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영수의 귀향의식에 나타난 ‘살림’의 실천적 의미

        최옥선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This study traces the fundamental origins of the home-coming ritual, which Oh Yeong-su pursued, through tracing his footprint in life, and elucidate the practical meaning of salim that shows in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mainstay of the home-coming ritual. As the first of the research methods to the purpose, the study discovers the meaning of the natural settings which background the author’s novels and then analyzes the meaning of the home-coming ritual that is manifested through practicing salim by connecting it to the Donghak ideas of sainyeocheon (事人如天; serve humans like heaven) and gyeongmul (敬物; respect things). The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consists in the vitality experienced in the natural world with which he identified in his childhood, his skepticism about living in the urban civilization, and the circularity found in the symbiotic life which he enjoys after he returns to his hometown. Second, the characters in his fiction who have returned to nature have recovered their original humanity in daily life. Overcoming conflicts and alienation, they lay great store on nature and humans and lead a life in harmony. This is fulfilled through practicing the Donghak principle of mosim and salim which are embedded in the home-coming ritual.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se results. First,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led to the return to the archetypal nature with lyricism serving as its axis. Second, the home-coming ritual is rendered in his works as building a community in the natural settings by putting into action mosim and salim. This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criticism on the modern-day civilization which rushes toward dehumanization and the utopia as an antidote. Therefore, the home-coming ritual that Oh Yeong-su sought has led to the practicing of salim with a view to restoring vitality with lyricism operating in the foundation. This confirms that the Donghak principle of mosim is connected with the spirit of salim as described in sainyeocheon that leads to the daily practice. Thus, the practical meaning of salim, which is embedded in Oh Yeong-su’s homecoming ritual, can be a practical healing remedy that is necessary for modernday people as restoring the original vitality in opposition of loss of humanity and alienation. 이 연구에서는 오영수의 삶의 궤적을 통해 그가 추구했던 귀향의식의 근원적 발생의 요인을 살펴보고, 귀향의식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들에 나타난 ‘살림’의 실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오영수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자연적 공간의 의미를 찾고, 귀향의식이 ‘살림’의 실천으로 나타난 의미를 동학의 사인여천(事人如天)과 경물(敬物)사상으로 연관지어 분석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오영수의 귀향의식은 어린 시절에 동일화된 자연적 세계에서의 생명력, 성장 후 도시에서의 문명적 삶에 대한 회의 그리고 고향으로의 회귀 후 공생적 삶의 순환성이다. 둘째, 자연으로 돌아온 작중 인물들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여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갈등과 소외를 넘어서 자연과 인간을 귀하게 여기고 조화된 삶을 살아간다. 이것은 귀향의식속에 내재된 동학의 ‘모심’의 원리와 ‘살림’의 실천적 삶을 통해 이루진 것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오영수의 귀향의식은 서정성이 축이 되어 원형적 자연으로의 회귀로 이어졌다. 둘째, 이 귀향의식은 작품을 통해 자연의 터전에서‘모심’과 ‘살림’의 실천으로써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으로 나타냈다. 이는 비인간화로 치닫는 문명사회에 대한 비판과 이상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오영수가 지향했던 귀향의식은 서정성이 바탕이 되어, 생명력 회복을 위한 ‘살림’의 실천으로 이어졌다. 이는 동학의 ‘모심’의 원리가일상화로 이어진 사인여천의 '살림'의 정신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오영수의 귀향의식에 내재된 ‘살림’의 실천적 의미는 인간성 상실과 소외에 대한 근원적 생명력 회복으로서 현대인에게 필요한 치유의 실천적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김지하 시에 나타난 생명사상과 글쓰기 방식 - 『애린』을 중심으로

        최옥선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0

        김지하의 시집 『애린』은 동학사상에서 깨달음을 얻어 생명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 과정에서 쓰인 연작시다. 이 연구에서는 시집 『애린』1,2에 나타난 민중의 '한'과 '한'의 극복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나타나는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동학사상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그의 생명사상이 역설적 사유로서 나타난 글쓰기의 형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영성 회복을 위한 과정으로 '애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민중의 '한'을 수용하고 내재화하는 과정과 '한'의 극복을 위한 삭임 과정을 동학사상의 시천주(侍天主)와 이천식천(以天食天)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셋째, 생명사상이 역설적 사유와 곡선적 서정 양식으로 나타난 특징을 불연기연(不然其然)과 연관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애린』은 민중들의 쌓인 한을 쓰다듬고 극복하기 위해 찾아나서는 역정의 노래이며, ‘애린’은 근원적 생명으로서의 민중이 된다. 둘째, 애린은 무소부재(無所不在)하며, 민중의 '한'은 내면의 어둠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자아로서 새로운 생성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한'은 유기적 생명을 인식하고 포용하면서, 삭임으로써 새로운 생명의 순환 원리를 따라 극복될 수 있다. 셋째, 생명사상이 가진 역설적 사유는 모순의 이중적 세계에서 활동하는 '무(無)'로서 유(有)를 창조하는 곡선적 순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 등으로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애린'은 근원적 생명으로서의 포괄적 의미를 지니며, 민중의 '한'으로 풀이될 수 있었다. 둘째, 대립적 맞섬으로 이분화된 민중의 한은 수용되고 내재화됨으로써 시천주의 우주공동체로서의 통일된 관계로 확장되었다. 또한 한의 삭임은 이천식천의 원리로써 생명이 순환과 공생을 통해 창조적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었다. 셋째, 생명사상의 역설적 사유는 불연기연의 원리가 작동되어 숨어 있는 세계를 드러냄으로써 틈을 만들고, 생명을 생성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김지하의 시집 『애린』에 나타난 생명사상은 민중의 한을 극복하고, 영성을 회복하기 위한 혁신의 출발 단계로서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Chi-Ha Kim's anthology <Aerin> is a serial poetry written in the process of exploring life after being enlightened by Donghak thought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sorrow" of the people and overcoming process of sorrow appearing in <Aerin 1, 2>,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Ha Kim's idea of life and Donghak thoughts. Also, the study examines the writing pattern as his idea of life appearing in paradoxical ground. As for the study method, the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of "Aerin" in the process of spiritual recovery, and second, associated "Shichunju" and "Yichunsikchun" concept from Donghak thought to the swallowing process for overcoming "sorrow" and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internalizing "sorrow" of the people. Third, the study related "Bulyeonkiyeon" with idea of life which appears in paradoxical ground and curvilineal lyric form.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first, "Aerin" is a song of journey seeking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sorrow of the people. Second, "Aerin" is an omnipresent concept, and the "sorrow" of people is a organically connected ego which prepares for new creation in the darkness. Also, the "sorrow" can be overcome by embracing and understanding organic life, and swallowing to follow the circulation principle of new life. Third, the paradoxical ground in idea of life has the curvilineal circulation which creates "something" from "nothing" in duplex world of contradiction. In conclusion, first, the "Aerin" has inclusive definition as the fundamental life, and can be interpreted as "sorrow" of the people. Second, the sorrow divided by oppositive confrontation are accepted and internalized and expanded to the united relationship as cosmopolitan community of Shichun thoughts. Also, as the principle of Yichunsikchun, the swallowing of sorrow was converted into creative energy through circulation and coexistence of life. Third, the paradoxical ground of idea of life is operated by the principle of Bulyeongiyeon to make the hidden world appear, make crack and create life. Therefore, the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dea of life in anthology <Aerin> written by Chi-Ha Kim as the beginning step of overcoming the sorrow of the people and revolution for the recovery of spirit.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과 동학사상

        최옥선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orientation towards oneness (union) reflected in “Love’s silence (Nimui Chimmuk)” of Han Yong-un by associating it with Donghak thought. As for the research methods, firstly, they are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osim” & principle of equality of Donghak and the poem “Love’s silence.” Secondly, they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Salim” & recovery of life” and the poem “Love’s silence.” With this, it is possible to clarify that orientation towards oneness observed in “Love’s silence” is closely related to Donghak thoughts.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Love’s silence (Nimui Chimmuk)” expects that “I” should recognize the tragic reality where “my beloved one” is absent and the equality of relationship as a way to self-discipline based on “Mosim” should be recovered. Secondly, it wishes that “I” look forward to meeting “my beloved one” and aim at the recovery of fundamental life as a practical “way” based on “Salim.” The research results show: Firstly, the way to self-discipline for recovery of equality of “me” and “my beloved one” reflected in “Love’s silence (Nimui Chimmuk)” has a correlation with “Moshim” and principle of equality of all creatures observed in “Sicheon ideology” or “Heart of Heaven” of Donghak. Secondly, the practical act for recovery of life reflected in “Love’s silence “ is highly related to “Salim” which is the practical ethics of Donghak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ng people like the Heaven.” In this regard, orientation towards oneness shown in “Love’s silence” is considered a universal love for humanity beyond nationalism and a practical song wishing for recovery of equality of all creatures and restoration of fundamental life. 이 연구의 목적은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을 동학사상과 관련지어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님의 침묵』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학의 ‘모심’ 과 평등사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또 동학의 ‘살림’과 생명성 회복과의 연관성도 분석한다. 이로써『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과 동학사상과의연관성을 밝혀낼 수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님의 침묵』의 ‘나’는 ‘님’이 부재한 비극적 현실을 인식하고, ‘모심’이라는 수양의 도(道)로써 관계의 평등성이 회복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나’는 ‘님’과의 만남을 고대하며 ‘살림’이라는 실천적도(道)로써 근원적 생명성이 회복되기를 지향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님의 침묵』에 나타난 평등성 회복을 위한 수양적 도(道) 는 시천주의 ‘모심’과 만물 평등사상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님의 침묵』에 나타난 생명성 회복을 위한 실천적 행위는 동학의 실천적 윤리인 사인여천의 ‘살림’ 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합일지향성은 민족주의를 넘어선 보편적 인류애로서, 만물 평등 회복과근원적 생명성 회복에 대한 수양과 실천의 노래였다. *

      • KCI등재후보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최옥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글쓰기 교육에 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를 활용하여 글을 쓰는 것은 세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발견으로서 창의적 사유를 낳는 방법이다.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의미의 체계화 방안과 사고의 유연성이다. 시를 활용한 스무고개는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면서 흥미롭게 놀이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질문을 만드는 과정은 유연한 사고와 의미의 체계화를 이룰 수 있다. 두 번째는, 대상의 의인화와 소통의 언어 방안이다. 이 방안은 나와 의인화된 대상과의 질의문답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은유는 나와 대상을 일치시키면서 세계와의 소통을 꾀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비유의 언어로 실용적 글쓰기 방안이다. 비유를 사용한 소개하는 글은 자신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고, 독자가 글쓴이의 개성과 느낌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은 유연한 사고력과 의미의 체계화, 세계와의 소통, 현실에서의 실용적인 글쓰기 적용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 해소와 흥미로움, 세계를 새롭게 발견하는 창의력 신장 등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education plans for poetry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o practice writing based on poetry is not only a new discovery of interpreting the world for the students, but also a way of building their creative thinking. The education plans for creative writing based on poetry are as follows: Firstly, it deals with a plan in terms of flexibility of thinking and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Twenty questions game based on poetry is an effective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develop diverse viewpoints and to promote entertainment as well. The process of question elaboration can lead students to flexible thinking and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Secondly, the plan aims at personification of objects as well as a language of communication. This plan deals with the Question and Answer method proceeded between a student and the personified object. Metaphor allows the student not only to identify him or herself with the object, but also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irdly, the plan is about introducing oneself based on the language of analogy. Writings of self-introduction based on analogy allows the writer to express oneself in a concrete image, and it also helps the readers to remember the personality and impression of the writer for longer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education plans for creative writing based on poetry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tudents' flexible thinking,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nd further practical writing application outside the classroom. Furthermore, through these new plans, some additional effects can be brought, such as interest increase in writing, fear dissolution of writing and creativity improvement.

      • KCI등재

        『님의 침묵』에 나타난 동학의 실천적 개혁 사상과 역설적 글쓰기

        최옥선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reformation ideology from 『Your Silence』 poetical work of Han young un and Donghak ideology. First, by focusing on poetical work of 『Your Silence』,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of practical reform for modernization and the idea of practical reform of Donghak that was active in the contemporary period. As a method for this study, first, we will discuss Donghak’s 'Gak-ji-bul-ei' ideology with will of reformation for freedom and subjectivity. Second, we will discuss the practice the will to overcome the tragic reality with the concept of 'Tenchi–seok'. Third, We discuss the circularity and paradoxical writing toward iden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idea of 'Bull-yeon-gi-ye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first, The practical reform will for modernization and the 'Gak-ji-bul-ei' is to adjust national subjectivity and emphasize subjectivity for sincere freedom. Second, practical will is necessary to transcend reality and realizing practical situ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overcome racial tragic reality. Also, the will of heaven, thus generosity makes to realize reality and it is new world which can realize embraced life’s limitation. Third, In order to equalize the identity of 'you' and 'I', we can overcome the separate phenomenon of extinction and realize that the origin of things, as the paradox of circulation and 'Bull-yeon-gi-yeon'. The result of study shows, First, to have sincere freedom and subjectivity as a sincere practical reformation will'Gak-ji-bul-ei'. This is demanded by modern period. Second,Practical will to overcome the tragic reality can go beyond the negative realities of will of heaven, thus generosity. Third,paradoxical writing in order to recover circulation and identification can verify 'you' and 'I' are identical thing. So, practical reformation ideology from 『Your Silence』is correlate with Donghak’s practical reformation ideology. paradoxial expression is appropriate writing method to understand identification and to recover. 이 연구의 목적은 만해 한용운의 시집 『님의 침묵』에 나타난 실천적 개혁사상을 동학사상과 연관해 규명하는 것이다. 먼저 시집 『님의 침묵』의 시편들을 중심으로 만해의 근대화에 대한 실천적 개혁 의지와 동시대적으로 활동했던 동학의 실천적 개혁사상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자유와 주체성을 위한 개혁 의지를 동학의 ‘각지불이’ 사상으로 논의하고, 둘째, 비극적 현실 극복을 위한 실천 의지를 동학의 ‘천심즉인심’이라는 사상과 연관해 논의한다. 셋째, 동일화를 향한 역설적 글쓰기의 방식은 ‘불연기연’ 사상과 연관해 논의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근대화를 위한 실천적 개혁의지와 동학의 ‘각지불이’는 민족의 주체적 중심을 바로 잡기 위한 것으로 진정한 자유를 위한 것이다. 둘째, 민족이 처한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존적 상황을 자각하고, 현실을 뛰어넘을 수 있는 실천적 의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의지는 현실을 깨닫고, 수용하는 삶의 한계에서 깨달을 수 있는 ‘천심즉인심’의 새로운 세계를 향한 것이다. 셋째, ‘님’과 ‘나’의 동일화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소멸에 대한 분리된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이는 ‘불연기연’의 역설로써 사물의 근원이 하나의 이치로 이루어져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한 실천적 개혁 의지는 ‘각지불이’로써 진정한 자유와 주체성을 가지는 것이다. 둘째, 비극적 현실 극복을 위한 실천 의지는 부정적 현실을 뛰어넘어 ‘천심즉인심’의 새로운 경지로 나아가는 것이다. 셋째, 순환성과 동일화 회복을 위한 역설적 글쓰기는‘불연기연’의 역설의 표현으로써 ‘님’과 ‘나’가 동일화된 존재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님의 침묵』에 나타난 실천적 개혁사상은 동학의 실천적 개혁사상과 맥을 같이하고 있었다. 역설적 표현은 세계의 동일화를 이해하고 회복하는데 적절한 글쓰기 방식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