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여가활동참여의 이중매개효과

        최장원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pathways of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o establish a basis for concrete intervention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9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ged 9 to 24 yea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2017. The SPSS macro process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life satisfaction,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It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and cultural·leisure activities when the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is confirm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ausal pathways of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cus of practical interven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sequential pathways of Self-Rated Health and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influence of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적 경로를 확인함으로 일상생활 가운데 구체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만9세-만24세의 장애청소년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여가활동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여가활동참여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가운데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여가활동의 순차적인 경로의 확인을 통한 실천적인 개입을 초점을 확인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융합의 시대에(사물인터넷시대에)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법 개선방안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및 심리·사회적 적응을 중심으로-

        최장원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0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으로 이주한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과 심리·사회적 적응 실태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책지원법의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북한이탈주민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적응은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 사회적 적응 상태는 전반적으로 낮은 가운데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친구관계,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낮은 수준이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심리문화적 적응전략과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미쳤으며, 적응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경제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North Korean defectors' economic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tatus in South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specific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the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25 North Korean defecto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conducted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as evaluated to be generally low. Second, North Korean refugees'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status is generally lower than average, especially cultural adaptation stress, friendship,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rd,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adaptation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f defectors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the adaptation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strategies which reducing adaptive stress and enhancing psychological and cultural adapta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be implemented in South Korean society. Based on results, policy alternativ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장원,김희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on their mental health and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cept. In this study th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was divided into two. One was witnessing experience of violence between their parents and another was experience of child abuse from their parents. The fifth panel (2007) for middle school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for this study. Results only on physical violence reported a percentage of 49.3% for those who witnessed physical violence between parents at least once, and 38.5% even experienced serious beating from their parents. The following are main analysis results. First, both types of domestic violence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Second, both domestic violence types negatively affected the self-concept of adolescents. Third, the adolescents' self-concep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mental health. Fourth, verification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onfirm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in both domestic violence types. The two types of domestic violence directly affected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but also gave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their self-concept.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suggestions for intervening in domestic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대인관계 기술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융합 연구: TSL 프로그램 개입을 통한 의생명과학적 효과 검증

        최장원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SJ-JSM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itigating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through convergence methods with biomedical and social scientific measur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utilizing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with volunteer intention, and 21 participa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randomly: experimental,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7 workers respectively. TSL-JSM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were implemented to experimental group, on the other hands, other employee assistant program with 12 stages was applied to comparison group. Data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TSL-JSM program was conducted with SPSS 25.0. Both social scientific and biomedical scientific measures show that TSL-JSM program has most strong effects on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llaying level of job stress by levels of increased HRV SDNN and decreased Corisol.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기술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인 TSL-JSM(Job Stress Management)의 효과를 사회과학과 의생명과학적 방법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유사실험 설계를 활용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소재 사회복지법인 산하 생활시설의 종사자 중 자발적 참여자로 구성된 실험집단 7명, 비교집단 7명, 통제집단에 7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12회기로 이루어진 TSL-JS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12회기의 시설 종사자들의 대인관계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 윌콕슨 순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대인관계 기술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보였으며 의생명과학지표인 심박변이도와 코티졸의 긍정변화가 검증되었다.

      • KCI등재

        Agrobacterium을 이용한 Trichoderma sp. KACC 40541의 형질전환

        최장원,박희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1

        Trichoderma spp. are very important as being a major source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various secreting enzymes in the field of white biotechnology. In this work,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MT) was studied using Trichoderma sp. KACC 40541 which has high activities of amylase, pectinase, cellobiohydrolase and xylanase. In principal, optimized NaOH treatment, prior to Agrobacterium infection, to the mycelium was determined to be very effective for AMT. Trichoderma spp.는 white biotechnology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이들이 강력하게 분비 생산하는 효소들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mylase, pectinase, cellobiohydrolase 및 xylanase 분비활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진 Trichoderma sp. KACC 40541균주에 대한 Agrobacterium이용 형질전환을 수행하였으며 균주개량을 위한 효율적인 유전자도입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형질전환을 위하여서는 균사체에 대한 적정 농도의 NaOH처리가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 과다사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장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3

        This study measure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overuse in the effects of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n cyber delinquency among teenager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5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10th October to 7th December, 2018. 500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teenag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net overuse. In particular, the social psychological sub-factor showed a relatively large off-site factor compared to the stressor. Second, the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Particularly, the off-site factors wer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stressors, among social psychological sub-components. Third, overuse of the Interne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factors.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deviation did not affect cyber delinquency factors although disorder of daily life and real-life classifica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Internet overuse had positive effects on cyber delinquency factors. Fourth, it was found that overuse of the Interne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nd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auses for teenagers' cyber delinquency behavior triggered by Internet overuse. Also, it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understand juvenile delinquents and prevent deviate behaviors by Internet overus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과다사용의 매개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 중심으로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10월 10일부터 12월 7일까지 5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요인은 인터넷 과다사용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심리적 하위요인 중 소외요인이 스트레스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요인은 사이버비행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히, 사회심리적 하위요인 중 소외요인이 스트레스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과다사용은 사이버 비행요인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넷 과다사용의 하위요인 중 일상생활 장애와 현실구분 장애는 사이버 비행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탈은 사이버 비행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과다사용은 사회심리적 요인과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사용 및 이로 인한 사이버 비행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청소년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인터넷 과다사용 일탈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