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망률 전망 모형의 선택과 국민연금 재정효과 분석

        최장훈 통계청 2016 통계연구 Vol.21 No.1

        This paper shows how to select appropriate mortality projection models and how the projected mortality generated by the selected models can influence the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The future mortality trends are influenced by not only the past mortality trends but also various outer factors which are not easy to apply because the application requires subjective decisions. Thus in this paper we choose the projection models based on how accurately the models can reflect past trends on the future. Accuracy tests are performed on 1-factor LC, 2-factor LC, LL, CBD, expanded CBD models and the models are selected based on SSE (Sum of Squares of Errors). The data used for the tests are 1983~2010 abridged life tables of Statistics Korea. Then life expectancies, population structur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produced by the selected models are compared with the ones produc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show that 2-factor LC and LL models are selected as the two best models for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nd as of 2060 the life expectancies produced by the selected models are 3.3 years and 2.7 years longer than the ones produced by Statistics Korea, respectively. Therefore the accumulated fund of the national pension is depleted 2 years earlier than the result of the 3rd financial projection of the national pension. 본 연구는 사망률 전망을 위한 모형의 선택과 전망 결과에 기초한 국민연금의 재정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미래의 사망률 추세는 과거의 추세 외에도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전망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답은 아직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외부 요인의 적용은 주관적인 판단을 요구하므로 적용이 쉽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과거의 추세를 미래에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지를 사망률 전망의 기준으로 정하였다. 전망 모형의 선택은 1-요소 LC 모형, 2-요소 LC 모형, LL 모형, CBD 모형, 그리고 CBD 확장모형에대한 적합성 테스트를 통하여 전망 결과와 실제 사망률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모형으로 결정하였다. 테스트에 사용한 데이터는 1983~2010년 통계청 간이 생명표이고 측정은 오차제곱합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결과 남자는 2-요소 LC 모형, 여자는 LL 모형이 가장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두 모형을 각각 남자와 여자의 전망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모형을 통해 기대수명을 계산한 결과 2060년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전망한 기대수명보다 남자는 약 3.3세, 여자는약 2.7세 더 늘어나고 국민연금의 적립기금은 제3차 재정추계 결과보다 2년 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허베이스피리트호 오염사고에서 나타난 어업피해구제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최장훈 한국부동산연구원 2011 부동산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lvage systems for the current oil pollution with oil spillage incident and suggest an improved method to find a fishery damage relief method from the reason for the lower reparation and compensation rates and the long time for the compensation and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oil spillage incidents and their compensation cases to find why the rate of compensation is low, which was suggested in an effective damage relief solution. In this study, the reason for the current low rate of compensation for the fishers from the oil pollution in Korea,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was analyzed to be the following. The damages from the oil pollutions were not scientifically proven. Therefore, the lack of objectivity in the fishery income data could not prove the damages rationally. In addition, in the future cases of damages from oil spills, the improved methods to quickly, reasonably and efficiently resolve the compensation issues are shown below. First,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fishery damage investigation. The fishery damage investig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ffect the livelihood and the life of the fishers. Therefore, a standard of the fishery damage investigation should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damage assessment. Second, Application of the fishery loss evaluation related rules of the marine regulations within the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guarantee law. Third, there are four methods to save the damages from the environment pollution: self- effort, public law, judicial and private method. 이 연구는 2007년12월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하였던 허베이스피리트호의 해양유류유출오염사고로 인하여 어민 등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피해에 대한 구제는 현재까지 나타난 진행과정을 지켜보면 이전에 국내에서 발생하였던 씨프린스호사고 등 전례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어업피해구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의 해양유류유출오염으로 인한 국내․외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 비하여 낮은 배․보상율과 배․보상을 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이유는 국제기금에서 유류유출오염으로 인한 유류오염피해에 대한 객관적 증빙자료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는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 유류유출피해에 대한 평가기준 및 감정평가주체규정의 미비, 수산물거래관행인 임의상장제로 인한 수산물거래증빙서류의 입증곤란성과 맨손신고어업제도의 문제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첫째, 어업피해조사의 표준화 및 제도를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에 도입하여 피해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속한 배․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둘째. 구체적으로 어업피해를 배․보상하기위한 피해액 산정방법을 수산업법을 준용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없는 영세어민들의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정부에서 발표하는 어업생산통계에 대한 제도개선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출산율과 사망률 보정을 통한 인구추계 및 국민연금 재정전망

        최장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Population ageing caused by low fertility rates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ies would raise social welfare expenses, and slow down economic growth caused by labor shortage and consumption and investment shrinkage, leading to risk the stability of social welfare system. To reduce the expenses and risks came from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effective policy making to recover fertility rates and prepare for old age is required and it should be based on accurate and reliable population projections. There are some disputes on 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regarding high fertility and mortality assumptions. In that case, the expected spendings of the government's expenditure would rise and the reliability of the national pension financial projection would be weakened. In this paper fertility and mortality assumptions are adjusted to be lower and cohort component population projections are carried out based on the new assumptions. The results show that populations are lower than those of the Statistics Korea and the fund-exhaustion time of the National Pension is reduced by two years. 저출산율과 기대수명연장에 따른 인구고령화는 국민연금과 국민건강보험 등과 같은 사회복지비용을 높이고 노동력부족과 소비 및 투자축소에 의해 경제성장 동력을 잃게 하여 사회복지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 인구구조 변화에 의한 비용과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출산율을 높이고 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효육적인 정책이 요구되며 이러한 정책은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인구추계에 기인한다. 국민연금 제3차 재정추계에 사용된 출산율과 사망률이 높게 추정되어있다는 논란이 있다. 출산율과 사망률이 높게 추정되어 있을 경우 연금과 노후대책 등에 대한 정부의 비용이 예상보다 늘어날 수 있고 국민연금의 재정전망에 대한 신뢰도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과 다른 모형을 사용하고 시점을 최근으로 옮긴 후의 인구추계를 수행하여 2010년 통계청 인구추계 결과와 비교한다. 새로운 모형과 방법을 적용한 결과 출산율과 사망률이 통계청보다 낮게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인구추계 결과도 통계청보다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유래 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정책수립의 기초가 되는 인구추계의 정확성과 신뢰가 중요하며 기금 소진 시점을 늦추기 위한 정책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ultiplex Real-time RT-PCR Assays for Seasonal, Pandemic A/H1pdm09 and Avian A/H5 Influenza Viruses Detection

        최장훈,김미선,이주연,이남주,권동혁,강민구,강천 한국미생물학회 2013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1 No.2

        Since the pandemic influenza A (H1N1) 2009 ((H1N1)pdm09)virus spread all over the world, the (H1N1)pdm09 virus has been circulating with seasonal influenza viruses. We developed rapid and sensitive one-step multiplex real-time RTPCR assays (rRT-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influenza viruses currently circulating in humans, and the avian A/H5 virus. The detection limit of each assay was 4.8 to 1copies per reaction and no cross-reactivity with other major respiratory pathogens was found. Analytical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100%, 94.1%, 93.7% and 100%,respectively. Clinical evaluation revealed that 1,976 (16.5%)of 11,963 throat swabs from patients with respiratory symptoms were confirmed as 1,651 (83.6%) A/H1pdm09, 308(15.6%) A/H3 and 17 (0.8%) B virus during the 2010-2011influenza season. Collectively, the multiplex rRT-PCR assays described here provide a practical tool for reliable implementation of influenza surveillance and diagnosis.

      • KCI등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연금가입 비교 분석

        최장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Recently, households with one person are the common type of the households, which leads to increasing demands for annuity products. one-person households have high annuity needs because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old age lives. However, from year 2006 to 2016, the decrease in the annuity participation rates of one-person households was larger than that of two or more-person household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changes of the annuity participation rates for one-person households and for two or more-person households from year 2006 to year 2016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their incomes, and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bank savings. Backward stepwise- elimination confirms those correlations among the annuity participation rates, the income, and the bank savings. Other than these two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level, life satisfaction, home-ownership, asset, and interest rates, are also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annuity participation rates. In order to induce annuity particip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e products with low premiums and more competitive than bank savings are required. 1인가구의 증가율이 빠르게 진행되어 현재는 1인가구가 전체가구 중 가장 보편적 형태의 가구가 되었다. 1인가구는 자신의 노후를 자신이 책임져야 하므로 연금에 대한 니즈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0년 전과 비교하면 1인가구의 연금가입률 및 연금보험료 감소폭이 다인가구의 가입률 감소폭보다 더 커서 그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2006년 대비 2016년의 1인가구의 소득 감소폭이 다인가구보다 높다는 점과 1인가구의 은행 예/적금에 대한 선호도가 다인가구보다 더 높아졌다는 점이 1인가구의 연금 가입 감소의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 각각에 대해 성별과 연령집단으로 세부적으로 구분된 분석에서도 가입률 변화와 소득 및 예/적금 선호도 변화는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후진 점진제거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소득과 예/적금 선호도가 연금가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 연령, 교육수준, 생활만족도, 거주형태, 자산, 금리 등도 연금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1인가구의 연금가입을 유도하기 위해서 보험회사는 보험료를 낮추고 예/적금보다 경쟁력이 있는 상품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