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황화수소 중독 2예

        최수미,이용철,이양근 의과학연구소 1994 全北醫大論文集 Vol.18 No.2

        Hydrogen sulfide, one of the most poisonous gases, is encountered in various occupations usually as a byproduct and it also occurs in sewers. Two cases of toxic inhalation involving exposure to several gases, including hydrogen sulfide, evolved from sewers, and present, Both victimes were with supportive measure, high O_2 therapy and antibiotics.

      • KCI등재

        K-IFRS 도입에 따른 영업권회계처리와 이익조정

        최수미,오태균 한국회계정책학회 2015 회계와 정책연구 Vol.20 No.1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o adjust an earnings because it can reflect the arbitrariness and the subjectivity of an executive to abolish an amortization of goodwill and recognize an goodwill impairment loss by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adop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nalyzed an actual proof on whether a corporation regulates its profit through a changed goodwill accounting related to its business righ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K-IFRS. According to the actual analysis on the earnings management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of a goodwill impairment loss, corporations having a goodwill balance but not recognizing its impairment loss adjusted their earnings upward and as time passed by, the tendency to manage theirs got deeper and deeper by not recognizing their goodwill impairment loss. Suggesting that executives have an intention to manage their earnings using a goodwill impairment loss, this research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in enacting accounting standards related to goodwill valuation. Moreover, when analyzing financial statements, a goodwill accounted corporation should be aware that earnings manage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a goodwill impairment loss. 본 연구는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잔액이 있는 기업은 영업권 감액손실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우고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잔액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권 감액손실을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익을 조정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감액손실의 인식여부에 따른 이익조정을 살펴본 연구에서는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잔액이 있는 기업 중 영업권 감액손실을 인식하지 않는 기업은 이익을 상향조정하였다. 또한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영업권 감액손실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 K-IFRS 도입직후인 2011년도에는 이익을 조정하지 않았으며, 2012년도에는 비정상생산원가(abPROD)와 비정상재량적지출(abDISEXP)을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하였고, 2013년도에는 발생액과 실제 활동을 모두 이용하여 이익을 조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K-IFRS 도입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영업권 감액손실을 인식하지 않아 이익을 조정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감액손실액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권 감액손실액에 따라 이익을 조정하는지 여부를 살펴본 추가분석에서는 K-IFRS 도입이후 영업권 잔액이 있는 기업 중 영업권 감액손실액이 있는 기업은 이익조정측정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의미가 없지만 이익조정측정치들의 방향성이 모두 음(-)으로 나타나 이익을 하향조정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국내외 우주분야 연구개발과 산업동향

        최수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7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5 No.1

        19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구소련의 붕괴와 예산 투자의 저조로 정체기에 접어들었던 우주개발은 달 및 행성탐사와 같은 새로운 연구개발 움직임과 중국, 인도 등 새로운 우주강자의 부상으로 현재 신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우주프로그램의 정부투자도 2006년 총 50.36 십억 달러로 역사상 최고점을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우주개발국들은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에 버금가는 탐사계획들을 잇따라 발표했으며, GPS, GLONASS, Galileo 등 위성항법 분야 연구개발에도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는 우주산업의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실제로 미국 우주산업 매출의 90%가, 그리고 유럽 우주산업 매출의 60%가 정부고객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2005년 우주산업 매출은 총 88.8 십억 달러로 전년대비 6% 정도 성장하였으며, 여전히 위성서비스 분야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로 가장 높다. 본고에서는 우주분야의 정부 예산 투자 현황과 우주탐사 및 위성항법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연구개발 움직임을 국가별로 살펴보고, 우주산업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우리나라의 우주산업과 우주개발 관련 주요 정책변화, 현재 진행 중인 국가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 KCI등재

        회계감사인특성과 자산손상회계처리

        최수미 한국세무학회 2019 세무와 회계저널 Vol.20 No.6

        This paper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an asset impairments depending on the audit characteristic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local listed companies from 2011 to 2018 on whether their recognition of impairment losses on assets differed depending on the audi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verifying that the recognition of an asset impairmen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an entity will recognize an asset impairments when it changes from non-Big4 to Big4 as a result. Validation of whether the recognition of impairments by assets i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 indicates that, for goodwill impairment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non-Big4 auditor recognizes goodwill impairments. For impairments on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for entities that are highly probable of positive earnings’ management, the recognition was highly probable for those entities audited by Big4. That means high audit quality affect the recognition of tangible asset impairments. The inventory impairments are likely to be recognized for entities audited by non-Big4. In summary,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recognizing asset impairments when the quality of the audit is high, and for an entity with positive earnings management, it was less likely to recognize an asset impairments. In the case of high audit quality, management’s discretion in the recognition of impairment of assets is limited and that audit quality contributes to the proper reporting of the asset’s carrying amount and the cost. 회계감사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부여하고 자본시장에서 시장감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사품질은 기업의 재무보고의 정보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통해 자산손상차손의 재량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산손상에 대한 재량권을 기업이 갖게 되면서 이를 이용해 이익조정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자산손상차손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자산손상차손을 인식한 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자산손상차손 인식정도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자산손상인식여부가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을 검증한 결과, 상향 감사인교체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 non-Big4에서 Big4로 교체한 경우 자산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산별 손상차손인식이 감사인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영업권손상차손의 경우, 감사인교체하지 않은 기업이 영업권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의미있게 나타났다. 유형자산손상차손의 경우, 적자회피 이익조정가능성이 높고 Big4가 감사한 기업의 경우 인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재고자산손상차손에 대한 실증분석한 결과 non-Big4가 감사한 기업의 경우 인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사인교체에 대해서는 non-Big4에서 Big4로 상향 교체한 경우 재고자산평가손실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고, Big4에서 non-Big4로 하향교체한 경우 재고자산평가손실을 인식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감사품질이 높은 경우 자산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양(+)의 이익조정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자산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감사품질이 높은 경우, 자산손상인식에 있어 경영자의 재량권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고, 감사품질이 자산의 장부가액과 비용을 적정하게 보고하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 우주분야 연구개발과 산업동향

        최수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4 No.1

        미국이 우주개발의 방향을 우주탐사로 변경하면서 중국 및 인도 일본 등 주요 우주개발 국가들은 우주탐사, 일본 등 주요 우주개발 국가들은 우주탐사분야의 국제협력을 위하여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우주개발의 큰 방향전환과 더불어 세계의 우주산업도 인수와 합병을 통한 산업재편으로 분주한 상태이다. 이와 더불어 인공위성과 우주발사체 제작산업이 주도하던 우주산업은 위성을 이용한 서비스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특히 산업의 수익구조면에서 위성 서비스 시장의 영업이익이 70%~80% 수준에 이르며 제작산업의 수요를 좌지우지하는 고객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그 여파의 하나로 제작산업체의 인수와 합병을 불러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우주분야의 연구개발과 산업의 움직임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위하여, 주요 우주개발 국가의 정부예산과 연구개발 동향, 그리고 우주산업의 현황과 미래, 우리나라의 우주산업과 우주개발 관련 최근의 정책 변화 및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해 본다.

      • KCI등재후보

        급성 백혈병 환자의 감염양상 : 관해유도 및 재관해유도 화학요법 환자군의 비교 Comparison of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einduction Chemotherapy Group

        최수미,이동건,박윤희,김유진,김희제,이석,최정현,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호중구 감소로 인한 감염증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여러 요인에 의해 그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감염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고, 화학요법별 감염 합병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급성 백혈병 환자를 관해유도와 재관해유도 화학요법 군으로 나누어 감염증의 빈도, 유형, 감염장소, 원인균 및 항균제 내성 양상, 감염에 의한 사망률 등을 살펴보았고, 이를 과거 자료와 비교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 이식센터에서 급성 백혈병으로 관해유도 화학요법 또는 재관해유도 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26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 자료들을 1994년, 1999년에 보고한 자료와 비교하였다. 결과 : 관해유도 화학요법군이 173예, 재관해유도 화학요법군이 153예였다. 기저 질환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211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115예였고, 두 군간에 기저질환의 차이는 없었다. 환자 연령의 중앙값은 33세(15-68)였으며, 재관해유도군 환자들의 연령이 더 적었다(P<0.05). 284예(87.1%)에서 화학요법 중 발열이 있었고, 두 군간에 발열 빈도, 기간, 호중구 감소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발열시작시 백혈구 수의 평균값은 각각 477/㎣, 293/㎣으로, 재관해유도군에서 백혈구 수가 더 낮았다(P<0.001). 감염의 형태는 MDI 131예(46.1%), CDI 102예(35.9%), UF 51예(18.0%)였다. 관해유도군에서는 호흡기 감염증이 재관해유도군에서는 소화기 감염증이 가장 흔하였고, 카테터 관련 감염증이 재관해유도군에서 좀 더 빈번한 경향(P=0.058)을 보였을 뿐 감염 형태와 장소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관해유도군에서는 그람 양성균 분리 빈도가 더 높았고, 재관해유도군에서는 그람 음성균이 더 빈번하게 분리되었다. 두 군에서 모두 대장균이 가장 흔히 분리되었고, 대장균을 포함한 그람 음성균이 재관해 유도군에서 더 빈번하였다(P<0.05). 전체 326예 중 감염에 의한 사망은 30예(9.2%)였고, 재관해유도군에서 감염관련 사망률이 더 높았다(6.9% vs. 11.8%, P=0.03). 과거 자료와 비교하여 발열일수와 MDI의 빈도는 증가하였고, 화학요법에 따른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전체 사망에 대한 감염관련 사망률은 여전히 높아 75%에 해당하였다. 결론 : 급성 백혈병 치료에 있어 감염증은 여전히 중요한 사망원인이며, 화학요법간 그 양상이 다르다. 특히 예방적 향균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증가와 그람 양성균의 증가는 꼭 극복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보다 효과적인 예방적 항균제 요법의 시행, 감시 배양, 감염관리 등 새로운 예방법의 재정립과 조기진단을 통한 적절한 항균제의 사용 및 면역 요법 등 감염 치료방법에 있어서도 새로운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recent advance in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trends of infection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a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infectious features of each chemotherapy group.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total 326 cases with acute leukemia who had received induction or reinduction chemotherapy at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during Jan. 1998 and Dec. 1999,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our previous data published in 1994 and 1999. Results : Out of total 326 cases, 173 cases received induction chemotherapy (IC) and 153 cases received reinduction chemotherapy (RC). Underlying diseases were 211 cases of acute myeloid leukemia and 115 cases of acute lymphoid leukemia.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33 years (33 in the IC group vs 31 years in the RC group, P<0.05). Overall, 87% of the cases experienced at least one febrile episodes. Mean leukocyte count at the onset of f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477/㎣ vs 293/㎣, P=0.001). Infections were classified as: 46.1% of microbiologically defined infection, 35.9% of clinically defined infection and 18.0% of unexplained fever. Most common site of infection was respiratory tract in the IC group, and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RC group.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 commonly isolated organism in each group, and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E. coli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P< 0.05). Infection-associated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C group than in the IC group (6.9% vs 11.8%, P=0.03). Comparing with our previous data, the overall mortality was reduced from 50% (early of the 1980s) to 12.3%, whereas the infection still contributed major fraction of mortality and morbidity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Conclusion : The patterns of infection between IC group and RC group are somewhat different and has been changing due to many factors. New preventive, diagnostic, and treat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phylactic antimicrobials should be meticulously used to prevent the emergence of resistant organisms.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 플루코나졸 시럽의 예방 효과 : 전향적,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

        최수미,이동건,최정현,박선희,엄기성,김유진,김희제,민창기,유진홍,김동욱,이종욱,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목적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호중구 감소 기간 동안 이트라코나졸 액(ITZS)과 플루코나졸 시럽(FCZS)의 진균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만 18세 이상의 환자들을 각각 ITZS와 FCZS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침습성 진균 감염 발생과 약제 관련 부작용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ITZS군에 40명, FCZS군에 38명이 배정되었고, FCZS군 환자의 평균 나이가 더 많았다. 시험 약제 평균투여기간은 ITZS군 16.4일, FCZS군 21.9일로 ITZS군이 더 짧았다. 이는 ITZS군에서 소화기 부작용으로 인한 약제 중단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험 약제 투여 후 총 빌리루빈 수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약제 관련 부작용은 모든 환자에서 가역적이었다. 호중구감소 기간동안 표재성 진균 감염은 두 군에서 모두 발생하지 않았고, 침습성 진균 감염은 ITZS군 5명(12.5%), FCZS군 8명(21.1%)으로 FCZS군에서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망률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이트라코나졸 액과플루코라졸 시럽의 예방 효과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잘 짝지어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작용 중 간독성과 관련하여 이식시 투여되는 여러 약제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 Though fluconazole is widely used for antifungal prophylaxis, it is ineffective against mould infections including Aspergillus species. Itraconazole has a broader spectrum than fluconazole but the capsule form shows erratic bioavailability in neutropenic patients. In this study, we compared itraconazole oral solution (ITZS) with fluconazole syrup (FCZS) for the prevention of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dults receiv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rom september 2001 to June 2002,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ITZS group or the FCZS group.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each drug. Results : Out of 78 patients (40 patients in the ITZS group and 38 patients in the FCZS group) who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37 patients completed the course of prophylaxis without any evidence of IFI. The mean duration of prophylaxis was 16.4 days for the ITZS group and 21.9 days for the FCZS group (P<0.006). Drug-related adverse events occurred in 28 patients (70.0%) and 19 patients (50.0%) in the ITZS group and the FCZS group, respectively. Common adverse events of ITZS were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Drug-related reversible hepatotoxicity occurred in 4 patients in the ITZ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of total bilirubin level in the ITZS group. The incidence of suspected IFI occurred in 5 patients (12.5%) who received ITZS, compared with 8 (21.1%) who received FCZS (P=0.372). There were no proven IFIs or superficial (oral/vaginal) fungal infections in both groups. Overall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2.5% in the ITZS group versus 5.3% in the FCZS group, P=0.610). Conclusion : ITZS and FCZS showed similar protection against IFI during pre-engraftment period. Poor tolerability due to gastrointestinal troubles of ITZS might limit its success as prophylactic therapy. Well matched controlled study with large number of patient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