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후 정체성 변화의 유형 구분 : 심리 증상, 외상 기억 표상과 심리 대처 양상의 차이

        최현정,이훈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2

        본 연구는 외상후 정체성 변화 유형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외상 재료의 과잉 조절을 반영하는 정체성 과잉조절, 외상 재료의 과잉 동화를 반영하는 정체성 통합결여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두 측정치 모두 높은 해리 유형, 과잉조절만 높은 과잉조절 유형, 통합결여만 높은 외상억제 유형, 그리고 모두 낮은 통합 유형의 네 가지 유형을 구분하여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에 외상을 경험한 271명의 자료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외상 기억 표상, 대처 양상, 그리고 심리 증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해리 유형은 높은 수준의 심리 증상을 보이고, 감각기반 기억이 우세하며, 모든 부적응적 대처 수준이 높았다. 이에 비하여 과잉조절 유형은 외상 관련 부정적 평가가 높았고 반추와 보다 연관되었다. 외상억제 유형은 외상 재료의 회상이 분명하지 않은 심리 증상 및 해리성 대처 양상이 두드러진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통합 유형은 맥락 기억은 높은 동시에, 심리 증상, 감각기반 기억, 그리고 모든 부적응적 대처 양상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 구분에 따른 임상 진단에의 시사점과 유형별 치료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sis on subtypes of identity change after trauma. Based on identity over-accommodation measures and identity disintegration measures, subtypes were divided into the dissociative subtype with both high over-accommodation and disintegration, over-accommodation subtype with only high over-accommodation, trauma-inhibition subtype with only high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subtype neither high on both measures. Data from 271 participants with trauma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the four subtypes, and differences on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mong the subtypes were explored. Dissociative subtype showed high psychological symptoms with dominant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with high levels in all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while over-accommodation subtype was more related to negative appraisals and ruminations about the trauma. Trauma-inhibition subtype was distinguished in psychological symptoms unclearly related to recollections of the trauma material, with high dissociative coping strategies. Integration subtype was related to high contextual memory representations, showing low levels in psychological symptoms,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and in all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Implications for clinical diagnoses and suggestions for treatment according to the subtyp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Two Cases of Laparoscopic Adhesiolysis for Chronic Abdominal Pain without Intestinal Obstruction after Total Gastrectomy

        최현정,김용진,윤상철 대한위암학회 2012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2 No.4

        Chronic abdominal pain remains a challenge to all known diagnostic and treatment methods with patients undergoing numerous diagnostic work-ups including surgery. However, the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intractable abdominal pain is controversial.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f the indications for adhesiolysis in cases of obstruction or strangulation of the bowel, and adhesiolysis by laparotomy has never gained acceptance as a treatment modality for chronic abdominal pain. One of the reasons for this lack of acceptance is the high complication rate during and after adhesiolysis. Laparoscopic surgery has been accepted as a technique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in general surgery. Laparoscopy allows surgeons to see and treat many abdominal changes that could not otherwise be diagnosed. Here we report two cases of successful symptomatic improvement through laparoscopic adhesiolysis for chronic abdominal pain without intestinal obstruction after total gastrectom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낙관성과 삶의 이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최현정,홍혜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4

        This study examined how the optimism and reasons for living affects suicide ideation, and that whether reasons for living would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suicide idea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474 college students in seoul․gyong-ki do and geon-la do. For data analysis, the conducted to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al mode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optimism, reasons for living, suicide ideation that suggest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reasons for living,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optimism, reasons for living. Second, for the assessment of the impact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link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optimism. It's turned out that optimism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suicide ideation. Survival coping beliefs and responsibility to fami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whereas expectation to futur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uicide ide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ink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sub-factors of reasons for living. Third,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reasons for living between optimism and suicide ideation, revealed that the reasons for living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suicide id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preparing more specific target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suicide among college students, and implication of there result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삶의 이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낙관성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와 전라지역의 대학생 474명(남: 144명, 여: 330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낙관성, 삶의 이유, 자살생각의 상관분석 결과, 낙관성은 삶의 이유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삶의 이유의 하위요인별 상관에서는 생존과 대처 신념, 가족책임, 미래기대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낙관성과 자살생각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삶의 이유와 자살생각도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자살생각과 삶의 이유 하위요인별 상관에서는 생존과 대처 신념, 가족책임, 미래기대 요인이 자살생각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낙관성, 삶의 이유 그리고 삶의 이유의 하위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성은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삶의 이유 전체와 삶의 이유 하위요인인 생존과 대처 신념, 가족책임은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래기대는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낙관성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낙관성이 삶의 이유를 완전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대학생의 자살예방과 자살위기 상담에서 자살생각에 보호요인으로 적용될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다문화가정어머니의 인식 연구

        최현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ycl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s with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picture books to read see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status of the mother's picture books reading cycle in multicultural family?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to read for the evaluation of th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Picture books for reading survey was conducted based infan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 As a result, the number of picture books to rea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highest of the mother as 2 to 3 days once. Time to read a picture book was highest between 10 to 30 minutes. Reading a book for children, when you want to read most. Second, the mother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aware that Korean picture books and picture books to read. Korean picture books to read, the difficulty of giving points were the most difficult to pronounce. Picture books mad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tent of the recognition for the duration of the read. Based on this multicultural picture book reading in the home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find way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현황을 이해하고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과 활용 정도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 국가별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횟수는‘2~3일에 한번’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림책을 읽어주는 시간은‘10~3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책을 읽어주는 시간대는‘자녀가 원할 때’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한국어 그림책과 모국어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어 그림책 읽어주기의 어려움으로‘발음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국어 그림책 읽어주기의 어려움은‘책을 구하기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여 그 어려움을 이해함으로써 다문화가정에서 그림책 읽어주기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성소수자 혐오폭력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질적 분석: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을 바탕으로

        최현정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3

        This study analyzed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with various gender identities and sexual orientations based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of the social philosopher Axel Honneth. By this the aim was to seek the aspects of hate violence against sexual minorities and the result of this oppression, and to explore alternative solutions overcoming hate. Analysis revealed 59 sub-themes, 15 themes, and three categories. Categories were, “genocide of existence”, “drifting displacement: alienation from dignity”,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expansion of dignity realization through solidarity”. Honneth’s theory appeared in that sexual minorities experienced psycho-social death of existence and damage in dignity from hate violence, however, became motivated fueled by barriers, covering, and alienation, to reveal themselves in mutual recognition of solidarity for realizing diversity which in result may lead to the moral development of the society. By this hate-base violence was redefined, and further, praxis for mutual recognition and competency as a psychologist to recognize diversity including sexual minorities as to contribute to human dignity realiz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다양한 성별 정체성 및 성적 지향의 성소수자 17명이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회철학자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이론을 기반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소수자 혐오폭력의 양상, 이것이 성소수자에게 가하는 억압의 양상, 그리고 혐오폭력 문제 해결의 대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59개 하위주제, 15개 상위주제, 그리고 3개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범주는 존재의 말살, 정처없는 무국적자: 존엄함으로부터의 소외, 인정투쟁: 연대 속에서 존엄성 실현 확장으로 구성하였다. 이 안에서 호네트의 이론이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성소수자는 혐오폭력에서 존재 말살이라는 심리사회적 죽음과 존엄의 훼손을 겪지만, 가로막힘과 은폐, 소외 속에서 인정투쟁의 동기를 얻어 자신을 드러내고 다양성 구현을 위한 상호인정의 연대에 동참하며, 사회는 이러한 연대 속에서 도덕적으로 진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혐오폭력을 재정의 하였고 나아가 성소수자를 포함한 다양성 인정으로 인간 존엄성 실현에 기여하는 상호인정의 실천과 심리학자의 역량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