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싸이클 폴리에스터 니트 소재의 물리적 성질 및 태 평가

        최연주,김성훈,임기섭,Choi, Yeon-Joo,Kim, Seong-Hun,Lim, Ki-Sub 한국섬유공학회 2012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9 No.2

        With regards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 eco-friendly industry and to recycle wastes. In this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and hand values of material recycled PET knit fabrics prepared with various recycled PET yarns were investigated. Bursting strengths of 3 recycled PET knit fabrics were higher than that of regular PET knit fabric. 3 Recycled PET knit fabrics were more flexible than those of the regular PET knit fabric. Lightness of regular PET knit fabric was the highest among the 5 samples. Fabric knitted with recycled non-circular PET yarns had a more yellowish tinge.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ES-FB system. Bending properties, shear properties, weight, and thickness were increased in recycled PET knit fabrics. The compressional linearity and energy of 3 recycled PET knit fabrics increased. However, their compressional resilience was reduced. In addition, coefficients of friction were similar. Regular PET knit fabric demonstrated a smooth appearance. Numeri was the highest in the hand values.

      • KCI등재

        재활용 폴리에스터 칩의 물성 향상 연구

        최연주,이중규,김성훈,임기섭,이주형,이준희,Choi, Yeon-Joo,Lee, Jung-Gyu,Kim, Seong-Hun,Lim, Ki-Sub,Lee, Joo-Hyung,Lee, Jun-Hee 한국섬유공학회 2011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8 No.2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polyester chips, virgin PET chips were compounded with the ratio of 20 wt%, 40 wt%, and 70 wt%. Recycled PET chips blended with virgin PET chips exhibited decreased molecular weights and intrinsic viscosities compared with 100% recycled PET chips and virgin PET chips, and this was caused by thermal and hydrolytic decomposition. End-group contents and MFI both increased in the blended PET chips. As the virgin PET chip contents increased in the recycled PET chips, the melting temperature tended to increase. Recycled PET chips exhibited a higher crystallization temperature compared with virgin PET chips. Morphologies of recycled PET films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Yellowing of recycled PET chips resulted from intramolecular cross-linking and oxidation reactions. As virgin PET chips were compounded with recycled PET chips, yellowing was reduced. The ash contents were increased in the recycled PET chips which were blended with virgin PET chips. As recycled PET chip cont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virgin PET chips, the ash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materials.

      • 『남양선생시집』 간행과 『고려대장경』 조성사업

        최연주 ( Choi Yeon-joo ),전진이 ( Jun Jin-yi ),한홍익 ( Han Hong-ik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남양선생시집』은 고려 무인집권기에 문신관료였던 백분화의 시집이다. 그는 스스로 參禪居士라 할 정도로 禪法을 좋아하였다. 이 시집은 백분화의 장남인 희심이 간행을 주도하였다.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희심은 부친이 생전에 남긴 시 2백여 首를 수습해 上下卷으로 편찬하고, 제목과 서문을 이규보 아들인 이함에게 의뢰하였다. 백분화는 이규보보다 나이가 10살 적었지만 일찍 出仕하였다. 최씨정권과 밀착되었던 백분화는 이규보의 출사를 위해 다방면으로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이는 두 사람이 주고 받은 詩와 이규보가 지은 백분화의 묘지명을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는 아들인 희심과 이함에게 자연스럽게 이어져 시집의 제목과 서문 작성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남양선생시집』은 『고려대장경』 조성사업이 마무리된 직후인 고종 36년(1249)에 간행되었다. 시집에서 惠堅과 孝眞이라는 각수가 조사되었는데, 이들은 『고려대장경』 판각에 참여한 각수이다. 시집 간행이 『고려대장경』 판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남양선생시집』 간행 과정을 검토해 보면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간행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렇다면 『고려대장경』 조성사업의 체계를 활용하여 분사대장도감(이하 분사도감으로 약칭함)에서 『남양선생시집』을 간행하였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Namyang Seonsaeng Sijib』(『南陽先生詩集』) is a collection of Beak Bunhwa(白賁華) in a period of the Choi military regime. He had continuously interchanged with the Buddhist community including reputed monks. 『Namyang Seonsaeng Sijib』 was published by monk Huisim(希諗), the eldest son of Beak Bunhwa. Twenty-five years after the death of his father, Huisim had collected scattered poems and compiled them into two volumes. Yi Ham(李涵), the son of Yi Gyubo(李奎報), wrote the preface of it. Likewise, Yi Gyubo wrote the epitaph of Beak Bunhwa. Beak Bunhwa and Yi Gyubo were deeply involved in politics and literature. To sum up this causality, these two families had a quite friendly relationship. Meanwhile, 『Namyang Seonsaeng Sijib』 wa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engraving of 『Tripitaka Koreana』. Hyegyeon(惠堅) and Hyojin(孝眞), engravers who participated in the engraving 『Tripitaka Koreana』, undertook repeatedly the editing of 『Namyang Seonsaeng Sijib』. It shows that publication of 『Namyang Seonsaeng Sijib』 and engraving of 『Tripitaka Koreana』 are closely linked. Beak Bunhwa and Yi Gyubo are politicians who cooperated with the Choi military regime. As 『Donggukyisanggukjip』(『東國李相國集』), the collection of Yi Gyubo, was produced in Bunsadogam(分司都監) with the support of King Gojong and the Choi military regime, it is highly likely that 『Namyang Seonsaeng Sijib』 was produced in the same time.

      • KCI등재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의 교감(校勘) 유형과 성격

        최연주 ( Choi Yeon-jo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8

        본고는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으로 약칭) 彫成 중 수기대사 등이 교감한 경전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이하 『교정별록』으로 약칭)에 대해 교감 유형과 경전의 교감 방식에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기존 연구 성과를 통해 『교정별록』이 최고 교감본으로서 위상과 그 가치를 검토하였다. 또 조성 추이와 교감 과정 및 그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정별록』은 『개원석교록』을 중심으로 교감 대상 경전을 채택하고, 교감 방식에 있어서 당시 동아시아에 산재한 다양한 경전과 목록집을 내용과 對校本別로 구분해 교감하였다. 대장도감에서 기존의 권내교감기를 다시 정리하여 편찬하였다. 한편 권내교감기와 『교정별록』 내용에 대해 상호 대조는 물론 한국중세사, 불교학, 서지학 등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정별록』에 수록된 경전의 著·譯者, 조성 년도와 도감 등을 현황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서, 校勘 및 對校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권4의 『最勝燈王如來經』과 권27의 『金七十論』에 대한 교감 내용을 주목하였다. 교감 과정에서 『최승등왕여래경』이 단본에서 발견되어 추가된 것이다. 對校를 통해 송본에 『최승등왕여래경』이 없음을 확인하고 『고려대장경』에 편입시켰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권수제 및 권미제의 經名 다음에 `丹本`, 函次에 이어 細字로 `丹`이라고 표기해 추후 잘못된 교감이라면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금칠십론』은 국본·송본·단본의 교감을 통해 문장의 오류 및 착란을 바로 잡은 것이 아니다. 『개원석교록』과 『長房內典』 등 목록의 비교 검토를 통해 불교의 정통 경전이 아니라는 점을 적시해 두었다. 『금칠십론』이 비록 外道의 경전이지만, 후대를 위해 『고려대장경』에 편입시켰다. 수기대사를 비롯한 교감자들은 嚴正하게 교감을 진행하였다. 교감 과정에서 특정 국가의 체제나 목록에만 의거하지 않고, 각 本을 對校한 후 『고려대장경』에 편입시켰다. 그 편제가 정형화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게 운영되었음은 『最勝燈王如來經』과 『金七十論』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교감자들이 동아시아에 산재한 대장경에 대한 관심과 공부를 꾸준히 해 왔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d been discussed with two ways about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By collecting existing research,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is recognized the top of a revised scriptures. Various perception and method will build the foundation which strengthen understanding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However, following of the research, irrational case of research must be complemented. And comparison of the revised scriptures between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and Tripitaka Koreana is necessary for study. Also, joint research with Historiography, Buddhology and bibliography must go ahead to encourage study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This is a part of author and translator who had included in scriptures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as well as Dogam(都監) and period when it carved. The revised scriptures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was not processed for the whole of scriptures but for scriptures which is brought up problem. It is supposed to made by using Tripitaka Koreana`s list in the process of comparison with some scriptures. Revising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is mutually associated with its carving, so it efficiently went along with Daejangdogam(大 藏都監). `Agrapradipadharanividyaraja(最勝燈王如來經)` and `Suvarnasaptati (金七十論)` -Scriptures which is the revising object in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is out of the ordinary. `Agrapradipadharanividyaraja` was later than another revised scriptures and `Suvarnasaptati` was confirmed not Buddhism scriptures. `Agrapradipadharanividyaraja` was nonexistent in Song dynasty`s Tripitaka, however it was discovered in Liao Dynasty`s Tripitaka when Tripitaka Koreana was carved and added to Tripitaka Koreana. Tripita Koreana and part which added to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respectively were same edition. But `Agrapradipadharanividyaraja` of the Tripitaka Koreana was carved in King Gojong 33 year, but `Agrapradipadharanividyaraja` of the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was carved in King Gojong 34 year and different technicians conducted. In other words, it was added to Tripitaka Koreana additionally. To separate this, it was designed to if something had wrong letters, it could be marked `DanBon(丹本)` behind the first section and last section in the scripture`s name and small letter `丹(Dan)` behind Ham(函) to be revised. `Suvarnasaptati` was not authentical Buddhism scriptures by comparison of the East Asia (Song, Goryeo, Liao Dynasty)`s Tripitaka. But it was added to Tripitaka Koreana. We can presume Reviser like monk Sugi(守其) had conducted the revising prudently. Finally, Reviser of Tripitaka Koreana had a continuous interest to Tripitaka where located in East Asia and studied. They compared with various type of Tripitaka and added as well Certain nation`s system and list in the revising to Tripitaka Koreana. So this organization was not behind the times and not standardized but it showed operation with mutual and flexible process situation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조선시대 『고려대장경』의 인경(印經)과 해인사(海印寺)

        최연주 ( Yeon Joo Cho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 순응(順應)에 의해 창건된 후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였다.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 승려 희랑이 후백제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국찰(國刹)로 삼았다. 13세기 중엽 몽고 침입 때 조성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에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은 물론 조성(彫成) 공간(空間)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선 건국 직후 해인사의 寺格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는데, 태조는 강화도 선원사에 보관 중이던 고려대장경판을 한양 지천사(支天寺)를 거쳐 이곳으로 移運 보관케 하였다. 인조때 대장경을 보관하였기 때문에 조정(朝廷)으로부터 중요 사찰이라 하여 주지도 총섭(總攝)이라 불렀고, 법보종찰(法寶宗刹)로서 삼보사찰(三寶寺刹)이 되었다. 한편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표방하게 됨에 따라 대장경을 비롯한 불교 전적의 간행은 고려에 비해 크게 위축되었으나, 태조·세종·세조의 호불 시책으로 일정하게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왕실에서 개인적 동기에 의해 불교 신앙에 대한 개인적 의지로 호불 시책을 수시로 시행되어 여러 불사(佛事)가 수시로 이루어졌다. 불사에는 사찰의 중창, 반승(飯僧)은 물론 대장경 인경을 비롯하여 각종 불전(佛典)이 지속적 간행되었다. 해인사는 『고려대장경』이 봉안된 사찰로서 중창(重創)되기도 하였다. 15∼16세기 해인사는 판각 활동이 부진하였는데, 그것은 대대적인 중창과 고려대장경 인경사업으로 인해 불전(佛典)을 간행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인경사업은 절차가 번거롭고, 대규모 물자가 소요되므로 왕실이나 개인적 차원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국가 차원에서 행정적 지원과 물자 등을 적극 지원받아 추진하였다. 따라서 15∼16세기 해인사는 고려대장경 인경사업(印經事業)에 집중하였고, 17세기 이후 국가 주도의 인경사업이 없게 되자 그 동안 축적한 간행 기술을 활용하여 일반 서적을 간행하였다. 해인사는 『고려대장경』을 奉安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 전기 억불 시책 속에서도 국가적으로 많은 지원을 받아 중수(重修)를 거듭해 왔으며, 국가 주도의 인경사업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해인사가 주도한 인경사업은 조선 전기 불교 전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여러 인경본(印經本)을 전국 주요 사찰에 나누어 안치한 점은 불교 경전의 대량 보급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주요 사찰에 소장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일본과 유구(琉球) 등 외국에서 청구해 올 경우 수시로 분사(分賜)되어 우리 불교문화를 일본 등지로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Haein-sa Temple has concentrated on Buddhist practice and doctrinal study based on the Hwa`eom(華嚴) philosophy since its establishment by Suneung(順應) in 802 in the 3rd year of King Aejang-Wang`s reign during the Silla Kingdom. Haein-sa Temple become one of the ten prominent Hwa`eom Temples(華嚴十刹), When King Taejo, the founding king of the Goryeo Dynasty, tried to unify Korea`s Later Three Kingdom. When the Ganghwagyeong-Edition Tripitaka Koreana was produce in the mid-thirteenth century during the Mongol invasion, Haein-sa provided not only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for its production, but also workshop space within its compound.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founding King Taejo ordered the relocation of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hich up till then had been kept at Seonwon-sa Temple on Ganghwa-do Island. And Haein-sa has performed various roles and functions as the Dharma Jewel Temple(法寶宗刹). Meanwhile, even though buddhism was suppressed offcially, many kings and royal families actively supported Buddhist works by the frequent publication of Buddhist sutras and the provision of resources. in particular, King Sejong`s and King sejo`s policy of upholding buddhism produced some korean translations of sutras and established the sutra publication agency, publishing many buddhist books.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aein-sa was so busy printing the Tripitak Koreana that the work of engraving sutras on woodblocks was in decline. Extensive restoration of Haein-sa and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Koreana did not leave any room to produce new sutra printing woodblocks. When state-hosted sutra printing dwindled after the 17th century, Haein-sa extended its publishing horizons beyond Buddhism. So Haein-sa`s printing of sutras was significant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era. The massive dissemination of buddhist sutras was highly probable considering that several complete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were distributed to be enshrined at major Joseon temples, Parts of these printed copies kept at major temples were given to meet foreign demand, including requests from Japan and the Ryukyu kingdom, this helped to transmit Korean Buddhism abroad. By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nastic economic situation declined further, and thus many of Haein-sa`s engraver monks probably ha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literary works sponsored by family clans and Confucian academies in order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temples.

      • KCI등재후보

        중세(中世)불교행사로서의 관등(觀燈)과 변화 양상

        최연주 ( Choi Yeon-jo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30

        되는가에 따라 관등의 성격은 달라진다. 현전하는 사료를 통해 볼 때 관등 풍속은 불교의례인 연등회 및 팔관회와 관련이 깊다. 신라의 연등회와 팔관회는 고려 건국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최되었다. 연등회와 팔관회에서는 갖가지 장식을 한 燈수 만개를 밝히고, 특별 무대 주변에 등을 벌려 걸어 두었다. 궁궐 뿐 아니라 사찰에서도 호사스럽게 등을 걸어 두고, 각종 莊嚴物을 설치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였지만 불교의례로 열렸 다. 그래서 놀이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던 고려와 조선에서 연등회와 팔관회는 축제로 자리매김하였다. 의례기간 동안 국왕과 민들은 함께 등을 구경[觀燈]하 면서, 다양한 공연을 보고 즐겨 화합의 장으로서 기능하였을 것이다. 조선은 신왕조 정통성을 강화하고, 유교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펼쳤다. 국정의 안정화를 위해 숭유억불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과정 에서 불교는 점차 산간으로 밀려나고, 여성 중심의 기복 신앙이 더해지면서 크게 위축되었다. 그리고 연등회 의례기간 동안 남녀의 풍기 문란, 절도사건 등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의례가 설행되는 과정에서의 과도한 재 정 지출과 화재 위험성 등으로 인해 지배층에서 부정적 인식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대표적인 불교의례인 연등회는 점차 축소되었고, 중기 이후에는 풍속의 일종으로 인식되면서 그 의미가 바뀌었다. 민간이나 사원에서의 연등회 개설은 거국적인 행사가 아니라 지역 또는 사원 별 소규모 형태로 전개되었다. 민간에서 개최된 4월초파일 연등 행사를 살펴보면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전기에 행해지던 상원연등과 4월초파일 연등회를 계승 하고 있다. 다만 불교의례와 연관되는 일부 내용들은 전승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행태로 재창출되었거나 아니면 기복신앙과 연계되어 변형되었다. 관등 풍속은 불교의례와 같은 종교적 의미보다는 마을 안녕과 복을 비는 마을 공동체를 위한 놀이문화로 그 성격이 바뀌었다. Ceremony of the light is ceremony to watch the light. Ceremony of the light is linked to Buddhism Ceremony Yeondeungheo(燃燈會). Yeondeungheo and Palgwanheo(八關會) have held since Goryeo Dynasty, Two celebration’s methods are igniting the lights which is decorated and hanging the lights in the special stage. In celebration, lights and other decorations were luxuriously installed at temple as well as palace. so they provide various attractions. Yeondeungheo and Palgwanheo might have been big festivals for duration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when leisure culture was not developed. During the event, King and the people watched the lights and enjoyed the performance together, so they made bonding. But, Ceremony of the light was linked to Buddhism had changed through the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started to suppress Buddhism and to force Confucianism. These policy brought about New dynasty’s legitimacy. So, Yeondeungheo had been recognized a kind of customs after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established oneself. Yeondeungheo which civilians or buddhist monk held would have been small size in respective locality or temple, not enormous size. Buddha``s Birthday which civilians held succeeded SangwonYeondeung(上元燃燈) and Yeondeungheo on Buddha``s Birthday(佛誕日燃燈會) which had continued through Silla, Goryeo and the former of the Joseon Dynasty. Nevertheless, Contents was linked to Buddhism might had created new formation or changed relatively with faith to pray for a blessing. Ceremony of the light was gradually established as villager’s safety and luck rather than religious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