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정관리력과 평화의 관계 분석

        최창현,김명하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overnance, citizen voice, political stability and the rule of law on peace. Governance indicators and peace indicators are used based upon the 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s by World Bank and World Peace Index by World Peace Forum. Demographic,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are utilized as control variables. The ANOVA of governance and peace reveal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mong all the groups. In the area of demographic factors, countries with a large population and the East showed shows mo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alm of economic factors, nations with high income and OECD nations shows mo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sphere of political factors, democratic nations shows more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show that the overall governance has an effect on peace. Citizen voice and the rule of law have a positive effect on peace, and citizen voice shows more effect than the rule of law on pea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has touched on the future agenda to guide and provide the direction of governance. 미국과 중국은 세계 1, 2위의 강한 국력을 보유하였으나, 평화수준은 세계 하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국민의 평화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강한 국력 신장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의 평화수준을 높이면서 국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국력의 근간(소프트 파워)이 되는 국정관리력과 평화가 어떤 인과성을 갖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World Bank의 세계 거버넌스 조사 자료와 세계평화포럼의 세계평화지수(WPI) 자료를 토대로 한 한국과 북한 포함 세계 47개국 대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유형별 국정관리력과 평화 수준 비교에서, 2개 변수 모두 인구가 적은 국가, 동양보다는 서양, 소득이 높은 국가, OECD 회원국, 민주주의 국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정관리력과 평화의 인과성 분석에서 국정관리력은 평화에 매우 강한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국정관리력의 구성요소별 영향력에 있어서는 시민참여의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정치안정과 법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정관리력을 통한 향후 평화 수준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수도권 지역의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최창현,김종성,김동현,이준형,김덕환,김형수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7

        In this study, we developed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using thre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pport vector machine,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for the Seoul Capital Area, South Korea. Data on damage caused by heavy rai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and weather observation data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When we compared the results, the best function was the support vector machines based on weather observation data of the past two days. Compared to the linear regression model used primarily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nction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mostly predictable.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ould be applied to disaster management areas. Also, it is believed that using the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can help reduce damage through proper disaster management before the damage occurs.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머신러닝 기법(서포트 벡터 머신, 의사결정나무, 랜덤포레스트)을 이용하여 수도권 지역의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호우피해 예측함수의 종속변수로 호우피해액 자료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수로 기상관측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2일전의 기상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하여 개발한 함수가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주로 사용하였던 선형회귀모형과 비교한 결과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함수가 대부분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난관리 분야에 머신러닝 기법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활용하여 피해 발생 전에 호우피해를 예측한다면, 적절한 재난관리를 통해 피해를 저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성국력측면에서 본 G20국가의 실증적 비교 분석

        최창현,김종근 한국행정학회 2014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연성국력 측면에서 본 G20국가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성국력은 한 국가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다.한국의 진정한 부상은 연성국력과 경성국력이 상호보완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이러한 인식에 따라 국정관리력,정치력,외교력,문화력,사회자본력,변화대처력이라는 여섯 가지의 주제 아래 연성국력의 요소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이 능력국가에서 매력국가로 성장할 수 있는지 국가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국력요소들이 질적 향상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그동안 상대적으로 경성국력 차원의 증강에만 치중해 대한민국의 국력은 급속히 신장했으나,연성국력이 취약하다는게 본 연구자의 인식이다.특히 G20국가들과 비교할 때 취약한 분야가 연성국력이라고 판단 된다.국제사회에서 진정한 일류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연성국력요소들의 지표들을 명확히 분석하고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파악하여 국가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empirical study of G20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ft power. Indicator of soft power is based on the data of Report 2010-2013TheGlobalCompetitivenessoftheWEF.Incomparisonoftheanalyticaldata used, the WEF index are 117 countries which is equivalent of t재 times IMD the number of countries covered, So there was an advantage of using WEF in statistical processing. At the same time,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soft power used in WEF. The analytical results found from IMD, IPS·NaC, Harry Foundatio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UNESCO, IMF and Barry Turner,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value sand types of each country for soft power assessed. In this stud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element of the soft power of the G20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the element of soft power of South Korea.

      • MANDATEISSUESIN THE CONTEXT OF REAGAN'S NEW FEDERALISM

        崔昌鉉 관동대학교 1995 關大論文集 Vol.23 No.2

        Reagan administration's new direction to health and human services can be epitomized as the end of the "Big Brother" approach. It is worthwhile to determine what belongs to the national resolution and what programs are by their nature susceptible to local control. This is the issue of national interest versus local needs. According to Dillon's Rule, local governments an creatures of the states and possess only those powers that states grant them. State legislatures, consequently, are deeply involved in local legislation in such areas as law enforcement and health. Home rule has been one means sought by cities to give them increasing independence from state government by allowing cities to provide services and change governmental organization as they wish. In principle, home rule means self-governmen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political and operational issues surrounding mandate, the effectiveness of IGR depends partly on increased attention on this. It seems that NYS is paying heed to this matter, however, further effort is still requi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