에 역량의 일부를 단순 추가하는 가법적 방식으로 진행되어 온 기존의 대응 방식을 점검하고 하향식 수용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 대안으로 역량과 문학교육의 교섭을 통해 변화와 재구성을 이끌어내는 승법적 접근을 제언하였고, 이에 따라 역량을 연구 분야가 아닌 문학교육의 이론 및 관점으로 전환할 것을 이끌어냈다. 기존의 방식이 역량에 종속되어 문학이 제재화, 도구화되는 ‘역량교육으로서의 문학’이었다면, 역량을 통해 문학교육의 재구조화와 변화를 도모하는 ‘문학교육으로서의 역량’을 시도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역량을 통해 문학교육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역량과 문학교육의 접점을 살폈다. 역량의 총체성, 수행성, 맥락성이 문학의 본질과 맞닿아 있음을 밝혔고, 역량을 통해 문학을 대상론이 아닌 행위론의 시각에서 의미작용으로 접근하는 관점을 확보하였다. 4장에서는 역량의 관점을 통해 문학교육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표론의 차원에서 지식의 수직적 분화와 수평적 확장을 논의하였고, 교재론의 차원에서는 참여와 갈등이 강조되는 제재의 문제를 살피면서 탈 정전의 가속화를 도출하였다. 끝으로 교수ㆍ학습 방법론 차원에서는 문학 활동을 ‘탐구’로 접근하면서,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의 수행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how to introduce and reflect in literature education in a situation where competency is called as a value that represents changes and innovations in future education. The task of responding to literature education to competency was brought to the fore, and by taking a new approach to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etency, it was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y examining literature education and seeking chang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The competency at this time corresponds to the perspective and theory for examining literature education, so there i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ethod of unilaterally accepting the competency and additionally reflecting it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Chapter 2 examines the existing response method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an additive way of simply adding a part of competency to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pointed out the problem of top-down acceptance. As an alternative, a multiplicative approach that induces change and reconstru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competency and literature education was suggested, which led to the conversion of competency to the theory and perspective of literature education rather than the field of research. If the existing method was ‘literature as a competency education’ in which literature was subject to competency and turned into a tool, it is trying ‘competency as a literature education’ that promotes restructuring and change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competency. In Chapter 3, as a preliminary work to promote changes i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competency, the interface between competency and literature education was first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the totality, performance, and contextuality of competenc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through competency, an opportunity was secured to examine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act-theory’ rather than ‘object-theory’. Chapter 4 predicts changes i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 and seeks countermeasures. In the dimension of objective, vertical differentiation and horizontal expansion of knowledge were discussed, and in the dimension of textbook materials, the acceleration of post-canon was derived by examining the issue of materials that emphasize participation and conflict. Lastly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it was suggested to perform unstructured problem-solving while approaching literature activities as ‘inquiry’.

      • KCI등재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경험 세계의 교육적 구도와 지평

        최홍원(Choi, Hong-Wo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이 연구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텍스트가 오늘날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경험을 형성하지 못한다는 문제 인식에 따라 텍스트 세계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관점을 수립하고 수행의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서 맹사성(孟思誠)의〈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여, 심리적 거리감이 내재되어 있는 텍스트가 특정한 의미로 수렴되어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실태를 점검하고, 교육적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을 진행하기로 한다. 우선 문학 작품을 의향된 행위로 보는 행위론의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써, 텍스트가 문제 상황에 대한 개인의 정서와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을 제언하였다. 여기서 ‘공동체감’은 과거 텍스트와 현재 수용자간의 이해 지평을 공유하게 만드는 장치가 된다. 또한 정서 유발의 동기와 평정 회복의 양상을 탐색함으로써 수용자가 텍스트 세계에 개입하고 참여할 지점을 도출하였다. 결손과 잉여, 표현 동기와 전달 동기에 따라 평정이 깨지고 다시 질서화되는 양상을 유형화하여 텍스트 세계의 참여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유형화를 바탕으로 〈강호사시가〉의 생성 동인은 크게 잉여에 의한 평정깨지기와 결손에 의한 평정 깨지기로 구별되며, 이들은 각각 표현 동기와 전달 동기에 따른 평정 회복의 경험으로 다시 나눠진다. 이에 따른 경험 세계의 구도는 (1) 항구적 조화의 선언과 표명 (2) 일상적 삶의 태도의 대사회적 전달, (3) 피안 지향의 욕망 표출, (4) 군은의 희원과 전달로 유형화된다. 이 연구가 〈강호사시가〉를 비롯한 강호가도 문학의 경험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인간의 정서와 욕망에 따른 읽기의 방법 속에서 작품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평가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perspective to encourage participation towards the world of text and developing the ways of performance as the text of Gang-ho-Ga-do(江湖歌道) does not create meaningful experience to learners in these days. To solve the problem, I choose Maeng Saseong(孟思誠)’s 〈Ganghosasiga(江湖四時歌)〉 as research material and check out the reality that the text where the sense of psychological distance is inherent is converged on the specific meaning and delivered unilaterally. In addition, I probe the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that. I suggest the shift of perception which text comes from the emotion and attitude of individuals about the situation of problem by approaching as act-theories in which literature work is recognized as one of intended actions. In this context, the community sentiment may be the means to share the understanding horizon between the text in the past and the recipient in the present. I draw the point that the recipient can intervene and participate in the world of text. I stereotype the aspect that the peace of mind is broken due to deficit, surplus, expression motive and delivery one and returned to normal. Also, I set up a starting point to take part in the world of text. Based on the stereotype mentioned above, the experience of 〈Ganghosasiga (江湖四時歌)〉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breaking of the peace of mind by deficit and surplus. Again, it is divided into the recovery of peace of mind by expression motive and delivery one. Accordingly, the aspects of experience can be specific such as (1) the declaration and announcement of everlasting harmony (2) social delivery of the attitude of ordinary life (3) expression of desire towards utopia (4) hoping and delivery of the royal favor. I hope that this study arouses the interest regarding the experience of Gang-ho-Ga-do(江湖歌道) literature including 〈Ganghosasiga(江湖四時歌)〉 and new ways to read focussing on the emotion and desire of human beings can be a chance to see the literature of Gang-ho-Ga-do(江湖歌道) in a new light.

      • KCI등재

        설(說)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실행 가능성 탐색 -<슬견설(蝨犬說)>과 <경설(鏡說)>에 대한 독자 반응을 중심으로-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이 연구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높은 관심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어교육 에서 제대로 구현,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판적 사고의 교육 적 실행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슬견설>과 <경설>을 연구 자료로 선정하고, 독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설은 수사적 관심에서 문학적 특질에 대한 규명이 다각도로 이루어 져 왔으나, 효과적인 설득을 목표로 하는 만큼 비판적 사고가 요청되는 양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규보(李奎報)의 설은 사회적 비판과 진실을 추 구하는 내용론적 측면, 가상적 대화 형식을 통해 새로운 해결을 제시하는 표현론적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의 효과적인 질료가 될 수 있다. 실제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응 양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텍스 트 세계와 독자의 수용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과 거리를 확인하고, 여기서 비판 적 사고의 활성화 가능성을 살폈다. <슬견설>의 경우 윤리성과 유용성의 판 단 준거가 충돌하는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고,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 상대 적 우열의 문제로 관점이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텍스트 이해의 한계와 주장의 가치에 대한 성찰이 부족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설>의 경우 다양한 의미 가능역에도 불구하고 실제 의미 구성은 개인 의 내면 성찰로 제한되는 편향성을 보여주었다. 개선 의지의 결여에 따라 적극 성을 당부하기도 하고, 전제와 논리 전개에 대해 반박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생성 맥락과 작자의 의도에 대한 성찰이 부족한 지점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독서교육에서 설정한 ‘이상적 독자’에 대해 반성하면 서, 의미 수용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critical thinking is not implemented properly in Korean education though there are great attention and importance about it. This aims at investigating educational feasibility of critical thinking. For this objective, < Seolgyeonseol(蝨犬說) > and < Gyeongseol(鏡說) > are chosen for research materials. So far, there have been investigations about literary characteristics from expressive and rhetoric interest from various angles but we need to approach writing styles asking for critical thinking as its goal is effective persuasion. In particular, Lee Kyu-bo(李奎報)``s Seol(說) can be an effective target for critical thinking in two ways. One is contents perspective which pursues social criticism and truth. The other is expression perspective which proposes new solutions through virtual dialogue styles. In the analysis of freshmen, I confirm the space and the distance existing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s reception and I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vitalization of critical thinking. For < Seolgyeonseol(蝨犬說) >, as it shows conflicting of criteria of judgment between ethics and practicability, it makes sure that value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lso, there are shifts of viewpoints toward doubt about feasibility or relative superiority. Lastly, the limitation of text understanding and the lack of reflection about the value of argument appear.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수업 :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최홍원 ( Hong Won Choi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8 No.-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고대가요 교육내용을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안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고대가요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이유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이 연구는 이같은 문제인식 속에서 고전시가 텍스트의 가치와 의의를 국어교육적으로 입증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첫째, 고전문학은 감상과 공감보다는 단순 암기와 파악의 대상으로 작품을 바라보고 접근하게 되는 경향성이 발견되는데, 특히 고대가요의 경우 그 거리감으로 인해, 이같은 경향성이 두드러진다. 평가론적 측면에서 살펴보건대, 최근 국가 수준 평가에서 고대가요가 배제되는 현실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은 재차 확인된다. 둘째, 고대가요는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수록 정도에서 큰 차이를 갖고 있다. 교재론적 분석을 통해 고대가요가 문학사적으로는 중요한 가치를 갖지만, 국어능력을 위한 국어교육의 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수록 정도의 차이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사고와 경험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언어를 통한 인간 사고의 수행``과 ``언어를 매개로 한 인간 문제의 경험``을 교육 내용 설계의 두 축으로 제시하였다. 사고의 관점에서 이들 작품은 언어를 통한 심리적 해소, 상대적 대상을 통한 자기 이해, 불러들이기를 통한 요구의 구체화라는 교육 내용을 갖는다. 경험의 관점에서는 인간 존재의 보편적 문제 경험, 인간 문제의 근원에 대한 경험을 그 내용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primaril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ncient poetic songs from the new perspective focusing on thinking and experience. The reason why I set up Gongmudohaga(公無渡河歌), Hwangjoga(黃鳥歌) and Gujiga(龜旨歌) in the ancient poetic songs as the targets of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two following problems which I will mention later. Also, as I stand on the basis of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demonstra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classic literature texts from the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 found out the tendency that the classic literature has been seen and approached as the object of mechanical memorization and grasp rather than appreciation and empathy. Especially, the tendency of the ancient poetic songs is noticeable because of the distance. From the aspect of evaluation, this problem is confirmed again as those are excluded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carried out recently. Second, the ancient poetic songs are included in a big difference in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Through analyzing teaching materials, I verified the cognition that the ancient poetic songs have significant value in the literary history but are not appropriate for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bility. Thus, the result gave rise to the gap of including those works. In this study, under the awareness of above mentioned problems, I tried suggesting a new trend through the viewpoint of thinking and experience. To be more specific, I proposed two axes for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performance of human thinking through language`` and ``experience of human problems by the media of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nking, those works have education contents, for example, psychological solution through language, self-understanding through relative object and actualization of demand through calling-in. From the standpoint of experience, experiencing the general problems of human beings and the root of the human problems is the main contents.

      • KCI등재

        공간을 중심으로 한 <북찬가(北竄歌)>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

        최홍원(Choi, Hong-won)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7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flection that most of the study about <Bukchanga(北竄歌)> is nothing more than looking at the character of exile Gasa in late Joseon and aims at finding 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Bukchanga(北竄歌)>. In other words, the work is outstanding in the pers pective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of space and the perception of subject due to transportability. In order to clarify the changes of perception about reality and attitude, I determined that space has social features which are the means of perception related with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subject, beyond the physical dimension. Based on such perception, it was possible for me to look into the perception about reality and attitude of subject in safe haven Ganghwa(江華), the journey to a place of exile and the place of exile respect tively. Ganghwa is an emasculated place for the social and political nature following political defeat. In the journey to a place of exile, there are chances and experiences to recover emasculated social and political na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place of exile, those natures retreat again owing to physical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n the contrary to previous cases, transportability plays a role tha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about national politics are located in the boundary of the subject’s experience. Such attempt to pay attention to space is expected to be another method to bring about new understanding about the exile Gasa work like <Bukc hanga(北竄歌)>.

      • KCI등재

        고전문학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 교육적 인식에 대한 통시적 고찰

        최홍원(Choi Hong-won)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이 연구는 〈정과정〉이 그동안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를 탐색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그러나 연구의 성과가 단순히 당대 사실의 재구나 교재사의 복원에 있기보다는, 수록 과정에 작용했던 교육적 인식과 판단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규명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한다.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제재 선정과 수록 문제를 점검하고, 현재와 미래의 국어교육 관점과 인식에 새로운 자극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는 것이다. 여기에는 교과서가 교육적 인식이 구현되고 외현화된 실체로서, 관점 반영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정과정〉은 제3차 교육과정까지 지속적으로 수록되었다가 그 이후 수록되지 않는데, 수록과 배제에 관여한 요인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효과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정과정〉은 작가와 생성 맥락에 대한 기록의 존재에 힙입어 고려시대 문학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일찍부터 수용되었다가, 갈래 중심으로 교과서가 편성되면서 고려속요의 부상, 향가계 가요로서의 불완전성 등으로 인해 교과서에서 사라지게 된 특별한 역사적 이력을 갖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문학의 전통 차원뿐만 아니라, 갈래 바꾸기 등과 같이 이전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이 시도되는 지점도 밝혔다. 이러한 〈정과정〉의 교재 수용사를 통해 교과서 수록이 당대 역사적 필요와 관점에 따른 선택의 결과이며, 따라서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probing into how 〈Jungkwajung(鄭瓜亭)〉 was accepted in Korean education so far. However, I want to make sure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consists in clarifying diachronically educational awareness and judgment which affected the process of textbook inclusion rather than restoring the truth of the past or the history of textbook. That is to sa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hecking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choices of materials and inclusions in textbook, and providing the chances of new motivation and reflection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orean education. The premise is that textbooks are the substances that educational awareness is implemented and externalized and they carry out the function to reflect perspectives. 〈Jungkwajung(鄭瓜亭)〉 can be an effective material in that I raise a question about main cause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s the work that had been only included continuously until the third curriculum. I examined closely special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The work had been accepted early as the work to represent Goryeo(高麗) literature history by the record about the writer and the contexts of the work. However, the work disappeared in the textbook due to organization of textbooks as genres, advent of Goryeosokyo(高麗俗謠) and imperfection of songs of the line of Hyangga(鄕歌). I clarified the time when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were attempted lately in not only changing genres but also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reception history of 〈Jungkwajung(鄭瓜亭)〉, I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textbook inclusion is the result of choices according to historical needs and prospects, and thus a variety of approaches and explorations about educational values of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