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빛나는 통합과 초라한 개인: 개인 기반의 최소주의 규범론을 위한 시론

        최우영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4

        ‘Integration’ and ‘solidarity’ may b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words in sociology. The popular spread of certain terms is clearly the result of 'the social' and therefore social gains in integration are rarely seen as fortuitous. In this article, I note the existence of 'norms' behind this phenomenon and its social forces. Therefore, I would like to critically examine the demand of integration imposed like a categorical imperatives, 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oppression on its roots and the tragic situation of individuals suffering from it. The scent of community or brotherhood penetrates all of classical sociology, including Marx and Durkheim. Durkheim's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Marx's brotherhood were no different indeed, and were an important source of collective normality in the nature of sociology. The norm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criticism of the reality unique to sociology, as well as the parent of sociological vision. But if this normative force is locked in the meaningful world of normality itself or absoluteizes the world, it can be called a knife to oppression and violence. And at the end of the knife, there must be a repressed ‘personal’. Nevertheless, individual existence in both social studies and daily life has tended to be treated as an abstraction, or a dependent variable, which has been subjugated to the group. It seems that we need to learn about individuals now. As much as we see individuals from society, we need to start from individuals and understand them. This is not only the self-director of the self-styled individual but also a methodological shift in perspective. To do so, the first thing that needs to be done is to remove the tents of groups and norms and face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honestly. Of cours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ace the basic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especially the underlying tension with others. ‘통합’과 ‘결속’은 사회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어휘들 중 하나일 것이다. 특정 용어의 대중적 확산은 명백히 ‘사회적인 것(the social)’의 결과이며, 따라서 통합의 사회적 득세는 우연한 일로만 보기 어렵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러한 현상의 배후에 자리한 ‘규범’의 존재와 그 사회학적힘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정언명령(Categorical Imperative)처럼 부과되는 통합의 외침들, 특히 그 근원에 드리워진 존재론적 억압의 구조와 그로부터 고통받는 개인의 비극 상황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공동체 혹은 형제애의 향수는 마르크스, 뒤르케임 등 고전사회학 전반을 관통하고 있다. 뒤르케임의 집합의식과 마르크스의 형제애는 기실 다른 것이 아니었고, 결과적으로 사회학의 성격에 집합적 규범성을 각인시킨 중요한 원천이었다. 이 규범성은 사회학 특유의 현실 비판의 동력이면서 동시에 사회학적 비전의 모태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규범적 힘이규범 그 자체의 의미세계에 갇혀 있거나 그 의미세계를 절대화할 경우, 그것은 오히려 억압과 폭력의 칼로 전화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칼끝에는반드시 억눌린 ‘개인’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학과 일상 양면에서 개인 존재는 지금껏 하나의 추상으로, 혹은 집단에 복속된 종속변수 정도로 취급되어 온 경향이 다분하다. 이제는 개인에 대한 인간학이 절실해 보인다. 사회로부터 개인을 보는 만큼, 거꾸로 개인에서 출발하여 사회를 이해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은폐된 개인의 피억압을 드러내는 주체의 자기 주장인 동시에 학문적으로 보면 방법론적 시각의 전환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집단과 규범의 장막을 걷어내고 개인의 존재와 정직하게 대면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원초적 존재 조건, 특히타자와의 근원적 긴장 관계를 분명하게 직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일본 우주개발 정책의 변화

        최우영,최준민,김종범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1955년 이래 본격적으로 추진된 일본의 우주개발은 약 60년의 역사를 거쳐 현재 세계 4~5위권의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였다. 초기의 자주개발 노력은 기술적 한계와 정치적 상황에 의해 미국의 액체로켓 및 위성 기술의 도입으로 이어졌고, 이후 도입 기술의 소화와 개선을 위한 노력은 catch-up 전략이라는 이름 아래 일본의 우주개발 역량을 착실히 향상시켜 선진국 진입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국내외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한계점을 노출하였고, 현재 일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사령탑의 설립 하에서 우주정책의 일원화로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발전단계 별로 필요한 우주정책의 모습과 개선을 위한 노력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할 것이다. Japan, who has conducted space development since 1955 in earnest, has succeeded in reaching at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which is ranked at 4~5th in the world in terms of space development ability. Self-reliance effort of Japan to develop R&D ability at the beginning stage encountered the limits of technology and political circumstances so that Japan changed the strategy to import American liquid-propellant rocket and satellite’s technologies. In other words, Japan took “catch up” strategy to “adopt” advanced technologies. This strategy made Japan become a developed country in the space R&D field, but gave her institutional problems at last. Now, Japan is trying to remedy this problem by establishing one strong control tower to deploy consistent space policy. In this light,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effort to adopt proper strategies in each development stage may give us valuable implications.

      • 일본 우주개발의 안보 강화에 대한 고찰

        최우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4

        1955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우주개발은 오랜 기간 평화적 목적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안보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의 우주개발 정책이 펼쳐졌으며, 특히 최근에는 우주기본법, 우주개발전략본부의 수립에 이어 우주기본계획이 모두 우주개발성과의 안보적 측면 이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동향에 대하여 본고는 우주개발의 안보적 측면 강조가 2000년대에 들어 돌연 강조된 것이 아니라, 오래 기간 준비되어 왔음을 주장하고 있다. 비록 정치적 상황에 의해 안보적 이용이 최근 강조되는 것으로 보여 지는 일본의 우주정책이 사실은 장기간에 걸쳐 그러한 정책적 선택이 가능하도록 추진되어 왔음을 분석하고자 한다. Japanese space develop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pursued under peaceful purpose from its start. But, recently the trend of japanese space policy has changed to emphasize on practical use of space development achievements for the security. Especially, Aerospace Basic Act, Space Development Strategy Group, Basic Space Plan are emphasizing the security. About this trend, this paper claims that the intention of use of space development for the security started from its beginning, not from 2000s. Even though it looks that the trend has come recently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paper claims Japanese space policy has pursued for long time to make the emphasis on national security possible.

      • KCI등재

        Design and scaling of nano-electro-mechanical non-volatile memory (NEMory) cells

        최우영 한국물리학회 2010 Current Applied Physics Vol.10 No.1

        Design and scaling of the NEMory cell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analytical simulation using a simple parallel-plate approximation, scaling guideline is derived in terms of pull-in, release voltage, pull-in time and release time. It has been proved that beam length is the most dominant factor which increases operating voltage with scaling-down. Beam and air gap thickness also need to be scaled down in order to lower operating voltage while improving operating speed.

      • KCI등재

        A new method for stable numerical differentiation

        최우영 한국물리학회 2009 Current Applied Physics Vol.9 No.6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algorithm for stable numerical differentiation by optimizing node intervals. With the algorithm, noise-free differentiated values can be extracted within one-percent error. By overcoming noise problem due to numerical differentiation process, our algorithm can easily extract the differentiated values. Also, it can be extended to high order differentiation. To confirm the proposed algorithm, we applied it to the analysis of MOSFET electrical characteristics. It will provide us with a useful analysis tool in the field of parameter extraction from numerical data such as device character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algorithm for stable numerical differentiation by optimizing node intervals. With the algorithm, noise-free differentiated values can be extracted within one-percent error. By overcoming noise problem due to numerical differentiation process, our algorithm can easily extract the differentiated values. Also, it can be extended to high order differentiation. To confirm the proposed algorithm, we applied it to the analysis of MOSFET electrical characteristics. It will provide us with a useful analysis tool in the field of parameter extraction from numerical data such as device characterization.

      • KCI등재

        High-Efficiency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Grid-Connected Photovoltaic Modules

        최우영,최재연 전력전자학회 2011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11 No.4

        This paper presents a high-efficiency 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for grid-connected photovoltaic (PV) modules. The proposed PCS consists of a step-up DC-DC converter and a single-phase DC-AC inverter for the grid-connected PV modules. A soft-switching step-up DC-DC converter is proposed to generate a high DC-link voltage from the low PV module voltage with a high-efficiency. A DC-link voltage controller is presented for constant DC-link voltage regulation. A half-bridge inverter is used for the single-phase DC-AC inverter for grid connection. A grid current controller is suggested to supply PV electrical power to the power grid with a unity power factor. Experimental results are obtained from a 180 W grid-connected PV module system using the proposed PCS. The proposed PCS achieves a high power efficiency of 93.0 % with an unity power factor for a 60 Hz / 120 Vrms AC power gr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