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측성 안면 신경마비 환자에서의 총의치 수복 증례

        최은영,이지현,최순영,Choi, Eunyoung,Lee, Ji-Hyoun,Choi, Sun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4

        벨마비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급성 말초성 안면 신경마비로 주로 편측으로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여 안면 근육의 불완전 마비, 구축 등의 후유증으로 인해 하악의 편측 변위 또는 편측 저작 습관 및 부조화가 나타나며, 따라서 만약 무치악 환자에서 총의치로 수복한다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벨마비의 후유증과 불안정한 하악 운동으로 인해 술자에 의한 중심위 채득이 어려운 무치악 환자에서 고딕아치 묘기법으로 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채득하고, 중심위와 환자의 습관적인 하악 기능 운동 범위 간의 자유도 부여를 위해 설측 교합을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함으로써 기능 및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ell's palsy is an acute-onset unilateral peripheral facial neuropathy. For patients with sequelae of facial paresis,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arches is challenging. This case report described the treatment procedures and clinical considerations to fabricate complete dentures of a patient who showed unilateral displacement of mandible, unilateral chewing pattern and parafunctional jaw movement due to sequelae of Bell's palsy. Gothic arch tracing was used to record reproducible centric relation and lingualized occlusion was performed to provide freedom to move between centric relation and the patient's habitual functional area in fabricating satisfactory dentures in terms of function and esthetics.

      • KCI등재

        로웰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에 드러난 신고전주의적 특징에 관한 연구

        최은영 ( Choi¸ Eunyo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2

        로웰 리버만(L. Liebermann, 1961- )은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곡가로 그의 작품들은 미국에서 수많은 연주자에 의해 연주되며 여러 음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버만의 작품 중 비교적 덜 알려진 <피아노 소나타 1번>을 분석함으로써 연주자들에게 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레퍼토리 확장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음악 분석을 통해 리버만 <피아노 소나타 1번>에 드러난 신고전주의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고 더 나아가 고전 시대를 대표하는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신고전주의적 작곡 성향이 드러난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와의 비교를 통해 전통적인 요소가 어떻게 수용, 발전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이 고전 시대에서 가져온 것은 모티브의 사용과 발전, 조성의 유지, 소나타라는 장르이고 이러한 틀 안에 불협화음과 신조성의 사용을 통해 신고전주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면에서는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프로코피예프의 소나타와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버만의 <피아노 소나타 1번>이 현대음악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나 연주자들의 레퍼토리로 연주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owell Liebermann is a contemporary American composer of our time, and his works are played and recorded by numerous performers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which is relatively lesser-known than his other works, and help pianists to expand their repertoire. In this study, I examined neoclassical characteristics of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through musical analysis and related literature. Furthermore, by comparing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with piano sonatas of W. A. Mozart and L. v. Beethoven, who are representative in the classical period, and sonatas of I. Stravinsky, B. Bartók, and S. Prokofiev which composed in neoclassical style, I found out how traditional elements of piano sonata adopted and developed from classical period to Liebermann’s time. As a result, the use of motive and its developmental procedure, tonal music, sonata as a genre in Liebermann’s sonata came from classical period. On the other hand, neoclassical elements such as dissonances and neotonality that are used in Liebermann’s sonata are also shown in the works of I. Stravinsky, B. Bartók, and S. Prokofiev. Based on this comprehension, I expect Liebermann’s Piano Sonata No. 1 could be played as a repertoire of students and pianists who are not familiar with modern music.

      • KCI등재

        한역 중관유식(中觀唯識) 문헌에서 드러나는 『사익범천소문경(思益梵天所問經)』의 영향 고찰

        최은영 ( Choi¸ Eunyoung ) 한국중국학회 2013 中國學報 Vol.67 No.-

        This study is inspired by the fact that, in spite of the progress of the translation and commentarial work through concrete textual analysis, the Brahmaparipṛcchā(Bp), well known to have been composed and circulated in India, has not actually gone through a thorough analysis and examination of its whole quotations. Therefore, referring to the commentarial work of Koshima Kiyotaka (五島淸隆), a matchless scholar of this scripture, in the process of its being translated into Japanese, this article purports to examine the concrete characteristic citation of the Bp in the Mādhyamika and Yogācāra texts translated into Chinese. Through the exemplary passages having received most attention in Mādhyamika and Yogācāra treatises, its influence on Indian Buddhism was probed. As a result, the non-dual perspective of the “no attainment of nirvana with no attainment of samsara”(不得生死不得涅槃) in the Bp was ascertained to have influenced on both of the Mādhyamika and Yogācāra schools. In the Yogācāra treatises, this is used as a scriptur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of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of consciousness only. This study, as a apprehension of the influence and tendency of the Bp in Indian Buddhism, becomes a basis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comparing and analysing the influ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p in the commentarial works developed in the subsequent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차량 내 방치된 유아의 열손상 사망사고 방지를 위한 승객감지기술 및 최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최은영,유민상,Choi, Eunyoung,Yu, Minsang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20 자동차안전학회지 Vol.12 No.3

        Many children have died (Heat stroke deaths) in the U.S. after being left alone in cars during hot weather, especially summer season. According to related report, more than 800 children have died of heat stroke from being trapped in a hot car since 1998. The regulation party, government has started to make not only technical regulation to prevent tragedy but also legislate to punish. However the 75% of accident has occurred unintended by their parents. So punishment is not the best solution for this case. So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rend of regulation and technology to save occupant who remained back seat. And finally we propose a countermeasure to prevent heat stroke death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 기본심리욕구,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도 클래스넷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1,133명(여자 50.8%)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회적 성취목표와 기본심리욕구, 사이버 공격성은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외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공격성은 또래지명을 통해 측정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구분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는 자율성과 유능성, 관계성으로,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 대인관계 공격성, 사이버 공격성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사회적 성취목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숙달목표는 외현적, 대인관계, 사이버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유능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공격성에,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외현적, 대인관계 사이버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유능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공격성에, 자율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achievement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ggression in primary school students. Social achievement goals consist of social development goal,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whereas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pris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ggression is classified into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or cyber aggression. This study used ClassNet data in 2019. Participants were 1,133 students (female : 50.8%)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of primary school. Social achievement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yber aggression were measured by using self-report instruments, while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were assessed by peer nomination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aggression. Social development goal had a negative effect on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with exerting influences on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competence, and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and relatedness.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with exerting impacts on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competence, and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However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did not directly impact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but i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and related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와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초등학교 시기의 친사회적 행동은 긍정적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뿐 아니라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와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나누었으며, 교사-학생 관계는 교사-학생 지지와 교사-학생 갈등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4차년도 클래스넷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1,607명(여자 50.2%)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교사-학생 관계는 또래지명을 통해 측정하였다. 교사-학생 관계는 학급 수준 변인으로 산출하였으며, 다층 분석을 통해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함께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인기와 사회적 숙달목표,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교사-학생 지지가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의한 주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사회적 숙달목표와 교사-학생 갈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교사-학생 갈등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사회적 숙달목표와 학급의 교사-학생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achievement goals are divided into social development,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s,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divided into teacher-student support and teacher-student conflict. This study used ClassNet data from the fourth year and included 1,607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 Social achievement goals were self-reported, while perceived popularity,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re transformed into class-level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opularity, social development goals,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s, and teacher-student support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Teacher-student conflic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goals and prosocial behavior.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velopment goals and teacher-student conflic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academ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OECD 주요 국가들의 빈곤율과 사회복지지출

        최은영 ( Eunyoung Choi ),홍영란 ( Youngran H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2013년 OECD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순 사회복지지출을 국가별로 비교하고, 빈곤율과 사회복지지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빈곤율 대상을 아동과 노인으로 조사하여 아동빈곤율과 노인빈곤율이 사회복지지출 정책영역에서 ‘가족’과 ‘노령’ 사회복지지출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OECD 전체 34개국의 순 사회복지지출 평균은 GDP 대비 약 21% 수준이다. 그리고 국가별 비교에서 한국, 스웨덴, 핀란드는 전체빈곤율보다 아동빈곤율이 낮아 아동복지정책이 긍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스웨덴, 핀란드는 ‘가족’ 사회복지지출도 10-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노인빈곤율은 한국이 약 50%, 멕시코가 약 27%으로 두 나라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의 빈곤율을 보였다. 이러한 빈곤해결방안으로 국가 전체적인 사회복지지출 규모를 키워 정책영역별 복지수준이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net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countr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rate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using the OECD national statistical data in 2013. Specifically, we surveyed the poverty rate among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verty rate of the child and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policy with ‘family’ and ‘old age’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e average net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34 OECD countries is about 21% of GDP. In comparison of countries, Korea, Sweden, and Finl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 welfare policies because the child poverty rate is lower than the overall poverty rate. In Korea, Sweden and Finland, ‘family’ social welfare spending is maintained at 10-15%. On the other hand,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is about 50% in Korea and 27% in Mexico. The poverty rate of the two countries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order to solve such pover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the whole country and expand welfare level by policy area.

      • KCI등재

        고령자 가구소득과 노동 및 가구소비에 관한 연구

        최은영 ( Choi Eunyo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이용하여, 고령자 가구자산 및 가구소득과 노동이 고령자 가구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완전회귀모형(Fully Recursive Model)의 구조방정식 형태로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령자 가구자산과 가구소득은 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가구 자산수준은 가구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구 자산수준은 고령자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키지만, 가구 소득수준은 고령자 경제활동참여를 유도한다. 셋째, 고령자 가구 자산 및 소득수준은 가구 소비수준에 영향을 미치지만, 고령자 경제활동참여가 가구 소비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고령자 가구의 재정적인 요인과 노동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인구고령화 정책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s of elderly households` assets, household income and labor on elderly households` consumption by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the analysis method, we used OLS(Ordinary Least Squares) to ver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form of a structural equation of Fully Recursive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households` assets and household income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household assets affects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Second, the level of household assets reduces the incentives for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ut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attract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ird, the level of household assets and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affects the level of household consumption but the direct effect of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on household consumption was not show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pulation aging policy considering the financial factors and labor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lderly households is required.

      • 임금근로자의 가계자산과 소득이 은퇴시기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 Choi Eunyoung ),주소현 ( Joo So-hyu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한국사회보장학회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를 이용하여, 임금근로 은퇴자를 대상으로 가계자산 및 소득이 은퇴시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토빗모형(Tobit)으로 선형회귀모형에서 효율성이 높은 추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임금근로 은퇴자는 은퇴 당해연도 가계총자산 및 가계순자산이 많을수록 은퇴시기 빨라지나, 그 정도는 미미하다. 둘째, 임금근로 은퇴자의 은퇴 전년도 가구총소득이 많을 수록, 직전 일자리에서의 임금이 높아질수록 은퇴시기는 2년 정도 앞당겨진다. 셋째, 임금근로 은퇴자의 은퇴시기에는 가계자산의 효과보다 직전 일자리에서의 임금의 효과가 더 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임금근로 은퇴자 가구의 재정적인 요인을 고려한 고령자 노동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노동수요적 측면에서 고령자 기업환경 개선, 고령자 임금보조, 정년연장 등의 정책적 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id workers' household assets and incomes on their age of retirement by using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by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analysis method is Tobit model, which is an estimation method with high effectiveness in linear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tirees of paid workers retire earlier as they have more total household assets in retiring year and more net household assets, but the degree is slight. Second, as they had more household total incomes in the previous year, and as they made more wages at the previous jobs, their retirement age is reduced by around 2 years. Third, the wages at the previous job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age of retirement than the household asse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working environment for seniors with their household finance considered, and policy plans such as improvement of senior corporation environment, senior wage subsidy and extension of retirement age are required in the perspective of labor demand.

      • KCI등재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교참여의 매개효과와 학교급 차이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지위, 학교참여,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와 같은 관계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래지위는 선호와 인기로, 학교참여는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로 나누어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학교급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클래스넷 3차 년도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054명, 중학교 1~3학년 학생 697명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또래지위, 학교참여,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교급에 따른 구조모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참여는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의 관계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호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를 완전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는 학교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의 경우 인기가 학교참여를 매개하지 않고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인기가 행동적 참여를 완전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preference, popularity), school engagement(behavioral and emotional),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 followed by school-level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third year of ClassNet. It included 1,054 students from grades 4 to 6 in 47 elementary schools; and 697 students from grades 1 to 3 in 30 middle schools. Peer status was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method,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chool engage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er status, school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s followed by the school lev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lationship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er status and school levels. Preference had no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both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On the contrary, the popula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popula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behavioral engagement. Using multi-group analysis, this research integrated structural and developmental aspec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contribut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ocial context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