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악성 갈색세포종 및 갑상선수질암의 131I - MIBG 을 이용한 치료

        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ng Moo Lim),홍성운(Sung Woon Hong),윤종길(Jong Kil Yoon),류백렬(Baek Yeol Ryoo),이창희(Chang Hee Lee),정상훈(Sang Hoon Jeong),천영국(Young Kug Cheon) 대한핵의학회 1995 핵의학 분자영상 Vol.29 No.3

        N/A 131I-metaiodobenzylguanidine(MIBG) has been used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al crest tumors.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this agent in 8 patients[l multiple endocrine neoplasia(MEN) type IIb; 2 malignant pheochromocytoma; 5 medullary thyroid carcinoma(MTC)]. The therapeutic procedure consisted of 30-200 mCi of 131I-MIBG administered by slow I.V. infusion, given at 3-6 months intervals. Cummulative activity ranged from 150 mCi to 410 mCi, in 1 to 4 courses. 131I-MIBG therapy resulted in significant disease free interval in 1 malignant pheochromocytoma(no measurable lesion)after sugery; complete hormonal and tumoral response in 2 MTC(1 MEN IIb); stable disease in 1 recurred pheochromocytoma(MEN IIb); stable disease but symptomatic improvement in 1 MTC; progressive disease in 1 malignant pheochromocytoma and 2 MTC. The patients who showed progression appeared to have large inoperable tumors or postoperative remnant tumors.

      • SCOPUSKCI등재

        전이성 분화 갑상선암에서 200mCi 방사성 옥소 치료효과 평가를 위한 혈청 Thyroglobulin 추적검사와 전신스캔의 의의

        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ng Moo Lim),홍성운(Sung Woon Hong),윤종길(Jong Kil Yoon),이창희(Chang Hee Lee),정상훈(Sang Hoon Jeong),권교선(Gyo Seon Kwun) 대한핵의학회 1995 핵의학 분자영상 Vol.29 No.4

        N/A Thirty-eight patients with metastatic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reated with 200mCi 131I were false negative serum thyroglobulin values during TSH suppression or at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discrepancies between findings of whole body scan and serum thyroglobulin level. After one to five cycles of 200mCi 131I therapy, complete remission and partial were achieved at 5.3% and 57.9%,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all of serum thyroglobulin,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131I or 123I whole body scan were necessary in follow up of metastatic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lso, if there was no response after repetitive 200mCi 131I therapy, higher doses of 131I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한 소동물 심근경색 PET 영상의 정량적 평가 기술

        우상근,이용진,이원호,김민환,박지애,김진수,김종국,강주현,지영훈,최창운,임상무,김경민,Woo, Sang-Keun,Lee, Yong-Jin,Lee, Won-Ho,Kim, Min-Hwan,Park, Ji-Ae,Kim, Jin-Su,Kim, Jong-Guk,Kang, Joo-Hyun,Ji, Young-Hoon,Choi, Chang-Woon,Lim, Sang-Mo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1

        전통적으로 심근 생존능을 식별하고 심근 관류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핵의학영상이 이용되고 있으나 경색영역을 정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극성지도의 분포를 분석하여 특성에 맞는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쥐 심근경색 모델은 왼쪽 관상동맥을 결찰시켜 제작하였다. 소동물PET 영상은 37 MBq $^{18}F$-FDG를 쥐의 꼬리정맥에 주사한 후 60분 섭취 후 Siemens Inveon SPECT/PET 스캐너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ECG 신호와 함께 획득하였고, OSEM 2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PET 영상의 심근 극성지도는 Siemens QGS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 후 자동으로 심근 벽을 설정하여 작성하였다. 심근경색영역의 기준데이터는 TTC 염색으로 설정하였으며 전체 좌심실대비 염색된 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하였다. 최적의 임계값 설정을 위해 절대치 설정 방법, Otsu 알고리즘,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Multi Gaussian mixture model, MGM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절대치 설정 방법은 10~90%까지 10%단위로 미리 정의 된 임계값을 이용하였고, Otsu 알고리즘은 영상 내에서 두 군집의 분산을 최대로 하는 임계값으로 설정하였다. MGMM 방법은 영상의 화소 강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가우시안 분포함수(MGMM2, $\cdots$ MGMM4)로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가우시안 분포를 구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극성지도 평가지표는 각각의 알고리즘에서 측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하고 전체 극성지도와 경색영역의 백분율로 획득한 후, TTC 염색으로 획득된 기준데이터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차이는 절대치 방법의 20%에서 $7.04{\pm}3.44%$, 30%에서 $3.87{\pm}2.09%$, 40%에서 $2.15{\pm}2.07%$이었다. Otsu 방법은 $3.56{\pm}4.16%$이었으며 MGMM 방법은 $2.29{\pm}1.94%$이었다. 소동물 PET 극성지도에서는 30% 임계값이 조직학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TTC 염색으로 측정한 크기가 10% 이하에서는 MGMM 방법이 절대치 방법보다 작은 차이를 보였다(MGMM: 0.006%, 절대치방법: 0.59%). 이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 평가를 위하여 생체영상 극성지도에서 다중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MGMM은 사용자의 선택 없이도 자동적으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 임계값을 찾아주는 방법으로 극성지도에서 심근경색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Nuclear medicine images (SPECT, PET) were widely used tool for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and perfusion. However it had difficult to define accurate myocardial infarct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hodological approach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rat myocardial infarct size using polar map with adaptive threshold. Rat myocardial infarction model was induced by ligation of the left circumflex artery. PET images were obtained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37 MBq $^{18}F$-FDG. After 60 min uptake, each animal was scanned for 20 min with ECG gating. PET data were reconstructed using ordered subset expectation maximization (OSEM) 2D. To automatically make the myocardial contour and generate polar map, we used QGS software (Cedars-Sinai Medical Center). The reference infarct size was defined by infarction area percentage of the total left myocardium using TTC staining. We used three threshold methods (predefined threshold, Otsu and Multi Gaussian mixture model; MGMM). Predefined threshold method was commonly used in other studies. We applied threshold value form 10% to 90% in step of 10%. Otsu algorithm calculated threshold with the maximum between class variance. MGMM method estimated the distribution of image intensity using multiple Gaussian mixture models (MGMM2, ${\cdots}$ MGMM5) and calculated adaptive threshold. The infarct size in polar map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lower threshold area in polar map from the total polar map area. The measured infarct size using different threshold methods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infarct size. The mean difference between with polar map defect size by predefined thresholds (20%, 30%, and 40%) and reference infarct size were $7.04{\pm}3.44%$, $3.87{\pm}2.09%$ and $2.15{\pm}2.07%$, respectively. Otsu verse reference infarct size was $3.56{\pm}4.16%$. MGMM methods verse reference infarct size was $2.29{\pm}1.94%$. The predefined threshold (30%) showed the smallest mean difference with reference infarct size. However, MGMM was more accurate than predefined threshold in under 10% reference infarct size case (MGMM: 0.006%, predefined threshold: 0.59%). In this study, we was to evaluate myocardial infarct size in polar map using multiple Gaussian mixture model. MGMM method was provide adaptive threshold in each subject and will be a useful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infarct size.

      • KCI등재

        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재규(Lee Jae Kyu),김법종(Beob Jong Kim),황순혁(Soon Hyunk Hwang),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재발의 조기 진단방법으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을 시행하여 재발의 조기 진단에 있어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암으로 원자력 병원에서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 무병 상태로 추적 검사 중인 환자 중 전신 FDG-PET scan을 시행한 101명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종양표지자,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기존의 추적 관찰방법과 FDG-PET scan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신 FDG-PET scan의 촬영은 GE advance scanner를 이용하였고, 370-555MBq(10-15mCi)의 FDG를 주사한 후 50분 후부터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전신 영상을 얻은 후 20분간 국소 영상을 얻었다. 국소 관심 영역의 표준 섭취 계수를 구하여 값이 3.0 이상이거나 주변조직에 비해 높은 섭취율을 보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CT, MRI 및 가능한 경우에 경피적 천자술을 시행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17명(16.8%)중 8명(47.1%)에서 추후 임상적 소견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2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재발이 확인되었다.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부위는 종격동 림프절에서 5예, 폐실질에서 5예, 골반림프절에서 4예, 중앙병소에서 3예, 쇄골하 림프절에서 2예로 종격동 림프절과 폐실질에서 가장 많았다. 무병상태로 추적관찰중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조기재발을 진단하는데 있어 PET scan의 민감도는 100%였으며, 특이도는 90.3%이었다. 양성 예측율(positive predictive value, PPV)은 47.1%(8/17), 음성 예측율(negative predictive value, NPV)은 100%(84/84), 위양성율(false positive rate)은 52.9%(9/17)였다. 결론: FDG-PET scan은 기존의 방사선 검사나 종양 표지자로서 발견하지 못한 전이 또는 재발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환자의 7.9%(8/101)에서 발견 할 수 있었다. FDG-PET scan은 높은 위양성율에도 불구하고 전신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작은병소 혹은 여러 부위에서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 진단이 쉽고 예상치 못한 부위의 원격전이를 찾아낼 수 있어 자궁경부암 환자의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sibility of FDG-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in patients with clinically no evidence of diseas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one patients with clinically NED(no evidence of disease) stat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underwent PET scan. FDG-PET scan was obtained with a GE Advance Scanner, beginning at 50 minutes after injection of 370-555 MBq(10-15 mCi) of 18F FDG. Regional scan was also obtained with emission image. Uptake exceeding 3.0 SUV was determined as a positive finding. Recurrence was confirmed by CT, MRI, and needle biopsy if possible. Results: Among 101 patients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17 patients(16.8%) showed abnormal PET scan findings. Clinically, 8 patients(7.9%) were confirmed to have recurrent lesion by CT, MRI or by needle biopsy. PET scan could detect recurrent lesions in the mediastinum or lung(10/17), pelvis(7/17),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2/1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E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were 100% and 90.3%,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false positive rate were 47.1%, 100% and 52.9%. Conclusion: PET scan could detect 7.9% of early recurrenc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ith NED status. FDG-PET scan may be a useful method in detecting metastases or recurrence of a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by routine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 KCI등재

        Taxol의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I-125 표지화합물 합성

        오옥두(Ok-Doo Awh),금준섭(Jun-Sub Kum),이양호(Yang-He Lee),박용석(Yong-Serk Park),편웅범(Woong-Beum Pyun),최창운(Chang-Hoon Choi) 대한의생명과학회 1997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3 No.2

        Taxo은 diterpenoid구조를 가진 항암제로서, 난소암과 유방암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다른 항암제와 마찬가지로 독성을 가지고 있어 약물의 체내 혈중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물의 혈중농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HPLC법, ELISA법, RIA법 등이 있으나, RIA법이 민감도 측면에서 또한 간편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I-125 표지항원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을 확립하기 위해 먼저 taxol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먼저 taxol의 C-13 탄소의 곁가지에 위치한 C-2’부분의 hydroxy기를 succinic anhydride와 반응시켜 2'-hemisuccinyltaxol (Ⅰ)을 합성 (반응수율: 80%)하였다. 또한 tyramine을 ¹²?I로 표지하고 gel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된 [¹²?I]iodotyramine (Ⅱ) (반응수율: 58%)을 얻었다. (Ⅰ)과 (Ⅱ)를 반응시켜 2’-[¹²?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Ⅲ) (반응수율: 96%)을 얻어 ¹²?I 표지창원으로 사용하였다. Taxo에 대한 항체를 획득하기 위해서 (Ⅰ)을 BSA에 접합 반응시켜 2'-hemisuccinyltaxol-BSA접한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을 토끼에 면역주사하여 anti-taxol serum을 얻었다. 이 항체에 대한 역가 검정실험에서 1:20의 회석비에서 B/F(%)가 약 40%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2-[¹²?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을 표지항원으로 한 taxol의 방사면역측정 방법으로 혈청내 taxol의 농도측정이 가능함을 제시 해 준다. Taxol, an anticancer drug that has diterpenoid conforma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al agent in the treatment of breast and ovarian cancers. Because of its toxicity like other anticancer drugs, monitoring the taxol level in serum is important procedure during cancer therapy. The various monitoring methods using HPLC, ELISA, and RIA have been adopted, and RIA technique is known to be superior than other methods in trems of sensitivity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e taxol RIA system using ¹²?I labelled antigen, first of all we synthesized taxol derivatives. 2'-hemisuccinyltaxol was obtained with about 80% yield by esterification of taxol at C-2' hydroxyl group on C-l3 carbon with succinic anhydride. [¹²?I] iodotyramine was prepared with 58% labelling yield by radioiodination of tyramine and purified by gel chromatography. 2'-[¹²?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¹²?I labelled antigen for taxol RIA, was synthesized with 96% yield from conjugation of 2'-hemisuccinyltaxol and [¹²?I] iodotyramine. Anti-taxol serum was produced from the rabbit immunized with 2'-hemisuccinyltaxol-BSA synthesized by 2'-hemisuccinyltaxol and BSA. The antiserum titer was determined by RIA using 2'-[¹²?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The titer of 1:20 was obtained with about 40% of B/T. The results suggest that taxol RIA using ¹²?I labelled antigen can be applied to monitor the taxol level in serum.

      • KCI등재

        Taxol의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I-125 표지화합물 합성

        오옥두,최창운,금준섭,박용석,이양호,편웅범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 1997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3 No.2

        Taxol은 diterpenoid구조를 가진 항암제로서, 난소암과 유방암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다른 항암제와 마찬가지로 독성을 가지고 있어 약물의 체내 혈중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물의 혈중농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HPLC법, ELISA법, RIA법 등이 있으나, RIA법이 민감도 측면에서 또한 간편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I-125 표지항원을 이용한 방사 면역측정법을 확립하기 위해 먼저 taxol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먼저 taxol의 C-13 탄소의 곁가지에 위치한 C-2'부분의 hydroxy기를 succinic anhydride와 반응시켜 2'-hemisuccinyltaxol(Ⅰ)을 합성(반응수율:80%)하였다. 또한 tyramine을 125I로 표지하고 gel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된 [125I]iodotyramine(Ⅱ)(반응수율:58%)을 얻었다. (Ⅰ)과 (Ⅱ)를 반응시켜 2'-[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Ⅲ) (반응수율:96%)을 얻어 125I 표지항원으로 사용하였다. Taxol에 대한 항체를 획득하기 위해서 (Ⅰ)을 BSA에 접합반응시켜 2'-hemisuccinyltaxol-BSA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을 토끼에 면역주사하여 anti-taxol serum을 얻었다. 이 항체에 대한 역가 검정실험에서 1:20의 희석비에서 B/F(%)가 약 40%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2'-[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을 표지항원으로 한 taxol의 방사면역측정 방법으로 혈청내 taxol의 농도측정이 가능함을 제시해 준다. Taxol, an anticancer drug that has diterpenoid conformation, has been used as an effctive chemotherapeutical agent in the treatment of breast and ovarian cancers. Because of its toxicity like other anticancer drugs, monitoring the taxol level in serum is important procedure during cancer therapy. The various monitoring methods using HPLC, ELISA, and RIA have been adopted, and RIA technique is known to be superior than other methods in trems of sensitivity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e taxol RIA system using 125I labelled antigen, first of all we synthesized taxol derivatives. 2'-hemisuccinyltaxol was obtained with about 80% yield by esterification of taxol at C-2' hydroxyl group on C-13 carbon with succinic anhydride. [125I]iodotyramine was prepared with 58% labelling yield by radioiodination of tyramine and purified by gel chromatography. 2'-[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125I labelled antigen for taxol RIA, was synthesized with 96% yield from conjugation of 2'-hemisuccinyltaxol and [125I] iodotyramine. Anti-taxol serum was produced from the rabbit immunized with 2'-hemisuccinyltaxol-BSA synthesized by 2'-hemisuccinyltaxol and BSA. The antiserum titer was determined by RIA using 2'-[125I]iodotyramine-hemisuccinyltaxol. The titer of 1:20 was obtained with about 40% of B/T. The results suggest that taxol RIA using 125I labelled antigen can be applied to monitor the taxol level in se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