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Powder

        최영심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2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moringa powder as an ingredient for yanggaeng. Yanggaeng was prepared by varying the amount of moringa powder, to 0%, 2%, 4%, 6% and 8%, and their moisture contents, colors, contents of total phenol compoun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extures were measured. In the chromatic measurement, it was shown that L value and A value were reduc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moringa powder. As the amount of moringa powder increased, both the content of total phenol compoun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texture, hardness and cohesivenes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moringa powder, but springiness and gumminess were reduced.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hich are sensory properties of yanggaeng, were shown to be at the highest in a variable group with yanggaeng containing moringa powder by 6%. In consideration of these findings, it w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yanggaeng added with 6% of moringa powder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and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od products using moringa powder. As the results, if moringa powder is added for cooking yanggaeng, it seems to increase anti-oxidation effect and develop yanggaeng with sensory factors.

      • KCI등재

        Cut Cell 방법을 활용한 공정별 주조유동해석 적용 연구

        최영심 한국주조공학회 2023 한국주조공학회지 Vol.43 No.6

        일반적으로 주조품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 한 제품 내에서 두께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는 경우가 있어 시뮬레이션을 위한 격자를 생성할 때 어려움이 있다 . 주조 유동은 이상유동으로 수치해석을 할 때 공기와 용탕의 경계면을 추적해야하며 밀도차에의한 압력장 계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이와 같은 이유로 주조유동해석에는 직교격자가 주로 이용되어왔다 . 그러나 직교격자는형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 곡면에서 나타나는 계단형상 격자로 인해 모멘텀 손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용탕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잘못된 주조 방안 설계를 할 수 있다 . 이를 피하기 위하여 직교격자계에서 형상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격자를 생성하여 해석을 한다 . 또는 직교격자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수치적으로 보완하는 Cut Cell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직교격자계에서 주조유동해석을 할 때 격자수에 따른 해석결과와 Cut Cell 방법을 적용한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 또한 주조공정별로 실제제품을 주조유동해석을 하고 공정별로 Cut Cell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In general, castings often have complex shapes and significant variations in thickness within a single product, making grid gen-eration for simulations challenging. Casting flows involve multiphase flows, requiring the tracking of the boundary between air andmolten metal. Additionally, considerable time is spent calculating pressure fields due to density differences in a numerical analysis. For these reasons, the Cartesian grid system has traditionally been used in mold filling simulations. However, orthogonal grids failto represent shapes accurately, leading to a momentum loss caused by the stair-like grid patterns on curved and sloped surfaces. This can alter the flow of molten metals and result in incorrect casting process designs. To address this issue, simulations in theCartesian grid system involve creating a large number of grids to represent shapes more accurately. Alternatively, the Cut Cellmethod can be applied to address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artesian grid system. In this study,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number of grid in the Cartesian grid system for a casting flow analysis were compared with results obtained using the Cut Cellmethod. Casting flow simulations of actual products during various casting processes were also conducted, and these results wereanalyzed with and without applying the Cut Cell method.

      • KCI등재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과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 연구

        최영심,김민경,리순화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effects of educational recognition sub-factors (necessity, utility, value, cost, adequacy) on the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for 220 applicants who have taken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cosmetologist (make-up). In the practical courses of makeup certificate, the most-used course was selected as beauty makeup. It found for improvement need cause there was a high necessity and there was a low recognition of the cost, the number of annual written and practical test in the recognition of certification education. In field usability ‘Beauty make-up utilization' showed high recognition, and it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acquisition of certificate satisfaction, ‘The salary’ showed low recognition. The necessity, cost, adequacy among educational recognition sub-factor of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and showed the most effect as adequacy on the field usability and the cost on the satisfaction.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acquisition costs of certificate and improve highly available theories and technique for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make-up certificate.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응시 경험자 및 취득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 하위요인(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메이크업자격증 실기 과정 중 활용도 높은 종목은 뷰티메이크업으로 선택하였다. 자격증 교육인식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비용, 연간 시험 횟수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활용성에서 뷰티메이크업 활용을 높게 인식하였고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 높게 만족하였으며 급여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되었다. 국가기술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중 필요성,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중 적절성이 현장활용성에, 비용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이크업 자격증 분야의 세분화 및 전문화와 취득을 위한 비용 절감 및 활용성이 높은 이론 및 테크닉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조리전공대학생의 식용곤충 및 식용곤충식품에 대한 인식연구

        최영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식용곤충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소비자인 조리 전공자의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미래식량이자 대체식량인 식용곤충이 조리 분야에서 손쉽게 활용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79.0%가 식용곤충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친구, 동료, 가족 등 주변 지인’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6.8%가 식용곤충을 구매해 본경험이 있으며, 71.9%가 ‘온라인’에서 구매하였다. 식용곤충을 구매하는 이유는 ‘호기심’으로 나타났고, ‘식품이나 음식에 첨가한 형태’로 구매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후 70.1%가 식용곤충을 이용할 의사가 있으며, 특히 ‘식용곤충을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참여할 의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 식량 자원으로 대두되는 식용곤충의 활용도와 소비촉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리전공 대학생의 식용곤충 인식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과 다양한 메뉴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Associations Between Estimated Desaturase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Boys

        최영심,장한별,박주연,이혜자,강재현,박경희,이종호,박상익,송지현 질병관리본부 2014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5 No.5

        Objectives: Obesity in childhood increases the risk of obesity in adulthood, and is predictive of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orders.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ious tissues, including blood, are associated with obesity and obesityassociated disorders. Thus, tracking plasma phospholipid (PL) features and metabolic parameters in young individuals may strengthen the utility of fatty acid composition as an early biomarker of future metabolic disorders. Methods: Anthropometric and blood biochemical data were obtained from 131 Korean males aged 10.5 ± 0.4 years, and followed up at 2 years. We analyzed the plasma PL fatty acids according to obesity. Obese children were defined as those with a body mass index (BMI) greater than the 85th percentile for age and gender, based on Korean child growth standards. Results: Activities of lipid desaturases, stearyl-CoAD (SCD-16,16:1n-7/16:0), delta-6D (D6D, 20:3n-6/18:2n-6), and delta-5D (D5D, 20:4n-6/20:3n-6), were estimated. Obese individual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palmitoleic acid (16:1n-7) and dihomo-gamma linolenic acid (DGLA, 20:3n-6) at both baseline and follow-up than did lean individuals. The activities of SCD-16 and D6D were higher in obese than lean boys. The baseline SCD-16 activity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baseline waist circumference (WC) and the metabolic risk score. The baseline D6D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C and also with the homeostasis model of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 surrogate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IR), and metabolic risk score at both baseline and follow-up. Conclusion: In young Korean males, higher D6D activity predicts the future development of IR and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dyslipidemia.

      • KCI등재

        아사이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최영심,김선경,모은경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인해 아사이베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어 다양한 생리적 효능과 영양학적 특성이 우수한 아사이베리의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능성 효과를 가진 아사이베리 분말을 0%, 2%, 4%, 6%, 8%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살펴보고 최적의 첨가량을 살펴본 결과가 다음과 같다.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수분함량은 아사이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pH는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퍼짐성은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에 따라 퍼짐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 색도에 있어 명도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아사이베리 분말을 첨가할수록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사이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황색도의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 경도는 아사이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아사이베리 분말 쿠키의 관능 평가에 있어 색깔(color), 맛(taste), 향기(flavor), 조직감(textur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항목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 아사이베리 분말 6% 첨가 쿠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