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지방정부 외교의 현황과 과제

        최정묵,유병선 한국지방정치학회 2022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s local diplomacy, focusing on the fact that local governments are the best institutions to solve global problems currently facing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especially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and COVID-19. Until now, the external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in international exchanges, projects with North Korea, and public diplomacy, but they have ancillary, unprofessional, and temporary limitations. Therefore, in order to vitalize local diplomacy,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justification and status of local diplomacy. Second,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ir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Third, local governments should participate in global governance and networks. Fourth, regional-based strategies should be prioritized. Local diplomacy is a huge trend that cannot be avoided or ignored.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actively respond to global problems and threats, are a real partner in resolving security agendas that are difficult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handle, and have diplomatic legitimacy and status for realizing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democracy and decentralization. In the end, it is clear that diplomacy has become an active area for local governments and has become an obligation. 이 연구는 현재 지방정부와 주민이 직면한 기후변화, 자연재해, 코로나19 등 전 지구적인문제 해결의 최적 기관이 지방정부라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의 지방외교를 논의하고자한다. 지금까지 한국 지방정부의 대외 활동은 국제교류, 대북사업, 공공외교 활동으로 전개되었으나 부수적이고 비전문적이며 일시적인 모습을 보이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지방외교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지방외교의 정당성과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지방정부의 자율성과 전문성 향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정부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네트워크에 참여해야 한다. 넷째, 지역에 기반한 전략이 우선되어야 한다. 지방외교는 피할 수도 외면해서도 안되는 거대한 흐름이다. 즉 지방정부는 적극적 외교를 통해 헌법이 보장하는 민주주의와 지방분권의 가치를 실현하고, 중앙정부가 감당하기 어려운 안보 의제 해결의 실질적 파트너로서, 글로벌 문제와 위험으로부터 지역 주민의 생존과 안전을 보호해야 하는 책임이 따른다. 결국 외교는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감당할 영역이며 의무가 되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 KCI등재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에 대한 고찰

        최정묵 한국동서철학회 2000 동서철학연구 Vol.20 No.1

        주자철학에 있어 공부방법론은 한 순간의 자각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긴 시간 여러 유형의 사고들과 만나는 가운데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그에 있어 공부방법론의 확정은 그가 관심에 두었던 사상의 내용에 무엇인가와 그것들을 어떻게 취하고 버렸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주자의 공부론은 動과 靜 즉 存養과 省察을 동시에 아우르는 방법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결론은 未發을 위주로 한 공부방법에 대한 관심과 이것으로부터 전향하여 已發의 중심으로 한 일차적 공부방법론 결정,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未發을 중심으로 已發의 의미규정은 心과 性의 개념규정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中和說을 통하여 주자가 공부론을 확정해 가는 과정을 살펴, 일차적으로 이와 같은 방법론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아울러 이것은 心과 性의 개념 규정과 밀접한 관계 맺음에서 도출되고 있음을 확인하려는데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장횡거의 기일원론적 세계관에 대한 고찰

        최정묵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29 No.-

        이 논문은 장횡거의 존재에 대한 이해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장횡거는 우주의 근본적인 존재를 氣라고 이해하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인 태허와 눈에 보이는 유형인 만물 모두가 기의 운동변화에 의한 존재상태의 차이일 뿐이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의 변화와 운동에 의한 존재방식의 차이에 따른 태허와 만물은 각각 기의 본래상태와 일시적 상태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만물의 가치 저하를 불러일으키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모두 본원존재로서의 氣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존재 상태의 차이는 기의 모이고 흩어지는 운동양상의 다름에 기인한 것이다. 이처럼 모임과 흩어짐은 기의 기본적 활동방식이다. 이것은 往來屈伸이라는 의미인 鬼神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말하면 기의 음양이라는 활동방식을 나타내는 것일 뿐이다. 이와 같은 기의 운동변화는 외부적 규율에 의한 것이 아닌 氣에 내함된 자기동인에 의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자기동인의 역동성이 바로 神化인 것이다. 이러한 내재적 동인에 의한 氣의 운동은 대대적 관계의 작용들을 조화롭게 유지시켜주는 법칙을 내함하고 있으며, 장횡거는 이러한 운동의 법칙성을 道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道는 일반화된 개념에서 논의된 것이며, 기 운동의 전체적 조화성은 太和라는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장횡거의 기일원론적 사유는 有와 無를 판연히 구분하여 그것을 이원화시킴으로써 有의 세계에 집착하거나 空에 집착하는 세계관을 타파하고, 통일적 논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본체와 현상을 이원화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장횡거의 철학은 존재 그 자체의 이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삶에서의 올바른 실천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현실적 실천을 중시했던 전통유가의 기본 관점에 충실하면서 그것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 장횡거 사상의 철학사적 의의라 하겠다. This thesis is on Chang Heng-qu's Ontology. Chang Heng-qu considers the fundamental being of the universe Chi. He says that both what is invisible and what is visible are all by the motion and change of Chi. What is invisible and what is visible is explained by the original state and the temporary one of Chi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being is caused by that of the gathering and scattering motion of Chi. This gathering and scattering motion is the basic acting way of Chi. The motion and change of Chi is caused not by outer regulations but by the self-motive within Chi. This motion of Chi by self-motive seek after harmony. Chang Heng-qu's Monistic Ontology is to abandon the viewpoint of the world which differentiate the being from the non-being and cling to either the world of the being or the world of non-being. Through this thinking, he establishes a unified logic structure and solv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nature and the phenomenon. This philosophy of Chang Heng-qu's is the understanding of being itself and to get the practical basis of right life

      • KCI등재후보

        艮齋 田愚 性理說의 기본입장

        최정묵,민황기 한국사상문화학회 2004 韓國思想과 文化 Vol.23 No.-

        Ganje's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is inheriting the theory of Chu Hsi and Yulgok.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has an operating force and the basic principle has no operating force. And the basic principle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are explained with the concept of the operating and the operated. The key point of Ganje's theory of the mind principle is that the principl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student. The teacher is an example, and the student is to follow the example. Since the mind controls the body but isn't independent, the operation is to be basic on the principle. Ganje regards the theory of the principle as the principle of nature. But Ganje's concept of the principle of nature includes the principle of ture character. Ganje's understanding of the four principles and the seven passions is that what appears is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and what causes that appear is the principle, which is true of YulGok's basic logic. 艮齋의 理氣에 대한 이해는 주자 이론에 기초함과 동시에 가까이는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을 계승한 것이다. 따라서 氣는 有爲하고, 理는 無爲하다는 것으로 집약된다. 그런데 理가 無爲하다고 하는 것은 유행의 측면을 말한 것이다. 유행상으로 말하면 理는 氣의 움직임에 따르기 때문에 무위하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본원상으로 기가 동정하게 되는 것은 반드시 理의 主宰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본다. 그래서 이와 기의 관계를 師와 役으로 비유하고 있으며, 심성론을 대변하는 주제어는 性師心弟이다. 師는 본보기라는 의미이며, 弟는 스승을 모범 삼아 좇아야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성사심제는 마음이 운용될 때 性善의 발현을 모범 삼아 본받는다는 의미이다. 심과 성의 관계에 대한 규정은 이것에 대한 객관적 의미를 제시한 것임과 동시에, 심학에 의해 굴절된 성의 의미를 회복하려는 목적의식이 담겨있는 것이다. 간재는 심을 일신을 주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자주적인 아니라 하여, 심의 운용은 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된다고 보고 있다.성론에 대한 세부적인 전개에 있어, 간재는 성이라는 이름이 있게 되는 근거에 주목하여, 기질지성을 위주로 논하고 있다. 그러나 간재가 말하는 기질지성은 일반적으로 본연지성과 대립되는 의미만을 지닌 것이 아니다. 간재는 기질지성을 ‘性在氣中’과 ‘性隨氣異’라 하여,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의미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이러하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기질지성을 다섯 가지의 내용으로 정리하게 된다. 간재가 인성과 물성 같다고 말할 때의 성이란 ‘성재기중’ 즉 본연지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간재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해는 발하는 것은 氣이고, 발하게 하는 것은 理라는 율곡의 기본논리에 충실한 것이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외물에 대한 감응에 성이 드러난 것으로 보기 때문에, 理氣의 互發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것이 구분되는 까닭은 순하게 드러났는가, 격하게 드러났는가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 KCI등재

        재시동 조건을 이용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최정묵,이진식,임오강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5 No.2

        유전자 알고리즘은 적자 생존과 자연친화의 유전이론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탐색기법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미분 정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없이 수렴함으로 전역적 최적값을 탐색하는 강인한 탐색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연속형의 설계변수를 가지는 문제에서 세대가 계속 진행되어도 목적함수의 개선이 없이 조기에 수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역적 최적값 근처에서 수렴하지 못하고 목적함수값이 진동하여 수렴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유전자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재시동 조건과 엘리트 보존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정된 유전자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3부재 트러스와 평면응력 외팔보에 적용하여 수렴 속도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The genetic algorithm(GA),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has proven to be relatively robust means to search for global optimum. It is converged near to the global optimum point without auxiliary information such as differentiation of function. When studying some optimization problems with continuous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remature saturation was reached that is no further improvement in the object function could be found over a set of iterations. Also, the general GA oscillates in the region of the new global optimum point so that the speed of convergence is decreased.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restarting and elitist preserving strategy as a measure to overcome this difficulty. Some benchmark examples are studied involving 3-bar truss and cantilever beam with plane stress elements. The modifications to GA improve the speed of conver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