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번역 투의 기능과 의미 고찰 ― 글쓰기 논저에서의 번역 투 검토를 중심으로 ―

        최유숙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3 No.-

        이 글에서는 글쓰기 논저에서의 번역 투 논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수정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 투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대학 글쓰기 관련하여 논문과 글쓰기 교재, 교양서 등을 살펴 빈번하게 논의되어온 번역 투를 찾아보았다. 대학 글쓰기 관련 연구논문은 대학생 글쓰기 사례를 통해 번역 투의 실제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글쓰기 교재는 번역 투를 심도 있게 다루기보다는 간단히 언급하는 수준이었고, 글쓰기 대중 교양서가 더 자주 번역 투를 다루고 있었다. 이어 번역 투 제시 양상을 6개 항목으로 나누어 수정 사례를 살펴보았다. 가장 빈번히 논의된 이중피동을 시작으로 피동과 사동, 영어 전치사, 일본어 조사와 후치사, 영어 시제 등의 번역 투와 수정 사례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적어도 글쓰기 교육에서라면 일본어나 영어 기원 등 그 기원을 문제로 하여 번역 투를 문제시하기보다는 번역 투가 가진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각각의 번역 투가 갖는 기능과 의미는 한국어학의 논의를 빌려 거칠게나마 설명이 가능한바 이러한 설명을 토대로 글쓰기 교육에서도 글의 맥락과 장르에 따라 번역 투에 대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漢字語와 固有語 形態素의 結合 樣相 考察 1 : 1956, 2005년 語彙 頻度調査를 對象으로

        崔遺淑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49 No.-

        This study recognizes the hybrid word formation of Korean and Sino-Korean as the lexicalization of Sino-Korean into the Korean vocabulary and aims to reveal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aspects of the process. When studies conducted before mainly focused on the internal workings of Sino-Korea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rnal relationships of Sino-Korean and non-Sino-Korean words, the primary method of the lexicalization process. The studies conducted before were based upon Sino-Korean words that were selected upon the researcher's intuition, or either straight from headwords. However, this paper is more realistic since it is based upon an investigation of frequently used word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wo investigations conducted on the frequency of Sino-Korean words that were half a century apart, this research was also able to show the actual modality of the usage of Sino-Korean. However the fact that this paper was not able to compare between the combination between only Native Korean words to the prior combination remains a pity.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한국어 어문규범 인식 양상: 한글맞춤법 강의 사례를 대상으로

        최유숙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3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norms among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who do not speak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and proposes a reformulation of Korean orthography lectures as a liberal arts course.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attended the lecture were able to go beyond a basic understanding of linguistic norms.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d difficult or highly interesting topics related to spelling, such as the first sound initial law, saishiot, and abbrevi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lectures on orthograph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comprehensive liberal arts courses with a focus on Korean language culture that go beyond a simple language course. Therefore, students must be taught not only how to examine and critically understand Korean orthography, but also to use digital tools such as spelling checkers and generative AI. The content of orthography lectures must be systemized in this direction. 본고는 학부 유학생 대상의 한국어 어문규범 강의 사례를 통해 한글맞춤법 인식 양상을 살펴보고, 교양강좌로서의 한국어 어문규범 강의의 지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강의를 수강한 유학생들은 어문규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넘어 심화, 비판적 이해가 모두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맞춤법 강의 내용 중 유학생에게 어렵거나 관심이 큰 항목도 알 수 있었던바 이는 두음법칙, 사이시옷, 준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해와 인식 양상에 근거하여 맞춤법을 내용으로 하는 강의가 단지 맞춤법에 맞도록 쓰는 것에서 나아가 한국어 언어문화를 기반으로 한 종합 교양강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 보았다. 따라서 맞춤법을 원리적으로 탐구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되, 맞춤법 검사기나 생성 AI 등의 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까지 교수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방향에 맞도록 교육 내용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남북한 외래어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최유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6

        This study on the integration of colloquial loan words between the two Koreas examines the differences in loan words by sorting them by notational differences, influx paths, and trimming. It is shown that the differences in loan words between the two Koreas was not too great so that it would hinder everyday conversation. Accordingly, the integration of loan words between the two Koreas should be directed toward increasing diversity rather than integr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rich and elaborate database of loan words between the two Koreas,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ical context, and also including a common writing standard to prepare for unification. It is also argued that in developing a common writing standard, the concerns raised on the current process of notation of must be prioritized.

      • KCI등재

        혼종 신어 외래요소의 한국어 형태소화

        최유숙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8 No.-

        이 연구는 1994년부터 2018년까지 19개년간의 국립국어원 신어자료집에서 발견된 혼종 신어의 외래요소 중 비자립적 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들 외 래요소가 혼종 신어를 형성함으로써 한국어 형태소화하는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비자립적 외래요소는 어근화하는 요소와 접사화하는 요소로 나 누어 살펴보았다. 어근화하는 외래요소는 약어나 혼성어를 형성하는 절단형 외래요소의 전형식 혹은 후형식이며, 이들 외래요소가 혼종어를 형성하는 비 율이 높을수록 한국어 형태소화 정도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템’, ‛덕-’, 등은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외래요소이다. 접사화하는 외래요소로는 외래의 접 사가 한국어 접사화한 ‘-러’, ‘-쿠스’ 등과 외래의 비접사가 유사접사화한 ‘-맨’, ‘-걸’ 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혼종 신어를 형성하는 외래요소는 비혼종 신어의 그것에 비해 한국어 형태소화 정도가 높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혼종이라는 방식은 외래요소의 한국어 형태소화에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 다고 보았다. This study analyzes foreign elements with a focus on the dependent forms of hybrid neologisms colle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from 1994 to 2013, focusing on bound forms. It comprehensively explicates the modes by which these foreign elements are used to create hybrid neologisms and become nativized. Dependent foreign elem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root-forming elements and affixes. Root-forming elements generally comprise prepositive and postpositive elements of acronyms and hybrid words, and their productivity in hybrid word formation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they have been nativized. ‛-템’, ‛덕-’ are representative of this category. Affixes like ‛-러’, ‛-쿠스’(foreign affixes that have been largely nativized) and ‛맨’, ‛걸’(foreign non-affixes that have become affix-like) were also examined. It is shown that the foreign elements of hybrid neologisms were nativized more readily than native elements, and it thus follows that hybrids are a significant mode through which foreign elements become nativized.

      • KCI등재후보

        학대피해노인전용쉼터 퇴소 후 노인공동생활가정 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최유숙,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3 복지논총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회복 과정 속 경험과 효과적인 지원내용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카리타스학적 관점에서 식별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인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 거주인 및 거주 경험자 5명과 심층 면담을 하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의 생활 경험과 공통적 속성으로 막막함에서 안도를 찾음’, ‘안정과 존중을 체험함’, ‘회복과 안정으로 새 삶의 첫걸음을 뗌’, ‘자립을 함께 준비함’, ‘(퇴소 후) 새 세상을 체험함’, ‘친정 같은 곳이 필요함’의 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카리타스학적 관점에서 식별해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의 실천이 학대피해 노인의 기본권 보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고, 존중을 통해 전인적 회복과 안정을 추구했으며, ‘거저 줌’의 원칙에 따라 자립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가톨릭 사회교리와 카리타스 실천의 목적에 부합함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개인 사정을 감안한 유연한 거주기간, 공동가치를 추구하는 관계 기관의 일관성 있고 집중적인 지원, ‘거저 줌’과 ‘생명과 사랑의 공동체’를 체감할 수 있는 ‘친정’과 같은 공동체 형성, 이용인의 자부담 최소화를 제안했다. 약자 가운데 약자인 학대피해 노인을 위한 도움을 적시에, 그들에게 결핍된 인간애를 체감할 수 있게, 개인별 욕구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하기 위해 인간애 전달을 추구하는 카리타스 관계망의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periences and effective support provided during the physical and mental recovery process of abused elderly people living in communal living homes, identify its meaning from a caritas perspective,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residents and experienced residents of ‘Caritas Senior Citizens’ Community Living Home’, a communal living home for elderly victims of abuse, and these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inding relief from despair through common attributes and living experiences of elderly victims of abuse in group living homes’, ‘Experiencing stability and respect’, ‘Taking the first step into a new life with recovery and stability’, ‘Preparing for independence together’, Six 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Experiencing a new world (after discharge)’ and ‘Needing a place like my parents’ ho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identified from a Caritas perspective, and the practice of Caritas senior living homes actively intervened to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elderly victims of abuse, pursued holistic recovery and stability through respect, and achieved self-reli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iving freely'. It was confirmed that it conforms to the purpose of Catholic social teaching and Caritas practice in that it was aimed at . Based on this, a flexible residence period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circumstances, consistent and intensive support from related parties pursuing common values, and the formation and use of a community like a 'parent' where you can experience 'free giving' and a 'community of life and love'. It was proposed to minimize people's out-of-pocket expenses. The active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aritas network that pursues the delivery of humanity is requested in order to provide timely help to the weak among the weak, the elderly who have been victims of abuse, so that they can experience the humanity they lack, and flexibly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and situations. do.

      • KCI등재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최유숙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글은 Sway:Unravelling Unconscious Bias의 번역서 인 『편견의 이유』(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2022)를 한국의 리터 러시 연구자들에게 소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명시적 편향’과 ‘암묵적 편향’을 구별하고, 이 책이 주로 ‘암묵적 편향’을 주로 다룬 이유를 밝혔으며, 이후 구체적인 사례들로써 이러한 편향이 왜 생기는 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 지, 왜 문제가 되는 지 등을 보였다. 편향이 내면화되는 이유, 양상과 더불어 현대 기술에서의 편향까지,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편향의 거의 모든 측면을 다룬 것이다. 저자가 말한 바와 같이 “편견에서 벗어날 유일한 방법은 편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뿐”이므로 이 글은 저자가 밝혀낸 편견의 근원과 양상을 충실히 보이는 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이 책은 영국에 사는 저자의 삶을 배경으로 하므로 유사한 한국 사례나 도서 등도 소개함으로써 한국 사회 편견의 양상도 함께 풀어 보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Reasons of Prejudice (Pragya Agarwal, translated by Lee Jae-kyung, 2022), a translation of Sway: Unraveling Unconscious Bias, to Korean literacy researchers. To this end, the concepts of ‘explicit bias’ and ‘implicit bias’ are distinguished, and the reason why this book mainly deals with with the latter is explained. Furthermore, why this bias occurs, how it is manifested, and why it is problematic are illustrated with specific examples. The book covers almost every aspect of the bias we experience, including why and how bias is internalized, as well as bias in modern technology. As “the only way to escape from prejudice i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t,” according to the author, this article aims to faithfully relate the causes and manifestations of prejudice identified by the author. In addition, since this book draws upon the experiences of an author who resides in England, I adduced similar Korean cases and books to explain the aspects of prejudice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