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적응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최진아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199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x differenc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adjustment ability. So,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preliminary data for children's adjustment ability progress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2 children from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Sex differ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 were partially fou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Specially, maternal and peer support levels were most highly correlated to boy's adjustment. Father, mother, teacher and peer support levels were highly correlated to girl's adjustment. In conclusion, children's social support can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adjustment of children.

      • KCI등재

        농촌 주택정원 실태 분석 연구

        최진아,조세환,박미정 한국농촌계획학회 2015 농촌계획 Vol.21 No.4

        The purposes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re the efficient fo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in the future by stereotyping the house gardens of the farming villages and the garden spaces and the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arm villages and the suggestion of the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rming village environments.As a result, there were the limitations that this research had been limited to the garden spaces of the farm village houses, without considering all the environments of the farm villages. It was thought that, if,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s for drawing the item of the concrete creation of the gardens and the management are proceeded with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in the vei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rm village homestead gardens and the villages in the future, this will prove helpful in practically formulat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policies for supplying the farm village gardens for the farm villages.

      • KCI등재

        강신무의 신당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

        최진아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religious implications that the sanctum of Gangsinmoo(the possessed shaman) holds. As a place for permanent and unchangeable sacredness, the sanctum of Gangsinmoo seems to have maintained a certain structure from the pastWhile the structure of the shrine was various in the past, now it has increasingly simplified these days. The shrine also reflects the characters of Gangsinmoo’s Mom-Ju-sin (몸주신, the Owner God). Symbolic icons located in the sanctum include the Body of God (神體) which visualizes the God, and Jeomguryu (占具類). These icons act as the medium which connects the shaman with the Owner God and express the sacredness of the Owner God. Moo-Dang (the shaman) means the house (Dang) of Shamanism (Moo), and thus the name indicates a place for religious activity. For the shaman, the shrine is a place for sacredness and purification rites. It also serves as a place for the shaman to have an audience with the God as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the shrine explicitly exposes the dignity of the God to the shaman. The sanctum is also used as a religious place where a believer interacts with the God through shamanism activity. The believer visits the shrine and prays to one of the Gods based on the ability of the God. Those Gods mainly have the ability to control childbirth, longevity, luck and the good fortune in money. Sometimes the God’s message is delivered to the believer by the shaman through shamanism activity. Furthermore, a Dangol (a follower of the shaman) prays for longer life, using Myeongdari (a life bridge) as a medium. In other words, the shrine is not only a place both for the sham and believer to meet the God, but also a sacred place for the believer to communicate with the God through the shaman. In that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the shrine of Gangsinmoo is a religious place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implications. 본 연구는 강신무의 항시적 성소(聖所)인 신당(神堂)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강신무의 신당은 영원불변의 신성성을 지니는 공간으로서, 그 구조는 과거부터 일정한 틀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신무 신당의 구조는 현재보다 과거에 여러 다양한 구조가 존재해 왔으나, 현재는 오히려 그 유형이 단순화되고 있다. 신당은 곧 강신무의 몸주신의 성격을 반영하고, 또한 그 신성성을 표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 안에 배치된 상징물로는 신의 모습을 가시화한 신체(神體)와 점구류 등이 존재한다. 이 상징물은 신성성(神聖性)이 부여된 성물(聖物)로 인식되어, 일반인들은 함부로 만지거나 다루어서는 안 되는 금기의 대상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곧 신의 의사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신당은 곧 신직 매개 및 신과 인간이 상호교류가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서 신을 상징하는 상징물에 기원하고 또한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신의 의사를 전달받기도 한다. 무당(巫堂)은 무(巫)가 신을 위한 제를 지내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그 명칭 안에 종교공간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무당과 신당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강신무에게 신당은 신성공간으로서 정화의례의 공간이며, 또한 종교인으로서 신을 알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은 신직을 수행하는 매개자로서의 강신무에게는 자신에게 받은 권위를 신앙자에게 현시적(顯示的)으로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신앙자에게는 신과 상호소통이 가능한 종교공간으로 활용된다. 신앙자는 신당을 찾은 목적에 따라 그 직능에 해당하는 신격에게 기복발원을 행한다. 그 대상신은 출산과 수명 그리고 재수와 재복 등과 같은 직능을 지니는 신이 주를 이룬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강신무는 자신의 몸주신 외에도 그와 같은 직능을 지닌 신의 상징물을 신당에 봉안해 놓는다. 또한 신앙자는 강신무를 통해 신의 메시지를 전달받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강신무와 단골관계를 맺은 신앙자는 명다리라는 매개물을 통해 수명연장을 기원하기도 한다. 즉, 신당은 사제자와 신앙자 모두 신을 만나는 곳임과 동시에, 신앙자에게는 巫를 매개로 하여 신과 교류가 가능하게 해 주는 성소이기도 하다. 그러한 맥락에서 강신무의 신당은 여러 다양한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종교공간이라는 주장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소설 과목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환경에 대한 연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4 No.-

        On this thesis, it is about Capstone Design course that analyze how Chinese novel’s classroom circumstance influence on result of the class. Primarily, Capstone design was meant to be used in engineering course study, yet when it imposed on literature, all of the related courses on literature make an attempt on connecting two different kinds of area. Among the area of Capstone Design course, the meeting with Chinese novel makes the students to present a problem and deducting solution in order to produce an output based on Chinese novel. The classroom circumstance based on Capstone Design is affected by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so, Chinese Novel Class composed of only Korean students 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different classroom circumstance. Between two teams, the only Korean students team shows comparatively high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which directly connected to bigger satisfaction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comparatively low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though, mixed team shows low result, when the professor is subject to an involvement, the moment of the students proves their real worth in creativity, satisfaction and the result are much higher than singl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even beyond the way of utilization ability in Chinese are high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Capstone Desig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course, manage the Chinese novel is needed to organize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areas. In conclusio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team or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 make the class circumstance more diverse and creating significant output. Yet, constructing wholesome class circumstance, involvement by the instructor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is inevitable. 본 논문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과정으로 운영되는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환경이 수업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본래 캡스톤 디자인은 공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었으나 이 개념이 인문학에 도입된 후, 인문학 관련 각 수업들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두 층위를 접합시키는 시도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중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중국소설 과목의 만남은 중국소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해답을 도출해 내며, 나아가 중국소설 기반의 산출물을 생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근간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공유정신 모형과 상호수행 모니터링, 그리고 개인의 창의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만으로 구성된 단일 팀의 경우와 우리나라 및 중국인 학생의 혼합 팀의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건으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 개인의 창의성 면에서 모두 평균 이상의 수업환경이 구성되고 이에 따른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결과물도 평균을 웃도는 성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으로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의 단계에서 교수자의 개입이 없는 경우 평균 이하의 결과치를 도출해 낸다. 그러나 교수자의 개입을 전제로 할 경우,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단계에서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 수업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단일 팀 구성의 수업환경에 비해 훨씬 큰 만족도와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중국학생 자체가 지닌 중국소설과 중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나아가 모국어로서의 중국어 활용능력이 캡스톤 디자인 결과물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교육 과정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중국소설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의 구성원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했을 때, 예를 들어 내외국인 학생의 혼합 팀, 또는 서로 다른 전공의 혼합 팀 등으로 수업환경을 조성했을 때 가장 다양하고 의미있는 산출물이 나온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한 교수자의 개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해야만 한다.

      • KCI등재

        중학교 체육에서 교사의 열정과 자율성지지, 관계성지지, 그리고 그릿간의 구조적 관계

        최진아,서건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support for teacher autonomy, support fo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grit for preliminary high school students. This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ffective instruction and search for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t was selected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and judgmental sampling, focusing on those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200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182 copies, excluding 18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reliable or responded collectively. When looking at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ssion on autonomy support and relationship support, the hypothesis was adopted as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support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it, so the hypothesis was adopted. However, support for autonomy was rejected as it did not appear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it. 본 연구에서는 예비고교생들을 대상으로 교사열정,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동료와의 관계성지지, 그릿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체육수업 현장에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들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 수업을 참여하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과 판단표본추출법(judgemental sampling)에 의거 선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00명 중 일괄적인 응답을 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1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182부를 통해서 연구를 실시 하였다. 체육교사의 열정은 자율성지지와 관계성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채택되었다. 관계성지지는 그릿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자율성지지는 그릿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 KCI등재

        唐 傳奇에 투영된 長安의 현실지리와 심상지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08 中國小說論叢 Vol.28 No.-

        本论文研究了首都长安之现实地理和像地理. 唐代长安不仅一个国家的首都,而心且因世界的中心. 因此,全世界的物产和文化都集中在长安. 本论文通过唐传奇分析了 长安之现实地理和心像地理. 本论文按照四个故事考察了故事发生地点和其地点的文化意义. 然后,分析了〈昆仑奴〉、〈北里志〉、〈教坊记〉、〈任氏传〉等作品. 特别〈任氏传>中,笔者发现了长安城市民不止于人间,也包括鬼神. 所以长安不但现实空间,而且包括幻想空间. 笔者又发现了长安文化之混种特色. 长安文化构成了各个边界民族文化. 绝不在基础于单一的汉族文化,因此,唐帝国尽量利用了文化上的混种特色,而其基础上扩大了国势,成为世界大国.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